탄질비

덤프버전 : (♥ 0)

분류

1. 개요
2. 설명
3. 질소는 어디에 많은가?
4. 조절



1. 개요[편집]


비료를 만들 때, 탄소/질소.


2. 설명[편집]


미생물이 발효할 때는 30정도로만 비료를 먹을 수 있다. 우리가 라면 면 하나에 스프를 열 개씩 넣을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다.
탄질비가 낮으면 미생물이 30으로 섭취하고 싼 똥에 들어있는 질소를 재활용해서 다시 먹으므로[1] 발효시간이 오래 걸리고, 높으면 질소가 암모니아 형태로 다 도망간다.


3. 질소는 어디에 많은가?[편집]


생선찌꺼기(내장 등) 8%, 깻묵[2]5%, 닭똥 3%, 쌀겨 2%, 볏짚, 돈분 0.6%, 왕겨 0.5%, 우분 0.3%, 나뭇재[3] 0 순이다. [4] 인분과 오줌액비도 질소가 많다.


4. 조절[편집]


매실청 만들듯, 질소가 많은 것(생선 내장 등) 얇게 한 층, 탄소가 많은 것(왕겨 등) 얇게 한 층 번갈아가며 쌓는다.
노들섬 텃밭의 생태 뒷간은 그래서 똥을 싸고 왕겨를 뿌리는 형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05:32:48에 나무위키 탄질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아니면 죽고 난 미생물의 사체에 있는 질소나[2] 콩이나 깨 등에서 기름을 짜고 남은 것[3] 유기물이 다 타고 날아갔는데 있을 리가 없지[4] 출처: 박원만의 텃밭백과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