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회사/MVNO 통신사 목록/대한민국

덤프버전 :



1. 개요
2. 복수망 사업자
2.3. KB국민은행(KB리브모바일) ⓔ
2.4. 니즈텔레콤(니즈모바일)
2.5. 세종텔레콤(스노우맨) ⓔ
2.6. 아이즈비전(아이즈모바일) 📮ⓔ
2.7. 앤알커뮤니케이션(앤텔레콤)
2.8. 에넥스텔레콤(A모바일)
2.9. 에스원(에스원 안심모바일) ⓔ
2.10. 에이프러스(아시아모바일)
2.11. 와이엘랜드(여유텔레콤) 📮
2.12. 유니컴즈(Mobing) 📮ⓔ
2.13. 위너스텔(WELL) 📮
2.14. 코드모바일(이지모바일) ⓔ
2.15. 큰사람커넥트(이야기모바일) 📮ⓔ
2.17. ACN코리아(플래쉬모바일)
2.18. 프리텔레콤·인스코비(프리티) 📮ⓔ
2.19. KCT 한국케이블텔레콤(티플러스) 📮ⓔ
3. SK텔레콤망 임대 사업자
3.1. SK텔링크(SK세븐모바일) ⓔ
4. KT망 임대 사업자
4.2. KT스카이라이프(스카이라이프 모바일) ⓔ
4.3. 드림라인(드림모바일)
4.4. 미니게이트(M2모바일)
4.5. 스테이지파이브(핀다이렉트) ⓔ
4.6. 씨엔커뮤니케이션(WMVNO)
4.7. 더피엔엘(퍼스트모바일)
4.8. 포인트파크(포인트플러스모바일)
4.9. 고고팩토리(고고모바일)
5. LG U+망 임대 사업자
5.1. 미디어로그(U+유모바일) ⓔ
5.2. 레그원(온국민폰)
5.3. 조이텔(JOYTEL)
5.4. 엔티온텔레콤
5.7. 금강방송(KCN알뜰폰)
5.8. 인스코리아(인스모바일)
5.9. 한국피엠오(밸류컴)
5.10. 와이드모바일(도시락모바일)
5.11. 씨케이커뮤스트리 (슈가모바일)
5.12. KG모빌리언스 (KG모바일)
5.13. (주)마블프로듀스 (마블링) ⓔ
5.14. 에르엘모바일
5.15. 사람과연결
5.16. SL리테일(셀모바일)
5.17. 코나아이(모나)
5.18. 핀샷(코인샷)
5.19. 한패스인터내셔널(한패스모바일)
5.20. 보스그룹(화인통신)
6. 특수 사업자
7. 사업을 중단한 사업자
7.1. 케이디링크(에코모바일)
7.2. 홈플러스(플러스 모바일)
7.3. 이마트(이마트 알뜰폰)
7.4. 서경방송(서경모바일) 📮



1. 개요[편집]


  •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MVNO 사업자 목록을 정리한 페이지입니다.
  • 우체국 위탁판매업체로 선정된 사업자는 📮를 표시합니다.
  • eSIM 개통이 가능한 사업자는 ⓔ를 표시합니다.

2. 복수망 사업자[편집]



2.1. 스마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스마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스마텔 알뜰폰 홈페이지
파일:smartel_logo_1100.png
SKT, KT, LG U+ 망을 서비스한다.

1998년 별정통신사업자 등록으로 국제전화 서비스를 개시하였으며, 2013년 알뜰폰 MVNO 서비스 추가 개시를 시작으로 확장세.

매월 초에는 새로운 요금 할인 정책이 개시되며, 일반유심의 경우 유심비와 배송비가 무료. 2023년 5월 5일 기준으로 SKT망에서 221GB 데이터무제한 0원 요금제 등 저가형, 밸런스형,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헤비 데이터 유저 전용 요금제 등 다양한 요금제가 구성되어 있다. LG U+의 경우 2년간 데이터 300GB 제공 데이터프리덤 이벤트, LG 인터넷과 LG U+망 알뜰폰, IPTV 결합 할인 요금제, 그리고 KT는 제휴혜택 제공 및 USIM 당일 배송 이벤트 등을 중심으로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다. 아이폰 유저나 최신 갤럭시 기종 사용자들은 eSIM으로 물리적인 USIM 없이 보다 빠른 셀프개통이 가능하다.

자세한 요금정보 등은 스마텔 알뜰폰 홈페이지스마텔 문서 참조.


2.2. LG헬로비전(헬로모바일) ⓔ[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헬로모바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헬로모바일 헬로모바일 다이렉트
SKT, KT, LG U+ 망을 서비스한다.


2.3. KB국민은행(KB리브모바일) ⓔ[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B리브모바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KB리브모바일
SKT, KT, LG U+ 망을 서비스한다.


2.4. 니즈텔레콤(니즈모바일)[편집]


니즈모바일
KT, LG U+ 망을 서비스한다.

주식회사 니즈텔레콤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2.5. 세종텔레콤(스노우맨) ⓔ[편집]


스노우맨
KT, LG U+ 망을 서비스한다.

세종텔레콤이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과거 (주)세종[1]의 산하 세종텔레콤의 자회사였던 온세텔레콤이 운영했으나, 현재는 세종텔레콤이 운영중이다. 온세텔레콤이 운영했던 모 포인트 리워드 앱을 이용했었던 사람은 가끔 팝업으로 온세텔레콤 광고가 떴었다.

타 통신사와 다르게 주말과 공휴일에 다른 통신사로 번호이동이 되지 않으니 주의해야 한다.[세종텔레콤,KCT]

2021년 4월부터 U+망 서비스를 추가하였다. 기사 다만 헬로모바일의 경우처럼 U+망 전산 대응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입만 우선적으로 실시하여, 홈페이지를 통한 사용량 조회 등은 2021년 5월 현재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관련 공지


2.6. 아이즈비전(아이즈모바일) 📮ⓔ[편집]


아이즈모바일
SKT, KT, LG U+ 망을 서비스한다.

부산의 부일이동통신이 전신인 아이즈비전이 아이즈모바일이라는 브랜드로 서비스 중이다. MVNO 업체 중 드물게 코스닥 상장 업체로 주식 시장에 공개되어 있다. 기본료 4,900원에 30분 통화 + 30MB, 8,500원으로 100분 통화 + 100MB + 와이파이를 제공하고 있어서 스마트폰 소량 이용에 추천할 만하다. 추가 요금은 음성은 싼데 (1.5원) 데이터는 비싸다 (50원/MB)

루리웹에서 바이럴 마케팅을 한 적이 있다(아카이브)는 정황이 있다. 세븐모바일도 같이 언급되었는데, 둘 중 어느 쪽이 한 바이럴 마케팅인지는 불명.

과거에는 웹사이트에서 유심 요금제 신청 시 신청 상황 조회나 취소가 불가능했다. 23년 6월 기준으로 신청서 확인 및 취소가 가능하게 바뀌었다. 다만 사이트의 고객센터 1:1 문의의 경우 비회원은 불가.

홈페이지의 경우 아주 기본적인 기능인 자동 로그인조차 지원하지 않을 정도로 조악하다. 2022년 10월 홈페이지 개편으로 U+, KT는 실시간 잔여량을 보여주며, SKT는 하루 단위로 잔여량을 보여준다.

자체 앱을 운영하지 않고 있는 회사이므로 모든 업무는 PC웹 또는 전화로 업무를 봐야 한다. 23년 4~5월경부터 SKT 0원, LG U+1천원 미만 요금제 마케팅을 서서히 시작하다가 23년 6월 LG U+망 0원 요금제로 본격적으로 마케팅을 시작하고 있다. 다만, 일부 유심 불량 및 개통 지연 사례가 드문드문 발생하고 있다. 공지사항에서도 언급하는 점이고 사용자 게시판(모해 게시판)에서도 민원 및 불만을 제기하는 글이 많아지는 중.

2.7. 앤알커뮤니케이션(앤텔레콤)[편집]


앤텔레콤
KT, LG U+ 망을 서비스한다.

과거 15년간 KT의 별정사업자로 선불 서비스를 영위해 오던 방문판매법상 다단계판매사업자 NRC의 알뜰폰 브랜드. 최저 3천 원부터 시작. 2013년 12월에 앤텔레콤 브랜드가 출범하였으며, 자동리필, 예약리필 등 선불 쪽에선 사업을 오래 해왔다.#직접판매공제조합에 가입되어 있으므로 다단계 판매 피해를 받았을 경우 보상받을 수 있다.
2021년부터 LG U+ 망도 임대하여 사업하기 시작하였다.


2.8. 에넥스텔레콤(A모바일)[편집]


A모바일
KT, LG U+ 망을 서비스한다.

KT망으로 시작하여 2018년 1월부로 LG유플러스와 알뜰폰 계약을 체결하였고, 2018년 1월 17일부터 서비스가 개시되었다. 다만 LG U+ 망은 2023년 9월 20일부터 전산 개편으로 셀프 개통 및 사용량 조회와 같은 업무 진행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


2.9. 에스원(에스원 안심모바일) ⓔ[편집]



에스원 안심모바일
SKT, KT, LG U+ 망을 서비스한다.


2.10. 에이프러스(아시아모바일)[편집]


아시아모바일
KT, LG U+ 망을 서비스한다.

주식회사 에이프러스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2.11. 와이엘랜드(여유텔레콤) 📮[편집]


여유텔레콤
KT, LG U+ 망을 서비스한다.

요금제는 모두 무약정 USIM 요금제이며, 사이트 회원가입을 하면 '도넛 할인'이라는 추가 할인이 2015년 12월까지 제공되었다. 요금제로는 음성무한 요금제로서 28.9(21,450원) 부터 58.9(42,900원, 11GB 소진후 매일 2GB 추가제공 이후 최대 3Mbps 속도 무제한 제공)이 있고 LTE 요금제로서 42(21,000원) 부터 100(50,000원) 까지 있다.


2.12. 유니컴즈(Mobing) 📮ⓔ[편집]


모빙
SKT, KT, LG U+ 망을 서비스한다.

기본료 5,500원으로 50분 통화, 8,500원으로 100분 통화 + 100 MB 데이터 제공으로 기본료는 좀 높지만 초과요금이 통화 1.6원, 데이터 20원/MB으로 싼 편이라 스마트폰용으로 쓸만하다.
요금제 사용에 따른 TMAP 무료 사용 불가능.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접속이 안 된다. 접속 시도 시 "엣지로 열기"로 강제 리다이렉트.

2023년 2월 기준 유심을 공짜로 제공하는 몇 안되는 통신사다. 물론 nfc 유심은 유료지만 서브폰이라면 애초에 nfc 유심이 필요없으니 공짜로 일반유심을 받아 쓰면 된다. 기간한정 0원 요금제도 거의 사라진 와중에 유지 중이다.

2.13. 위너스텔(WELL) 📮[편집]


WELL
KT, LG U+ 망을 서비스한다.

주식회사 위너스텔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2.14. 코드모바일(이지모바일) ⓔ[편집]


이지모바일
KT, LG U+ 망을 서비스한다.

KT망으로 시작하여 2017년 6월 19일부로 LG유플러스와 알뜰폰 계약을 체결했으며, 알뜰폰 이외 군장병 통신 서비스와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선불 심카드 사업을 하고 있다.


2.15. 큰사람커넥트(이야기모바일) 📮ⓔ[편집]


이야기모바일
SKT, KT, LG U+ 망을 서비스한다.

큰사람커넥트의 브랜드. 큰사람과 이야기라는 키워드를 보면 눈치챌 수 있겠지만 PC통신 시절 잘 나가던 프로그램 이야기(소프트웨어)를 만든 그 곳 맞다. 특이하게 무료 국제전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야기 알뜰폰 가입자라면 전용 번호 1670-9115에 다이얼링 후 미국, 중국, 캐나다, 홍콩, 싱가포르 등 21개국의 유·무선 무료 국제 전화를 이용할 수 있다.

현재 우체국 알뜰폰 접수처를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며 알뜰10(1,000원) 요금제부터 사용이 가능하다.[2]

선·후불 모두 무서류 가능, 반면에 모바일 앱을 통해 잔여량 조회 등이 가능하다.

우체국 알뜰폰에는 2014년 10월에 입점하였으며, 초반에는 약세였다가 16년 중반 이후에는 무서운 접수율을 기록하는 곳이다.


2.16. 토스모바일[편집]



SKT, KT, LG U+ 망을 서비스한다.


2.17. ACN코리아(플래쉬모바일) [편집]


플래시모바일
KT, LG U+ 망을 서비스한다.

2.18. 프리텔레콤·인스코비(프리티) 📮ⓔ[편집]


파일:프리티 로고.svg

프리티
SKT, KT, LG U+ 망을 서비스한다.

프리텔레콤과 인스코비에서 운영하는 MVNO 브랜드. 프리텔레콤이 KT망과 SKT망을, 인스코비가 LG U+ 망을 운영하고 있다.

처음에는 선불 서비스만 하다가, 수차례 출시 연기를 한 끝에 2012년 4월 후불 사업 시작. 2014년까지는 유플러스망은 freeT, KT망 freeC로 브랜드가 분리되어 있었지만, 2015년부터 브랜드를 통합하고 SKT망까지 임대하여 판매 중이다. 이로써 프리티는 통신3사의 망을 모두 운용하는 알뜰폰 사업자가 되었다.

선불요금제에는 데이터 쿠폰 충전으로 사용 가능하나 타사 대비 비싸다[3] 선불 요금 만료일 후 3일 이내 미충전 시 직권해지. 참고로 세븐모바일 회선 기간은 무려 30년 이후까지로 설정되어 있다.

MNO인 KT와 더불어 국내에서 몇 안되는 LTE 선불 요금제를 제공하는 통신사이다. 모바일 가입 시 단말기 모델과 일련번호 입력이 필수이다.

2016년 12월 23일 KT망 선불 무제한 58.5 요금제를 출시하였다.

eSIM으로 개통할 때 주의를 요하는 통신사이다. 해지로 인한 기기정보 삭제 요청 시에도 다른 사유를 들먹이며 KAIT에 공문을 발송해 주지 않고 이로 인해 해지한 상태라고 생각하고 중고로 판매해도 DualSIM 명의 불일치로 정지당하기 때문.


2.19. KCT 한국케이블텔레콤(티플러스) 📮ⓔ[편집]


파일:태광산업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계열사
섬유 · 석유화학
태광산업 | 대한화섬 | 서한물산 | 세광패션
금융
흥국생명 | 흥국화재해상보험 | 흥국증권 | 흥국자산운용 | 고려저축은행 | 예가람저축은행
미디어
티캐스트 (E채널) | 씨네큐브 | 한국케이블텔레콤 (티플러스)
인프라 · 레저
티시스 (큰희망) | 티알엔 (북앤라이프 도서문화상품권) | 메르뱅
학교 법인
일주학원 (세화여자고등학교 · 세화여자중학교 · 세화고등학교)
공익 재단
일주학술문화재단 | 세화예술문화재단
스포츠단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배구단
사건 사고
태광산업 방폐물 불법 보관 사건 | 그룹 총수 황제 보석 | 흥국생명 채권 사태



티플러스
SKT, KT, LG U+ 망을 서비스한다.

태광그룹 계열사 한국케이블텔레콤이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사업구조는 복잡하지만 의외로 홈페이지에서 요금제 변경, 부가서비스 변경도 가능하고, 번호변경까지 가능하다. 하지만, 번지르르한 겉과 달리, 홈페이지 오류가 많고, 부가서비스의 경우 변경은 커녕 해지마저 요청시 단순 실패 메시지[4]만 뜨고 안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몇몇 부가서비스는 본인인증 과정에서 아직도 실행파일 형태의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가능하다.

2022년 10월 현재에도 타사의 경우 셀프개통이 활성화 되어있으나, 티플러스의 경우 셀프개통으로 가입이 불가한 요금제도 꽤 있으며, 온라인신청을 통한 고객센터 개통의 경우에도, 수일~일주일 이상 걸리는 경우도 있고, 해피콜 한번 없이 뜬금없이 기존 전화가 끊어져버리고 개통 되는 등[5], 개통 프로세스와 시스템에 문제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6]

과거에는 알뜰폰 사업자가 되고 얼마 안 돼서는 ①kct가 티플러스라는 브랜드로 직접 운영하고, ②계열사(모회사)인 티브로드[7]가 재판매를 하고, ③생판 딴 회사인 케이디링크에도 재판매를 하는 식이었다.

2020년 경까지 안드로이드용 고객센터 앱이 SKT망 가입자만 지원하고 LG U+망과 KT망 가입자는 로그인조차 되지 않았지만 2021년 이후에는 새로운 안드로이드용 고객센터 앱을 내놓아 문제가 해결되었다.

타 통신사와 다르게 주말과 공휴일에 다른 통신사로 번호이동이 되지 않으니 주의해야 한다.[세종텔레콤,KCT]

eSIM을 국내 최초로 도입한 통신사이다.

홈패이지 리뉴얼후 리뉴얼 기념 요금제로 요금제 변경시 SKT망 이용고객은 KCT SKT에서 KCT SKT로 번호이동신청을 통해 가입가능하며 번호이동 이후 VoLTE와 로밍, SKT와이파이를 사용가능하게 변경되었다

추가로 tplus SKT망의 eSIM변경, 교체시 홈페이지 리뉴얼 이전가입자의경우 작업이 불가하여 타통신사 혹은 해지해야 사용이 가능하다(고객센터답변)


3. SK텔레콤망 임대 사업자[편집]


  • 선불 사용자의 경우 2015년 10월까지는 KT처럼 MB당 차감이 아닌 데이터 쿠폰 구매 후 용량이 별도로 차감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2015년 10월 말 MB당 차감 방식으로 개선되었다.
  • KT 임대 사업자들과는 달리 해외폰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 SKT망 일부 아이폰 계열 VoLTE 사용이 불가능하다.
    • SKT에서 알뜰폰 망에 대해 외산폰은 신경을 안 쓰는 모양이었다가, 2017년 12월 13일부터 SKT 계열 아이폰 7, 8, X에서도 사용가능하다.


3.1. SK텔링크(SK세븐모바일) ⓔ[편집]




파일:SK텔링크 로고.svg

SK세븐모바일

[1] 예전 명칭은 세종캐피탈. 박연차 게이트의 발단이 된 회사다. 1998년부터 2006년까지 세종증권도 보유했었다.[세종텔레콤,KCT] A B 해당 통신사를 제외한 모든 사업자는 일요일과 신정, 설날, 추석 당일만 번호이동이 되지 않는다.[2] 단, 어느 통신사나 마찬가지로 무료 혜택 범위 내에서 사용했을 때 저렴한 거지 초과하면 거기서 거기.[3] MMS는 쿠폰 미가입시도 이용 가능하나 모든 이통사의 수신방식 변경으로 인해 데이터를 꺼두면 일부만 수신된다.[4] 부가서비스 변경에 실패했습니다. 고객센터에 문의하세요.[5] 번호이동 개통 신청을 하면 몇 일 동안 언제 끊어질지 불안해 하면 지내야 한다[6] 가입자를 받을 마음이 별로 없는 것인가? 시스템을 제대로 만들면 개통 업무가 줄어들잖아?[7] 케이블 TV 사업자. 현재 SK브로드밴드에 합병되어 없어졌다.


국제전화 00700으로 유명한 SK텔레콤의 자회사로 모회사의 통신망으로 영업 중. 2013년 상반기 SK텔레콤 영업정지 기간에 갑자기 휴대폰 결합요금제에 보조금을 지급해서 경쟁사로부터 SK텔레콤에게 지원 받은게 아니냐는 의심을 받았다. 2013년 6월 27일부터 세븐일레븐에서 SK 7Mobile 선불요금제에 가입된 휴대폰의 요금 충전이 가능하다. 자동로밍을 지원한다고 한다. 현재 홈쇼핑 등에서 sk란 휴대폰 + 노트북이나 티비로 끼워파는 게 바로 이 회사다. 스팸 전화로 "SK에서 우수고객 어쩌고... 기변해준다고 텔레마케팅 전화가 오는데, 99%는 SK텔링크이니 낚이기 대단히 쉽다. SK텔레콤인 줄 알고 기변 피해를 봤다는 사람이 한둘이 아닌 모양이다. 이름 가지고 교묘히 낚시질을 시전 중이다. [8]

SK텔레콤의 자회사답지 않게 2016년 2월 17일 기준 홈페이지에서 조회만 가능할 뿐, 요금제 변경이나 부가서비스 변경은커녕, 청구지 주소조차 변경할 수 없었고, 변경하려면 고객센터에 전화해야 했다.[9] 다만 현재는 전부 가능하다.

수신자의 휴대폰 전원이 꺼져 있거나, 통화 중 또는 통화할 수 없는 지역에 있을 경우 걸려온 전화번호를 수신자가 통화가 가능한 상태가 되었을 때 SMS로 알려주는 서비스인 콜키퍼 서비스가 월 550원으로 따로 가입해야 한다. MVNO 통신사에 따라 무료인 경우도 있고, 유료인 경우도 있으니 참고하면 좋다.

SK세븐모바일 선불폰과 이야기알뜰폰 선불폰으로 #0000 형식의 라디오 문자번호에 문자 전송을 시도해 보았으나 '메시지를 보내지 못했습니다.'를 내뱉으며 전송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반면 KT와 KT망을 쓰는 선불폰은 잘 보내진다. SK에서 라디오 문자번호로의 문자 전송을 막아둔 듯.

루리웹에서 바이럴마케팅을 한 적이 있다는 정황이 있다. 아이즈모바일도 같이 언급되었는데, 둘 중 어느 쪽이 한 바이럴 마케팅인지는 불명.

과거엔 자급제 폰에서 모바일 티머니가 안 되는 경우가 있었으나 현재는 사용 가능하다.

이전까지 크게 공격적인 마케팅을 하지 않았지만 타사의 자극을 받았는지 2021년 하반기에 7GB+3Mbps / 500분 / 500건 요금제를 평생할인 16,900원에 내놓는 등 본격적으로 알뜰폰 경쟁에 가세하기 시작했다. 많은 사은품은 덤. 하지만 2021년 12월 24일 요금제 할인 프로모션을 하고 얼마 되지 않아 요금제 대부분을 조금씩 인상하였다. 그러나 기존 신청 고객의 경우 계속 인상 이전 금액으로 사용 가능.

2021년 12월부터의 요금제 인상으로 인해 2022년 5월 기준으로 많은 요금제들의 요금이 큰 폭으로 인상되어 다른 알뜰폰 회사들보다 가성비가 더 떨어졌다. 예로 2021년 12월 24일 이전 16,900원이었던 7GB+1Mbps 요금제가 23,100원으로 5개월동안 무려 6,200원이나 인상[10]되어 더이상 21년 후반기의 요금을 보기는 힘들어졌다.


4. KT망 임대 사업자[편집]


2022년 6월 30일 서비스를 시작한 마이알뜰폰에서 KT망을 사용하는 모든 알뜰폰 회선을 조회·관리 가능하다.

현재 iPhone 단말기들은 KT망을 사용하는 모든 임대 사업자를 통하여 eSIM 개통시, 콜드랍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개통시 주의 바람.

4.1. KT M모바일[편집]


파일:KT 로고 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계열사
ICT/부동산
KT | 파일:KT텔레캅 로고.png | kt sat | KT엔지니어링 | kt cs | KT링커스 | KT서브마린 | 파일:kt ds CI_01.png | kt NexR | kt service 남부 | kt service 북부 | 파일:kt_M_mobile_logo.png | kt estate | INOTECH | kt is | kt MOS 남부 | kt MOS 북부 | KT커머스 | kt m&s | 후후앤컴퍼니
미디어/컨텐츠
파일:지니뮤직(기업) 로고.svg | 파일:kt alpha CI.png | 파일:PLAYD_CI_dark.jpg | 파일:skyTV.png | 파일:스카이라이프 로고.png | 나스미디어| 파일:HCN_Logo_투명화.png
금융
파일:비씨카드 로고.svg | 파일:logo_kbank.png | Smartro | 브이피(주) | H&C Network | kt mhows | kt investment
스포츠
파일:kt_sports_logo.png(파일:kt wiz 이미지심볼.svg, 파일:부산 kt 소닉붐 워드마크.png, 파일:kt 롤스터 심볼.svg, 파일:kt 사격단 로고.svg, 파일:kt 하키단 로고.svg)
비판 | 광고 | 역대 대표



파일:kt M모바일 로고(2015-2017).svg
파일:kt M모바일 로고.svg
2015 ~ 2017
2018 ~ 현재
[8] 실제 2015년 8월에 관련 건으로 방송통신위원회에 4억 8천만 원의 과징금을 냈다.[9] 단순히 SKT에서 다른 MVNO에 가입자를 뺏기지 않기 위해서 내세운 업체가 아닌지 의심스럽다.[10] 이는 시기상 매우 특이한 행보인데, SK망이 임대료가 비싸긴 해도 많은 알뜰폰 통신사에서, 하물며 SK망을 주로 사용하는 통신사조차 5월 가정의 달을 기념해 프로모션 할인을 자주, 많이 열고 있는데 비해 되려 세븐모바일에선 인상을 하고 있으니..

홈페이지

KT M모바일 문서 참조.

4.2. KT스카이라이프(스카이라이프 모바일) ⓔ[편집]


스카이라이프 모바일 스카이라이프 모바일 다이렉트

KT스카이라이프가 정체된 성장세를 타개할 목적으로 2020년 10월 30일에 서비스를 시작했다. 요금제는 일부[11]를 제외하고 같은 계열의 KT엠모바일과 거의 동일하다. 스카이라이프 알뜰폰이 생기면서 KT도 LG U+와 마찬가지로 알뜰폰 자회사가 두 곳으로 늘었다.


4.3. 드림라인(드림모바일)[편집]


드림모바일

대한민국의 기간통신사업자 드림라인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4.4. 미니게이트(M2모바일)[편집]


M2모바일

주식회사 미니게이트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4.5. 스테이지파이브(핀다이렉트) ⓔ[편집]


핀다이렉트

카카오 계열사 스테이지파이브에서 제공하는 알뜰폰 브랜드이다.
자세한 내용은 핀다이렉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6. 씨엔커뮤니케이션(WMVNO)[편집]


WMVNO

씨엔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통신업체


4.7. 더피엔엘(퍼스트모바일)[편집]


퍼스트모바일 홈페이지

사랑제일교회 관련 법인인 ‘더피엔엘’에서 시작한 사업이라 논란이 일고 있다.
"유심이 애국심" "여러분 관심과 기도로 출시"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알뜰폰 사업 진출 - 아주경제 인벤 뽐뿌 에펨코리아

다른 알뜰폰 업체들은 가격이 3사(SKT, KT, U+)의 절반정도인데 이 업체는 알뜰폰임에도 가격이 많이 비싼 편이다. KT의 데이터ON 비디오(6.9만원)와 유사한 요금제가 여기서는 6.5만원(퍼스트 데이터100G+블라이스)이다. KT다이렉트 샵에 LTE다이렉트45(셀프개통 요금제)라는 유사한 요금제가 있는데 해당 요금제의 가격은 4.5만원이다. 알뜰폰임에도 KT보다 더 비싼셈.. 출처

4.8. 포인트파크(포인트플러스모바일)[편집]


포인트플러스모바일


4.9. 고고팩토리(고고모바일)[편집]


고고모바일


5. LG U+망 임대 사업자[편집]


2020년 9월 1일 이후 LG U+망 알뜰폰 가입자는 U+ 인터넷가족결합이 가능하다. 단, U+알뜰모바일과 헬로모바일은 결합대상에서 제외다.


5.1. 미디어로그(U+유모바일) ⓔ[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U+유모바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U+유모바일 U+유모바일 다이렉트


5.2. 레그원(온국민폰)[편집]


온국민폰


5.3. 조이텔(JOYTEL)[편집]


조이텔
태평로파출소 맞은편에 주사무소가 있으며 약 60여개국의 현지 이동통신 Partner사를 통해 각국 현지의 무제한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관광 MVNO이다.


5.4. 엔티온텔레콤[편집]


엔티온텔레콤


5.5. KCTV제주방송 📮[편집]


KCTV제주방송

제주특별자치도의 케이블 사업자로, 2016년부터 우체국 알뜰폰 사업자로 신규 선정되어 우체국에 입점하였다.


5.6. 남인천방송(mfun)[편집]


mfun


5.7. 금강방송(KCN알뜰폰)[편집]


KCN알뜰폰


5.8. 인스코리아(인스모바일)[편집]


인스모바일
뽐뿌에서 선불 유심 프로모션을 위주로 사업하던 회사. 2021년 사업 영역을 알뜰폰으로 확장하였다.
하루 트래픽 제한이 있어 늦은 오후에는 해당 통신사 홈페이지에 접속이 불가능할 수 있다.


5.9. 한국피엠오(밸류컴)[편집]


밸류컴


5.10. 와이드모바일(도시락모바일)[편집]


도시락모바일

와이파이도시락을 운영하는 와이드모바일에서 출시한 알뜰폰 브랜드이다.


5.11. 씨케이커뮤스트리 (슈가모바일)[편집]


슈가모바일
국제전화 서비스 사업 위주에서 알뜰폰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였다.


5.12. KG모빌리언스 (KG모바일)[편집]


파일:KG그룹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KG모바일 로고.svg

KG모바일


5.13. (주)마블프로듀스 (마블링) ⓔ[편집]


마블링


5.14. 에르엘모바일[편집]


에르엘모바일


5.15. 사람과연결[편집]


사람과연결


5.16. SL리테일(셀모바일)[편집]


셀모바일
휴태폰 대리점에서 운영하는 알뜰폰이다.


5.17. 코나아이(모나)[편집]


모나


5.18. 핀샷(코인샷)[편집]


모나


5.19. 한패스인터내셔널(한패스모바일)[편집]


한패스 모바일


5.20. 보스그룹(화인통신)[편집]


화인통신
중화권 유학생 위주로 사용하고 있다.


6. 특수 사업자[편집]


B2C용 사업을 운영하지 않는 사업자를 별도 문단으로 구분하였다.


6.1. 현대자동차그룹[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현대자동차그룹/텔레매틱스 서비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사 차량의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위해 MVNO 사업을 하고있다.
서비스 명칭은 차량 브랜드마다 다르지만, 기능 및 연결되는 고객센터와 서버는 동일하다.

통신사는 차종별로 상이하다.

6.2. 한국정보통신[편집]


1986년 5월 설립된 금융VAN사로 SK텔레콤의 데이터망만 임대받아서 "EasyAir"라는 서비스명으로 신용카드 단말기 및 POS 장비에 연결 가능한 무선통신 서비스를 하는 업체다. 마지막으로 출시된 모델은 LAN 포트로 매장의 노트북, 카드결제기, POS 단말에 모두 연결이 가능하다.[12] 월정액 5천 원에 서비스하고 있고, 무선이라 인테리어에 유리한 등의 장점을 내세우고 있다. 2016년 9월 기준, LTE 통신망을 사용한 단말도 MVNO사 통신 전용 단말 최초로 출시하였다.


7. 사업을 중단한 사업자[편집]



7.1. 케이디링크(에코모바일)[편집]


2012년경 SK망으로 사업 시작. 특이하게 티플러스쪽 전산을 사용했는지 티플러스 쪽에서 전산이 조회되기도 했다. 사례 당시에는 KT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회선이 KT 홈페이지에서 조회가 가능하는 등 전반적으로 전산 분리가 깔끔하지는 않았던 시기지만, 망 소유주가 아닌 전산망 소유주쪽으로 조회되는 케이스는 에코모바일이 유일했다.

뽐뿌를 중심으로 기본료 면제 프로모션을 대대적으로 펼쳐 저렴한 가격이라는 입소문이 났고, 2013년에는 한국소비자원이 선정한 가장 저렴한 알뜰폰으로 선정되기도 했다.기사 하지만 이 때문에 사업성이 높지 않았는지 2015년 7월 사업이 종료되었고, 기존 이용자들은 티플러스로 이관되었다.


7.2. 홈플러스(플러스 모바일)[편집]


2013년 03월 KT망으로 사업을 개시하였고 조선비즈, 이후 2014년 7월 U+망으로 사업을 확장하였다. 연합뉴스 하지만 2015년 6월부터 신규 가입이 중단되었고, 이후 2017년 11월 30일부로 완전히 철수했다. 뉴스웨이

사업 당시에는 비츠모와 협력하여 자체적인 폴더폰을 발매하는 등 나름 야심차게 사업을 진행하였으나, 당시에는 알뜰폰 시장의 선호도가 높지 않았던데다 테스코에서 사모펀드로의 매각까지 얽혀있어 결국 철수를 결정한 듯 하다.

테스코 소유의 흔적으로, 플러스 모바일의 로고는 영국 테스코테스코 모바일의 로고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직접적인 알뜰폰 사업은 철수한 상황이며 현재 운영되는 홈플러스 요금제는 자체 알뜰폰이 아닌 U+유모바일과 제휴한 요금제이다.

7.3. 이마트(이마트 알뜰폰)[편집]


SKT망으로 시작하여 이후 U+망으로 확장하였다. 특이하게 이마트나 이마트몰에서 특정 물품을 구매하면 요금을 할인해 준다는 특징이 있다. 일종의 광고 수익이라고 보면 된다.

2018년 4월 1일부로 신규가입 접수를 중단하였으며 2021년 01월 31일 부로 완전히 철수했다. 기존 이용자는 3월 31일까지 아이즈비전으로 변경 동의하거나 직접 번호이동해야 한다.

직접적인 알뜰폰 사업은 철수했다. 현재 운영되는 emart24요금제는 이마트 알뜰폰이 아니라 이마트와 mvno 회사인 프리티 U+망이 제휴하여 연계 판매하는 것이다.


7.4. 서경방송(서경모바일) 📮[편집]


서경휴대폰

경상남도 서부지역의 케이블 사업자, 2016년부터 우체국 알뜰폰 사업자로 신규 선정되어 우체국에 입점하였다.

2023년부터 신규가입 업무를 중단하였고, 2023년 6월 30일로 서비스를 종료한다.

[11] 몇몇 제휴 요금제 면에서 차이가 있다.[12] 보통 신용카드 단말기는 유선전화망 또는 유선인터넷망을 이용한다. 전화선으로 결제하면 건 당 통신사용료가 발생하며, 무선통신 모뎀을 통해 이용 시 무제한 이용이 가능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5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1;"
, 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5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1;"
, 1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22:09:05에 나무위키 통신회사/MVNO 통신사 목록/대한민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