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시 시내버스

덤프버전 :





파일:통영시 CI.svg 통영시 시내버스

[ 펼치기 · 접기 ]
도남동
신봉
영운리

100
101
104
105
113
121
128
141
143
144
181
184
용화사
200
206
211
231
235
240
243
244
281
미수동
300
301
302
303
312
321
341
344
348
354
381
해양과학대
인평동

400
401
403
405
409
411
414
418
428
436
440
442
443
455
456
457
481
삼덕
척포
달아

500
501
502
503
530
531
533
534
535
540
541
581
서호시장
600
601
602
610
612
613
615
620
630
631
632
640
643
653
660
661
663
664
665
667
670
671
672
674
675
676
677
678
681

거제대교
750
752
758
시외터미널
906
930
940
948
953
954
955
961
963
964
965
971
972
973
976
977
978
욕지도
욕지도 마을버스
연화도
연화도 마을버스
온정버스
51
52
53
54
55
56
60
61
73
74
75
76
81



파일:통영시 CI.svg
통영시 시내버스
Tongyeong City Bus
노선수
103개
업체수
3개
차량수
103대[1]
운행시간
04:40-23:40
운임제도
단일요금제, 환승할인제
운영제도
민영제

1. 개요
2. 행정
3. 노선
3.1. 버스 번호 부여 방식
3.2. 일반버스
3.2.1. 100번대
3.2.2. 200번대
3.2.3. 300번대
3.2.4. 400번대
3.2.5. 500번대
3.2.6. 600번대
3.2.7. 700번대
3.2.7.1. 2010년 개편
3.2.7.2. 2021년 개편 이후
3.2.8. 900번대
3.2.9. 도서지역 노선
3.3. 온정버스
4. 요금
5. 도색
6. 업체
7. 문제점
7.1. 개막장 버스회사
7.2. 너무 비싼 요금
7.3. 완전 막장 BIS
7.4. 노선 번호의 막장성
8. 참고사항



1. 개요[편집]


경상남도 통영시 안전도시국 교통과에서 관리하며, 경상남도 통영시 일대 및 경상남도 고성군, 거제시 일부 구간[3]을 운행하는 시내버스의 총칭.


2. 행정[편집]


2000년대 초반까지는 두 자리 수를 이용해서 노선 번호를 구성했지만, 2010년 1월 1일부터 BMS 도입과 함께 세 자리수로 번호를 대대적으로 개편했다. 교통카드도 다소 특이하게 2005년부터 도입했으나, 회수권 사용은 2007년까지 계속되었다.

이웃한 거제시 시내버스와는 달리 전면 LED 행선판만 부착하고, 측면의 경우 꽂이식 행선판을 그대로 달고 운행한다. 한국어만 지원하며, 그마저도 종종 꺼놓고 다녀서 시민들의 불만이 좀 있다. 대신 거제시 시내버스에는 없는 후면 LED 노선 번호판을 가지고 있다. 2015년 11월 즈음 부터는 측면도 LED 행선판으로 거의 교체되었다.(2017년 기준으로 신차가 일부 추가 되었고 신차에 측면 LED가 적용이 되었다.) 꽂이식 행선판은 이제 없다. 그리고 2021년 3월 22일부터 배차시간 조정과 일부노선 개편이 이루어졌다.


3. 노선[편집]



3.1. 버스 번호 부여 방식[편집]


2010년 개편 이전의 버스 번대 부여방식은 다음과 같다. 끝자리에 따라 중간 경유지가 달라지거나, 종점이 좀 더 연장되었다. 당시에는 시외주차장(현 통영종합버스터미널)까지 가는 버스가 대부분이었으므로, 기점은 생략하고 종점만 표기한다.
  • 일반버스
    • 봉평, 도남동, 산양읍: 10번대
    • 용화사: 20번대
    • 미수동, 산양읍: 30번대
    • 경상대학교 통영캠퍼스, 인평동: 40번대
    • 용남면: 50번대
    • 노산: 60번대
    • 도산: 70번대

2010년 개편 이전에 있던 버스 번호와 온정버스 번호 부여 방식이 매우 흡사하다

개편 이후에는 자리수가 3자리로 변경되어 다음과 같아졌다. 노선의 전체 수는 줄었긴 한데 번호 배정 방식이 훨씬 불규칙해졌다.
  • 일반버스
    • 도남동종점: 100번대(일부 노선 영운리종점, 신봉종점까지 운행)
    • 용화사: 200번대
    • 미수동(세포고개): 300번대
    • 경상대학교 통영캠퍼스: 400번대(일부 노선 인평동종점, 평림예비군훈련장까지 운행)
    • 삼덕종점: 500번대 (일부 노선 달아, 척포까지 운행)
    • 서호시장 기점 버스: 600번대
    • 관광 특화 버스: 700번[4]
    • 터미널종점: 900번대[5]

하지만 2021년 3월 22일 이후로 다시 개편이 되었다.
  • 일반버스
    • 도남동종점: 100번대(일부 노선 영운리종점, 신봉종점까지 운행)
    • 용화사: 200번대
    • 미수동(세포고개): 300번대
    • 경상대학교 통영캠퍼스: 400번대(일부 노선 인평동종점, 평림예비군훈련장까지 운행)
    • 삼덕종점: 500번대 (일부 노선 달아, 척포까지 운행)
    • 서호시장 기점 버스: 600번대
    • 거제종점: 700번대[6]
    • 터미널종점: 900번대
  • 온정버스
    • 50번대 봉평 및 산양읍 순환
    • 60번대 노산 및 안정 순환 (광도면 북부)
    • 70번대 도산면 순환 (도산 농협 기점)
    • 80번대 죽림-용남면 (원평 경유) [7]


3.2. 일반버스[편집]


통영시의 유일한 버스 등급. 성인 기준으로 현금 1,500원, 교통카드 1,450원을 받는다. 저상버스도 상당히 많다. 모든 노선은 통영시 버스정보시스템으로부터 따랐다. 만약 폐선된 노선을 볼려면 통영시 시내버스/폐선으로 가서 보면 된다.

파일: 통영버스 1.jpg
파일: 통영 버스 2.jpg
출처는 통영시청. 굉장히 복잡한 노선도이다(...). 아래 설명을 참조할 것.


3.2.1. 100번대[편집]


도심 경유 도남동종점 방면.
미륵도에서 가장 넓은 면적의 주거지대인 도남, 봉평동을 기점으로 삼는 노선 시리즈. 600번대와 함께 통영시에서 가장 많은 운행 횟수를 자랑하고 있는 번호대이다. 도남동종점 옆의 마리나리조트와 통영국제음악당, 그리고 통영시의 명물 중 하나인 미륵산 케이블카를 이용하는 관광객들이 많이 이용하며, 통영에서 가장 큰 남고인 통영고등학교 재학생들도 많이 이용한다. 100번은 통영시 내에서도 상당히 많은 배차횟수를 자랑한다.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다.
  • 100번: 도남동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수아지오(구 코리아 웨딩홀) ↔ 청구아파트(법원, 검찰청 입구) ↔ 거제대교
  • 101번: 도남동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통영고려병원 ↔ 죽림지구 ↔ 터미널
  • 104번: 영운리 ↔ 도남동 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수아지오 ↔ 죽림지구 ↔ 터미널
  • 105번: 신봉마을, 영운리 ↔ 도남동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수아지오 ↔ 죽림지구 ↔ 터미널
  • 113번: 도남동종점 ↔ 봉평오거리 ↔정량동 ↔ 시청 ↔ 거제대교
  • 121번: 도남동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시장 ↔ 정량동 ↔ 북신시장 ↔ 통영고려병원 ↔ 죽림향교[8]터미널
  • 128번: 터미널 ↔ 향교 ↔ 동원고 ↔ 청솔약국 ↔정량동 ↔ 도남동 종점[편도]
  • 140번: 도남동 종점↔통영고등학교↔통영중학교↔통영대교↔(통영터널)↔죽림지구↔터미널
  • 141번: 도남동종점 ↔ 통영케이블카[9]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통영고려병원 ↔ 죽림지구 ↔ 터미널
  • 143번: 도남동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수아지오 ↔ 원평 ↔ 거제대교
  • 144번: 도남동종점↔봉평동↔통영대교 밑↔인평동
  • 181번,184번: 도남동 종점 ↔ 루지[10]↔봉평오거리↔서호, 중앙, 북신시장 ↔ 말구리(동원고 방향),한진로즈힐(북신시장 방향)↔ 동원고 ↔터미널



3.2.2. 200번대[편집]


파일:통영일렉200.jpg
통영교통 소속 현대 일렉시티 차량.
200번 노선
도심 경유 용화사종점 방면.
교통 소외지 중 하나인 봉평동 남부(봉평주공아파트 일대)를 커버하고 미륵산 등산객 및 용화사 참배객을 위해 만든 노선이다. 출퇴근시간에는 해당 지역 주민 및 통영중학교 학생들이,[11] 주말에는 등산객들이 상당히 많이 이용한다. 특히 부처님 오신 날에는 하루 종일 가축수송을 한다. 또한 4월 봉수골에 벚꽃 필 철에는 벚꽃 보러 가는 관광객도 꽤 있는 편이어서 미어 터진다.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다.
  • 200번: 용화사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새통영병원 ↔ 죽림지구 ↔ 터미널 ↔ 도산종점
  • 206번: 용화사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수아지오(구 코리아 웨딩홀) ↔ 청구아파트(법원, 검찰청 입구) ↔ 내포[12]
  • 211번: 용화사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시장 ↔ 중앙시장[13] ↔ 정량동 ↔북신시장 ↔고려병원 ↔ 죽림지구 ↔ 터미널
  • 231번: 용화사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통영고려병원 ↔ 죽림향교 ↔ 터미널
  • 240번: 용화사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고려병원 ↔ 죽림지구 ↔ 터미널 ↔ 도산
  • 235번: 용화사종점 ↔봉평오거리 ↔ 서호,중앙,북신시장 ↔ 고려병원 ↔ 향교 ↔홀리골 마을 ↔ 터미널
  • 243번: 용화사종점 ↔ 봉평오거리 ↔ 산복도로 ↔ 충무고등학교 ↔ 광우A ↔ 용남면 ↔ 거제대교
  • 244번: 용화사종점 ↔ 봉평오거리 ↔ 미수해안로↔ 해양과학대종점[14]
  • 281번: 용화사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동원고 ↔ 향교 ↔ 터미널


3.2.3. 300번대[편집]


도심 경유 세포고개(미수동종점) 방면.
미륵도의 주요 주거지구인 미수동 주민을 위해 만든 노선이다. 미수동이 미륵도 내에서 가장 높은 인구 밀도를 자랑하는 행정동이다 보니 운행 횟수가 많고, 이 구간은 500번대도 같이 운행하면서 수요를 분담하고 있다. 등하교 시간에는 대우상가아파트부터 두룡초등학교 후문 정류소까지는 학생들로 꽉꽉 채워 다닌다.
단 펜션들이 모여 있는 세포마을까지는 운행하지 않고 택시 시계외할증 기점인 세포고개에서 딱 끊기 때문에 대부분의 펜션에서는 보통 종점에서 기다리면 차로 픽업하러 오기도 한다. 또 충무교 인근 도로 배치 문제로 충무교 ↔ 미수해안로 구간에서 방향별로 운행 방식이 갈리는데 이는 후술.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다.
  • 300번: 미수동종점↔서호, 중앙, 북신시장↔고려병원↔죽림지구↔터미널↔노산
  • 301번: 미수동종점 ↔ 미수해안로↔진남초등학교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통영고려병원 ↔ 죽림지구 ↔ 터미널
  • 302번: 미수동 종점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무전동 종점
  • 303번: 미수동 종점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수아지오 ↔ 거제대교
  • 312번: 미수동 종점 ↔ 서호, 중앙시장 ↔ 정량동 ↔ 무전동 종점
  • 321번: 미수동종점 ↔ 미수해안로↔봉평오거리↔진남초등학교↔ 서호시장 ↔ 정량동 ↔ 북신시장 ↔ 통영고려병원 ↔ 죽림향교 ↔ 터미널
  • 341번: 미수광바위↔미수해안로↔봉평오거리↔진남초등학교↔고려병원↔터미널
  • 344번: 미수동종점↔봉평오거리↔통영대교밑↔해양대↔인평동
  • 348번: 미수동종점 ↔ 서호시장 ↔ 북신시장 ↔ 수아지오 ↔ 원평 ↔ 해간도
  • 354번: 미수동종점↔미수해안로↔봉평오거리↔서호/중앙시장↔고려병원↔향교/죽림마을↔터미널↔구집
  • 381번: 터미널↔한선↔동원중/고↔새통영병원↔충무교↔미수동종점


3.2.4. 400번대[편집]


파일:SNOW_20231022_194726_787.jpg
부산교통이 운행하는 400번

통영시의 양대 교통오지로 분류되는 인평동 지역을 커버하는 노선이다. 다만 대부분의 노선이 해양대종점(인평초등학교)에서 끝나며, 인평종점은 거기서 조금 더 들어가는 민양마을(어촌계회관)에 있다.일단 편도 노선이 상당히 많고 통영시의 또다른 교통오지인 정량동을 경유하는 노선이 전체 배차의 반을 넘게 차지한다. 거기다가 400번대 노선들은 전체적으로 배차 간격이 긴 편에 속하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에 인평동 소재 중학교(충무중학교, 충무여자중학교)로 등하교하려는 학생들로 버스가 북새통이 되므로, 등하교 시간대에 이 버스를 타는 건 여러 가지로 민폐다.[15] 관광객들이 이용하기에는 그다지 편하지 않지만, 모든 노선이 해저터널 입구에 정차하기 때문에 그나마 이용하는 편.[16]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다.
  • 400번: 해양대종점 ↔ 해저터널입구, 도천횟집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통영고려병원 ↔ 죽림지구 ↔ 터미널
  • 401번: 인평종점 ↔ 인평주공아파트 ↔ 해양과학대 ↔ 서호,중앙시장 ↔ 무전동(시네마방면)↔새통영병원↔향교/죽림마을 ↔ 터미널
  • 403번: 인평종점 ↔ 충무중 ↔ 해저터널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수아지오 ↔ 용남면 ↔ 거제대교 [편도]
  • 405번: 해양대종점 ↔ 충무중 ↔ 해저터널↔ 충렬사 ↔새통영병원 ↔ 한선A ↔ 터미널[편도]
  • 409번: 해양대종점 ↔ 충무중 ↔해저터널 ↔ 고려병원 ↔말구리 ↔ 법송 ↔ 분지포
  • 410번: 인평종점↔충무중 ↔ 서호, 중앙시장 ↔ 정량동 ↔북신시장 ↔ 고려병원 ↔ 죽림지구 ↔ 터미널
  • 411번: 해양대 종점 ↔ 충무중 ↔ 서호, 중앙 시장 ↔ 정량동 ↔ 북신시장 ↔ 수아지오 ↔ 향교 ↔ 터미널
  • 414번: 해양대종점 ↔ 해저터널입구, 도천횟집거리 ↔ 서호시장 ↔ 정량동 ↔ 동호동SLS조선소[17] ↔ 북신시장 ↔ 무전동차고지
  • 416번,418번: 해양대종점 ↔ 해저터널 ↔ 정량동 ↔ 동원아파트(418번만 경유) ↔ 선촌마을(용남면) ↔ 화포마을(용남면) ↔ 오촌
  • 428번: 해양대종점 ↔ 해저터널입구, 도천횟집거리 ↔ 서호시장 ↔ 정량동 ↔ 북신시장 ↔ 통영고려병원 ↔ 동원중고등학교 ↔ 향교 ↔ 터미널[18]
  • 436번: 황리임중 ↔ 안정 ↔ 터미널 ↔ 향교 ↔ 수아지오 ↔ 북신시장 ↔ 충무중 ↔ 해양대 종점 [편도]
  • 440번: 신우희가로↔터미널↔ 주영팰리스↔ 한선a ↔ 새통영병원↔(통영터널)↔경상대 통영캠↔충무중,충무여중↔해앙대종점 [19][20]
  • 442번: 터미널 ↔ 죽림지구 ↔ 청솔약국 ↔ 북신시장 ↔ 국치, 천대 마을 ↔ 인평종점 [편도]
  • 443번: 거제대교↔원평↔수아지오↔북신, 중앙, 서호시장 ↔ 충무중 ↔ 해양대종점
  • 455번: 해양대종점 ↔ 인평주공 ↔ 해저터널 ↔ 서호/중앙시장 ↔ 말구리(상행),새통영병원(하행) ↔ 원문마을 ↔ 대방포
  • 456번: 해양대종점 ↔ 충무중 ↔ 해저터널 ↔ 수아지오(오촌 방향) ↔ 시청(해양대방향) ↔ 오촌
  • 457번: 대방포 ↔ 용남면 ↔ 시청 ↔ 무전동 ↔ 토성고개 ↔ 중앙, 서호시장 ↔ 충무중 ↔ 해양대 종점 [편도]
  • 481번: 인평종점 ↔ 충무중 ↔ 해저터널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고려병원 ↔ 동원고 ↔ 죽림지구 ↔ 터미널

3.2.5. 500번대[편집]


파일:부산교통551디젤저상.jpg
파일:통영교통500뉴슈퍼.jpg
파일:신흥여객537뉴슈퍼.jpg
551번 노선
500번 노선
537번 노선
NEW BS110 디젤 차량.
뉴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 차량
부산교통 차량
통영교통 차량
신흥여객 차량
중간에 있는 노선빼고 나머지는 모두 폐선되었다.

도심 경유 삼덕, 달아, 척포종점 방면.

미륵도 남부 지역은 상당히 낙후되어 있는데, 500번대 노선들은 이 쪽을 기점으로 하고 있다. 덕분에 노선 길이가 상당히 긴 데다가 커브에 구배도 많은 산양일주도로를 타고 다니다 보니 이 구간을 운행하는 버스들은 버스 상태가 영 별로고 대차도 별로 없다(...). 모든 노선이 미수동을 경유하기 때문에 300번과 상호 보완 역할도 하고 있고, 배차 횟수가 상당히 많은 편이다. 또한 통영시에서 가장 늦게 운행을 끝내는 버스도 바로 이 번호대의 버스다.
모든 버스가 미륵도 남부의 유일한 중학교인 산양중학교를 경유하므로 통학 수요도 다소 있지만, 이 노선의 핵심 수요는 연선 주민들과 낚시 가는 사람들이다. 연선에 낚시 포인트가 말 그대로 널려 있는데다 갯바위나 선상낚시를 하려는 사람들을 위한 낚시배가 정박하는 포구가 거의 다 이쪽에 몰려 있어서 휴가철이 되면 낚시채비와 가방을 바리바리 싸들고 다니는 사람들을 항상 볼 수 있다.
다니는 지역이 지역이다 보니 미륵도 남부 어촌마을에서 탑승하시는 어르신들이 상당히 많아서, 매월 2/7[21]로 끝나는 날인 서호시장/중앙시장 장날은 중앙시장 정류장부터 종점까지 장에 팔 짐을 들고 다니시는 어르신들로 버스가 북새통을 이룬다. 300번대 버스와 마찬가지로, 충무교 인근 도로 배치 문제로 충무교 ↔ 미수해안로 구간에서 노선별로 운행 방식이 갈리는데, 몇몇 버스는 봉평오거리로 돌아 가기도 한다.

2021년 3월 22일 개편으로 501,502,503번 제외하고는 전부 일부 조정을 하거나 폐선을 하였다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다.
  • 500번: 삼덕 ↔ 봉평오거리 ↔ 토성고개 ↔ 새통영병원 ↔ 한선A ↔ 터미널
  • 501번: 삼덕종점 ↔ 미수동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통영고려병원 ↔ 죽림지구 ↔ 터미널
  • 502번: 삼덕종점 ↔ 미수동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무전동
  • 503번: 삼덕종점 ↔ 미수동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수아지오 ↔ 거제대교
  • 530번: 척포(순환종점)↔ 산양삼거리 ↔ 봉평오거리 ↔ 고려병원 ↔ 한선A ↔ 터미널
  • 531번: 척포 ↔ 달아공원 ↔ 미수동 ↔ 중앙시장 ↔ 북신시장 ↔ 고려병원 ↔ 죽림지구 ↔ 터미널
  • 533번: 거제대교 ↔ 용남면 ↔ 북신시장 ↔ 중앙시장 ↔ 미수동 ↔ 금평 [편도]
  • 534변: 금평 ↔ 봉평오거리 ↔ 중앙시장 ↔ 북신시장 ↔ 고려병원 ↔ 향교 ↔ 신우희가로
  • 535번: 금평 ↔ 둔전마을 ↔ 산양삼거리 ↔ 봉평오거리 ↔ 토성고개 ↔ 향교/죽림마을 ↔ 신우희가로 종점
  • 540번,541번: 풍화리↔새길(540번 경유),철둑(541번 경유) ↔ 봉평오거리 ↔ 중앙시장 ↔ 북신시장 ↔ 수아지오 ↔ 향교 ↔ 터미널
  • 581번: 금평 ↔산양삼거리 ↔ 봉평오거리 ↔ 토성고개 ↔ 말구리 ↔ 동원중/고 ↔ 터미널


3.2.6. 600번대[편집]


파일:신흥600디젤저상.jpg
신흥여객 소속 NEW BS110 디젤 차량.
600번 본선
통영 오지투어 시리즈의 알파와 오메가
서호시장 기점 노선들이다. 즉 미륵도 방향으로는 가지 않는다. 정류장 내 노선도에는 순환노선이라고 되어 있는데 글쎄...

통영 북부와 동부 오지들을 커버하기 위해 신설된 노선들. 과거 60번대 노선들은 대부분 통영시를 종단으로 잇는 노선들이 대부분이었으며, 신설 노선들도 이러한 경향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통영 여행 시 가장 조심해야 하는 노선번대이다. 과반수 이상의 노선이 버스터미널에서 끊기는 데 반해, 이 노선번대는 터미널을 중간경유지로 하고 더 가는 경우가 태반이기 때문에 무심코 졸았다가는 깨 보니 완전 오지인 경우가 많다. 더군다나 이 노선들은 기점 자체가 서호시장에서 끝나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환승을 목적으로 해야 하며, 인근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종점 인근에 사는 주민들이기 때문에 중앙시장에서 자리가 안 났다면 거의 100% 터미널까지 서서 가야 한다.

600번 노선은 통영시 시내버스 중에서 상위권의 빗자루질을 자랑한다.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다.
  • 600번: 서호시장 ↔ 중앙, 북신시장 ↔ 수아지오(구 코리아 웨딩홀) ↔ 죽림지구 ↔ ↔터미널
  • 601번: 서호시장 ↔ 산복도로 ↔ 충무고등학교↔ 한선A ↔ 터미널
  • 610번, 615번: 도리골(615번 기점)↔서호시장(610번)↔정량동↔북신시장↔ 수아지오 ↔ 죽림지구 ↔ 터미널
  • 613번: 도리골 ↔ 서호시장 ↔ 정량동 ↔ 무전동 ↔ 용남면 ↔ 거제대교
  • 620번: 서호시장 ↔ 정량동 ↔ 시청 ↔ 보건소 ↔ 한진로즈힐 ↔ 죽림지구 ↔ 터미널
  • 630번: 서호시장 ↔ 충무중 ↔ 평림동 ↔ 무전동 ↔ 중앙시장 ↔ 서호시장 (순환 노선)
  • 640번: 서호시장 ↔ 중앙시장 ↔ 북신시장 ↔ 고려병원 ↔ 고용노동센터 ↔ 신죽 ↔ 터미널
  • 653번:서호시장↔무전동↔용남면↔충렬여중/고↔거제 성포
  • 660번: 서호시장 ↔ 북신시장 ↔ 무전동 ↔ 향교 ↔ 터미널 ↔ 노산 ↔ 전두마을 ↔ 천개마을 ↔ 안정 ↔ 황리임중
  • 661번: 서호시장 ↔ 북신시장 ↔ 무전동 ↔ 향교 ↔ 터미널 ↔ 노산 ↔ 전두마을 ↔ 안정 ↔ 안정사
  • 663번: 서호시장 ↔ 북신시장 ↔ 무전동 ↔ 향교 ↔ 터미널 ↔ 전두마을 ↔ 안정 ↔ 황리임중
  • 664번: 서호시장 ↔ 북신시장 ↔ 무전동 ↔ 향교 ↔ 터미널 ↔ 전두마을 ↔ 안정 ↔ 무량촌
  • 665번,667번:도리골(667번 기점)↔ 서호시장(665번 기점) ↔ 중앙, 북신시장 ↔ 수아지오(구 코리아 웨딩홀) ↔ 죽림향교 ↔ 터미널 ↔ 노산 ↔ 임외사거리, 무량촌입구(시경계) ↔ 고성당동
  • 671번: 서호시장 ↔ 고려병원 ↔ 말구리 ↔ 용호 ↔ 분지포
  • 672번: 서호시장 ↔ 수아지오 ↔ 죽림지구 ↔ 터미널 ↔ 가오치
  • 673번: 서호시장 ↔ 수아지오 ↔ 향교 ↔ 터미널 ↔ 도산 ↔ 가오치 ↔ 저산
  • 674번: 서호시장 ↔ 수아지오 ↔ 향교 ↔ 터미널 ↔ 도산 ↔ 수월
  • 675번: 서호시장 ↔ 수아지오 ↔ 향교 ↔ 터미널 ↔ 잠포 ↔저산
  • 676번: 서호시장 ↔ 수아지오 ↔ 죽림지구 ↔ 터미널 ↔ 원산
  • 677번: 서호시장 ↔ 수아지오 ↔ 죽림지구 ↔ 터미널 ↔ 도산 ↔ 사계 ↔ 원산 [편도]
  • 678번: 서호시장 ↔ 중앙, 북신시장 ↔ 수아지오(구 코리아 웨딩홀) ↔ 죽림향교 ↔ 터미널 ↔ 도산 ↔ 원산종점, 월평


3.2.7. 700번대[편집]



3.2.7.1. 2010년 개편[편집]

관광지 전용 노선.

말 그대로 통영에서 사람들이 관광갈 만한 곳들만 찔러 가는 노선이다.
운행 루트는 도남동종점 ↔ 케이블카승강장 ↔ 통영대교, 해양과학대 ↔ 해저터널, 윤이상기념관 ↔ 산복도로 ↔ 충렬사, 세병관 ↔ 고려병원, 한진로즈힐 ↔ 죽림향교 ↔ 터미널 구간이다. 문제는 이 버스는 시간표에도 나와 있지 않고, 실제로 이걸 운행하는 걸 본 사람이 거의 없어서 존재하는지도 모르는 사람이 태반.

2016년 4월 기준 시청 버스정보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 폐선된 듯하다.


3.2.7.2. 2021년 개편 이후[편집]

죽림 경유 거제대교 방면.

하지만 2021년 3월 22일에 다시 700번대가 탄생하였다.
주요노선은 다음과 같다.

  • 750번: 거제대교↔충렬여중/고↔용남면↔시청↔무전동↔새통영병원↔신우희가로(종점)
  • 752번: 무량촌↔노산↔시외버스터미널↔죽림/향교마을↔새통영병원↔용남면↔충렬여중/고↔거제대교 [편도]
  • 758번: 거제대교↔충렬여중/고↔용남면↔시청↔무전동↔동원중/고↔시외버스터미널 [22]


3.2.8. 900번대[편집]


터미널로 가는 심야버스 노선.

평림동과 거제대교 외 15곳에 출발해서 시외터미널까지 가는 노선이며, 시내로는 다 가지 않는다. 시민들이 시외터미널까지 여유롭게 이용하려고 이 노선들을 신설한거 같다. 전 노선들이 다른 곳으로 가는 노선들을 개량했다.
딱히 할말은 필요없는거 같지만, 공차였던 노선들이 이 노선으로 전환되는게 큰 호응을 준거 같다. 다만, 단점은 얘네들이 터미널까지만 간다는 점이다. 딴 곳으로 갈려면 종점인 터미널에서 환승하고 가자.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다.
  • 906번[23]: 내포 ↔ 용남면사무소 ↔ 통영시청옆 ↔ 무전동주민센터 ↔ 통영시보건소 ↔ 디지털프라자 ↔ 죽림향교 ↔ 터미널
  • 940번: 평림동→ 터미널
  • 947번: 연기→ 터미널
  • 953번: 성포→ 터미널
  • 954번: 구집→ 터미널
  • 961번: 안정사→ 터미널
  • 963번: 황리임중→ 터미널
  • 964번: 무량촌→ 터미널
  • 965번: 고성당동→ 터미널
  • 970번: 가오치→ 터미널
  • 971번: 분지포→ 터미널
  • 972번: 저산→ 터미널
  • 976번: 원산→ 터미널
  • 978번: 월평→ 터미널


3.2.9. 도서지역 노선[편집]


사량도, 한산도, 욕지도에는 공영버스 형태로 운영된다.

3.3. 온정버스[편집]


2020년 11월 25일에 도산면, 산양읍, 광도면, 용남면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개통했다.
운행 구간은 용남면과 광도면이 시외터미널 기점이고, 도산면은 도산면사무소 기점, 산양읍은 봉평오거리 기점으로 순환 운행한다.
이용 요금은 일반버스 요금이랑 똑같다.

차량은 도서 지역에서 운행했던 카운티랑, 온정버스 전용 도색인 카운티 뉴 브리즈로 운행한다.


4. 요금[편집]


승하차 정류장에 따라 요금이 달라진다.

성인
청소년
초등학생
비고
현금
카드
현금
카드
현금
카드
거제성포 승하차
1,850
1,750
1,500
1,400
1,250
1,150

고성당동 승하차
1,450
1,350
1,150
1,050
900
850

통영시 기본요금
1,500
1,450
1,000
950
750
700


교통카드선불티머니, 캐시비, 마이비, 하나로카드, 한페이, 레일플러스, 후불KB국민카드, BC카드, 신한카드, 농협카드, 하나카드, 삼성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가 사용되고 있다.

거제 버스와는 거제대교 차고지에서, 고성군 버스와는 고성당동 정류장에서 만나며, 2023년 4월 26일에 거제시 시내버스와 광역환승할인을 시행하지만 고성군 농어촌버스와의 환승할인 혜택은 제공되지 않는다. 심지어 고성군 버스는 고성당동 경유 버스에 교통카드 단말기 장착 버스가 없어서 어차피 교통카드 자체를 이용할 수 없다.

통영시 시내버스 노선의 경우 교통카드로 승하차 시 환승할인을 적용받을 수 있는데, 과거에는 1회에 한해 하차 후 60분 이내 환승 시 무료였으나 2015년 3월 1일부터 동 지역(삼덕, 거제대교, 도산, 노산, 시외터미널 인근 포함)은 하차 후 30분 이내, 읍면 지역(평림동 포함)은 60분 이내로 변경되었다. 이 때문에 반발이 극심하지만 부산교통과 통영시청은 모르쇠로 일관하는 중.[24]


5. 도색[편집]



파일:통영교통 뉴슈퍼 개선형 도색.jpg
파일:통영뉴슈퍼후면.jpg
전면/측면[25]
후면
통영교통 소속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차량.

과거에는 경남21 도색을 주로 사용하였지만 지금은 모두 사라지고 경상남도 천연가스버스 도색을 사용한다. 그리고 사량도, 욕지도, 온정버스에는 자체 도색을 쓰고 있다.[26][27] 통영교통 일렉시티에 한해 창원 간선 도색을 살짝 변형한 부산교통 계열사 공용도색을 사용한다.


6. 업체[편집]


통영교통•부산교통신흥여객이 운영하고 있는데, 통영교통은 부산교통과 영화여객(부산교통의 계열사)의 통영시 내 인가 버스를 모두 이관시킨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통영교통=(영화여객+부산교통 통영차량)=부산교통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7. 문제점[편집]



7.1. 개막장 버스회사[편집]


신흥여객과 통영교통의 사이는 완전 막장으로, 견원지간보다도 더한 원수 관계를 보여준다.

과거 신흥여객이 교통카드 단말 계약을 한국스마트카드와 하려고 시도했을 때, 과거에는 받아 주었던 신흥여객 발매 회수권을 아예 받아주지 않아 신흥여객이 엄청난 타격을 입게 만들어 결국 가설치 단말기 전체를 철거하고 탑티머니 단말기로 갈아타게 만들었고, 통영시가 신흥여객에 공영버스 인가를 주려고 했을 때는 며칠 동안 시청 앞에서 물리적 시위를 벌였다. 이 과정에서 시청에 민원업무 차 온 시민들과도 충돌하면서 부산교통의 이미지는 완전히 나락으로 떨어지게 되고, 결국 이 때문에 부산교통은 통영교통이라는 별도 법인까지 만들면서 부산교통이라는 이름을 통영시에서 지워야만 했다. 심지어 서울(남부), 부산(사상)행 직행버스도 대한여객 명의로만 들어올 정도.

지금도 신흥여객은 8:2 정도로 버스 배차에서 밀리고, 신흥여객 공영버스들은 거의 다 500번대나 600번 장거리 저수요 노선으로 몰빵당하면서 버스 상태가 말 그대로 개판이다. 하긴 그렇게 험한 산길을 달려대면서 유지보수도 제대로 할 수 없을 정도로 시간대가 빡빡하다 보니... 그래서 신흥여객 기사들은 부산교통/통영교통 버스만 보면 완전 이를 간다. 자기회사 버스면 몰라도 상대방회사 기사들과의 수신호 인사는 당연히 없다.

그리고 통영교통의 경우 상습적으로 버스 운행을 씹는 것으로도 악명이 높아서 도심 외곽에 사는 사람들에게 빅엿을 날리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501번의 경우 삼덕종점에서 밤 11시에 출발하는데, 통영교통이 주박 문제로 2013년 중순부터 이 막차를 상습적으로 임의 결행하고 다녔다. 문제는 중간 정류장 중 하나인 현대아파트 정류장 앞에 관광버스 주차장이 있다는 것. 관광버스 기사들이 인근 숙박 시설이나 펜션 등에 관광객을 내려 주고 이 주차장에서 차를 세운 뒤에 해당 막차를 타고 도심으로 귀가하는데, 멀쩡히 시간표에 나와 있는 버스가 11시 30분이 되도록 나타나지 않는 상황이 비일비재하자[28] 관광버스 기사들이 부산교통에 민원을 미친듯이 투척하기 시작했고 결국 501번은 막차 임의 결행이 사라졌다. 하지만 노선 씹기는 상습적으로 계속 발생하고 있다.

보통 부산교통 계열이 부팸 특유의 타이트한 스피드 특성상 빠르게 달리고 워낙 좋지 않은 행위를 해서 욕을 많이 먹는 업체이지만 차량 정비 수준에서는 전국적으로도 매우 최상급의 차량 관리 실력을 자랑하고, 다소 의외의 부분이지만 승무원의 친절도 또한 본진인 진주는 물론이고 경상남도 전역의 모든 버스회사 중에서 친절기사를 가장 많이 배출한 회사가 부팸일 정도로 부팸의 친절도는 경남의 모든 버스회사를 통틀어서도 가장 훌륭하다. 하지만 통영에서의 부팸은 친절도나 차량 관리 실력과 같은 아주 약간의 긍정적인 면이라도 있는 진주시내부나 시외부와는 달리 이마저도 아예 없으며, 부팸 휘하의 타 지역 차량에서 운행하다 넘어온 구형 차량이 대부분이고 부팸답지 않게 통영에서는 차량 관리를 영 하지 않기 때문에 차량 상태가 좋지 않다. 어떻게 보면 부팸 구형 차량의 무덤이 통영인 셈이다. 자동변속기를 적극적으로 설치하는 부팸마저도 유독 통영에서는 워낙 차량에 대해 투자를 하지 않기 때문에 부팸 휘하 차량에서 좀 처럼 보기 힘든 수동변속기 차량이 통영에서는 꽤 많이 돌아다니고 있다.[29] 그나마 부산교통 브랜드로 운행하는 차량은 통영교통처럼 현지 영업소에서 관리하는 차량도 존재하지만 부산교통 본부에서 직영으로 관리하는 차량도 같이 공존하고 있기 때문에 본부의 관리가 들어가는 일부 부산교통 브랜드 차량은 차량 관리나 신차 구입, 자동변속기 장착 등. 다른 지역 부팸처럼 차량에 대해 투자를 열심히 하고 승무원도 친절하게 운행하고 있지만 통영교통 브랜드는 원래 통영에서도 본부가 직접 운행했지만 상단의 사건으로 인해 부팸이 본부 소속 차량을 줄이고 아예 통영에서 따로 차린 현지 브랜드이기 때문에 부팸 경영진이 따로 지부장을 파견해서 운영하는 시스템이라 본부에서 상대적으로 체크를 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7.2. 너무 비싼 요금[편집]


아무리 관광도시라 물가가 높다고손 치더라도[30] 시내버스 요금은 과거부터 너무 비싸다고 말이 많았다. 과거 환승까지 안 되었을 때에는 무슨 배짱으로 부산보다 요금이 비싸면서 환승도 안 되냐고 대중교통과가 욕을 엄청나게 먹었고, 2015년 8월 1일부터 경상남도가 요금을 올리면서 어마어마한 비판에 직면했다. 결국 깨갱하고 당분간 요금 인상은 없을 것이라고 버스 운행 양사와 통영시가 지역 신문에 합동 성명문까지 발표했을 정도. 하지만 이게 경상남도에서 책정하는 거라서 결국 헛약속이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결국 2020년 1월 10일 부로 요금이 또 오르게 된다.


7.3. 완전 막장 BIS[편집]


통영시 관광의 가장 큰 걸림돌
통영시 BMS 주소[31]
현재링크
BIS의 막장성은 이루 말로 다 할 수가 없을 정도다. 한 달을 통틀어서 BIS가 먹통인 날이 거의 열흘에 한 번 꼴로 꼭 발생하고, 심지어 버스가 단말기에 안 뜨는 경우가 너무 잦아서 전광판이 별 의미가 없다. 거제시 시내버스와 동일하게 API를 네이버나 다음에 공개하질 않아 다른 어플로는 버스 도착 상황을 알 수가 없어서, 느려 터진 모바일 페이지에서 검색해야 한다. 게다가 딜레이도 심해서 버스가 이미 그 정류장을 출발해 다음 정류장에 있을 때에도 잠시후 도착이라는 메시지를 출력할 때도 있다! 한번씩 통영의 버스를 타다보면 한참동안 역 안내방송이 없다가 뻐꾸기 소리 비슷한것이 들리며 현재 정류장은~입니다.[32]라는 소리가 들리는데 그 이유는 기사가 안내방송을 실수로 연동안했거나 BIS연동을 안했거나이다.[33]

2021년 1월 1일 부터 버스정보안내기 디자인과 BIS를 바꾸었다! 하지만, 버스정보시스템 재구축으로 인하여, 기존의 버스정보시스템으로 도착 예정 버스를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

상술했듯, 웬만해서 부팸은 진주, 사천, 하동에서는 신형 차량을 열심히 도입하고 자동변속기도 꾸준히 설치하고 차량 관리도 매우 잘하지만 통영에서만 유독 구형 수동변속기 차량을 몰빵하여 운용하고 차량 관리도 타 지역에 비해 그다지 잘 하지 않는 통영의 부팸 특성상 소속 차량에서 이것저것 작동되지 않는 부분이 많다. 전면 LED 전광판이나 차내 전광판이 맛이 가서 노선번호도 표시하지 않은 채, 마치 공차회송이나 유령버스 같은 모양세로 영업운전을 하는 경우가 잦으며, 삼원FA 단말기 교체와 함께 마이비 안내방송으로 교체했음에도 옛 안내방송처럼 안내방송도 먹통이 되어 기사가 직접 육성방송을 하는 경우도 잦다. 심지어 기사가 에너지 절약을 구실로 의도적으로 전광판을 끄고 운행하기도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걸 모르고 버스에 탑승해서 기사와 싸우는 경우가 잦다.

7.4. 노선 번호의 막장성[편집]


과거 2자리 수였을 경우에는 노선 번호를 보고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했지만, 개편 후에는 현지인마저 기사에게 물어보지 않으면 안 되는 수준으로 전락했다.
백의 자리 숫자만 그나마 일관성이 있을 뿐 나머지는 도대체 알 수가 없는 데다, 교체식 측면 행선판은 크기도 작아 종점 이외 중간정류장을 4개밖에 적을 수가 없어서 관광객들을 헷갈리게 만드는 데 일조하고 있다.

참고로 도심지 내에서 중간 분기가 생기는 구간은 다음과 같다.
  • 통영경찰서 ↔ 농업기술센터입구 구간: 죽림향교 방향이냐, 죽림지구 내 아파트단지로 들어가느냐로 갈린다. 비율은 대략 3:7 정도. [34]
  • 디지털프라자/외환은행 ↔ 북신시장 구간: 롯데시네마 방면(관문사거리 경유 우회)이냐, 아니면 무전사거리에서 바로 우회전해서 북신시장으로 바로 찔러들어가는 고려병원 경유로 나뉜다. 비율은 거의 반반이지만, 중단거리 고수요 버스들은 대부분 고려병원 경유로 설정되어 있다.
  • 북신사거리 ↔ 문화마당 구간: 정량동 경유로 완전 빙 돌아가거나, 토성고개 경유로 최단거리로 중앙시장과 북신시장을 잇느냐의 차이이다. 비율은 거의 2:8 정도로 중앙로 경유가 압도적으로 많다. 이 경우 노선번호 가운뎃자리가 1이나 2일 경우 정량동 우회이며, 나머지 모든 버스들은 중앙로 직통이다. 후술한다.


8. 참고사항[편집]


  • 중간 자리수에 1이나 2가 들어가는 버스는 모두 정량동 경유 버스이다. 이게 왜 중요하냐면 이러한 버스들은 동피랑마을 입구 앞에 내려주기 때문에(남망산공원입구 정류장) 동피랑마을 관광 시 매우 유용하게 쓸 수 있기 때문. 하지만 서호시장 인근에서 터미널로 갈 때는 비추천인데, 완전 D자로 돌아가는 데다가 변전소~북문탕사거리 구간은 화물차도 많이 다니기 때문에 덜컹거리는 차 안에서 이리저리 굴러다니는 내 짐짝을 볼 수 있다(...). 동피랑마을에서 우리은행 쪽으로 나오면 훨씬 많은 버스가 다니는 중앙로(중앙시장 정류장)가 나오므로 토성고개로 넘어가면 정량동으로 돌아가는 것보다 10분 넘게 일찍 도착한다[35]. 또한 이 버스들이 서는 중앙시장 정류장은 해안주차장이 있는 곳에 따로 떨어져 있으며, 다른 버스들이 서는 중앙시장 정류장과는 걸어서 5분 정도로 떨어져 있지만 이 때문에 사람들이 자주 착각하게 된다.

  • 중간이나 끝자리에 8이 들어가는 버스는 동원고등학교를 경유하며, 도로의 경사가 상당히 가파르기 때문에 잘못하면 또 굴러다니는 짐짝을 볼 수 있다(...). 짐이 많다면 절대 타지 말자. 단 348, 678번은 동원고등학교를 경유하지 않는다.

  • 아침시간에 도남동 방향으로 가는 100번대 버스는 되도록 이용하지 말자. 통영고등학교, 윤이상 기념관을 거쳐가는 버스들인데 문제는 윤이상 기념관 정류장은 통영여자고등학교 학생들이, 통영고등학교 정류장은 통영고등학교 학생들이 타고 간다. 그래서 꼭 타야할 학생들도 못탈정도로 버스가 가득 차는데 버스 안이 거의 전쟁터 수준이다(...) 학생들 사이에 손잡이도 못잡고 끼여있을 자신이 없으면 되도록 타지말자. 봉평오거리 이전 정류장에 가려면 200번대 버스를 타면 된다.

  • 전면부 LED 전광판의 종점 표기(오른쪽 두 종점 중)에 거제대교, 대방포, 내포, 원평, 연기, 성포, 오촌이라고 적힌 버스들은 절대로 버스터미널로 가지 않는다. 이 노선들은 가는 방향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잘못 탔다가는 돌아가는 길도 암담하다.

  • 미수동 방면의 경우, 300번대 버스 전체와 500번대 버스 중 대다수는 충무교를 건넌 후(충무교입구 정류장 이후) 바로 오른쪽으로 빠지면서 미수해안로 정류장으로 들어가지만, 몇몇 버스의 경우 충무교를 건넌 다음 직진하여 봉평오거리 정류장에 정차한 후 좌회전하여 미수동으로 돌아간다. 해당 버스는 501~505, 531, 543번 버스이다. 단, 터미널/거제대교 등 종점행 버스들은 300번대와 500번대 모두 반드시 봉평오거리로 돌아서 가는데, 이는 충무교 인근 도로의 구조 때문이기도 하고 봉평오거리가 미륵도에서 상당히 중요한 버스 승하차 거점이기 때문이다.

  • 부산-거제 시내직행좌석버스의 개통으로 인해 부산 특정지역 (강서구, 사하구 등)에 사는 사람들은 시외버스와 비슷한 소요시간으로 시내버스만으로 부산에서 통영까지 갈 수 있다. 물론 환승저항이 가장 큰 걸림돌이며, 환승횟수가 하단역에서 서호시장까지는 최소 3회(4번째 버스까지 탑승). 시외버스 업체에서 부산-거제 시내버스 개통에 반대하는 이유 중 하나가 2000번이 고현까지 연장될 경우 시내버스만으로 통영까지 보다 편리하게 갈 수 있게 되어 시외버스 수요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36] 거기에 부산에서 통영까지 시내버스로 가게 되면 예전 시외버스 경로인 거제도를 거쳐서 가기 때문에 사하구 출발이면 시외버스와 거의 엇비슷하고, 명지신도시와 신호지구 출발이면 시내버스가 더 빠르다.[37] 2000번이 연장되면 부산-통영 구간에서 시내버스가 경쟁력을 갖게 되는 건 덤. 참고로 부산 도심에서 통영까지 시내버스로 가면 부산에서의 출발지 및 환승대기시간에 따라 2시간 30분 ~ 3시간 10분 정도 걸린다.

  • 밤 11시가 넘어가면 버스 운행이 거의 다 종료되기 때문에 막차 시간을 어느 정도 숙지할 필요가 있다. 방학/휴일 시간표가 따로 있기 때문에 참고해야 한다.

  • 극소수를 제외하고[38] 절대 다수의 통영시 시내버스는 북신시장과 서호시장 정류소에 정차한다. 노선 개편의 핵심 이유가 바로 버스 노선의 시내 구간 일원화였기 때문인데, 이 때문에 만복아파트~중앙시장 구간은 교통량이 조금만 많아진다 싶으면 버스들이 전부 비엔나 소시지마냥 줄줄이 꿰여 운행한다(...)

  • 터미널에서 출발하는 각 방면 막차 (2020.11.25 기준) 평일과 휴일(방학) 노선 시간표 다름
    • 도남동종점: 128번(동원고, 정량동 경유) 22:20 평일만 운행. 환승 시 22:29(401번 승차 후 북신시장 하차, 143번 환승)[39]
101번 평일 22:27 주말 22:27[40]
  • 용화사종점: 평일 281번(동원고 경유) 22:20 주말 200번 22:20
  • 미수동/삼덕/척포: 삼덕 501번 평일 22:02 주말 22:00[41] 척포 평일 534번 21:40 주말 530번 21:40 미수동 301번 21:17
  • 해양대종점(인평동): 평일 400번 21:30 주말 401번 20:53 평일 401번 22:10 주말 401번 22:10[42]
  • 북신/중앙/서호시장: 600번 23:00[43] 630번 21:45(평림동 행)[주의1] 676번 원산출발 22:35[44][주의2]

  • 터미널 방면 막차 (2020.11.25 기준) 평일과휴일(방학) 노선 시간표 동일
    • 도남동출발: 101번(터미널행) 23:15 (롯데마트 기준 23:35[A])
    • 용화사출발: 231번(터미널행) 22:56 (롯데마트 기준 23:15[A])
    • 삼덕출발: 501번(터미널행) 23:05 (미수동 기준 23:10, 롯데마트 기준 23:31[A])
    • 인평동출발: 평일401번(터미널행) 22:50(롯데마트 기준 23:15[A]) 주말420번(터미널행) 22:50 (정량동기준 22:59, 롯데마트 기준 23:09[A])
    • 서호시장발: 600번(터미널행) 23:20 (롯데마트 기준 23:34[A])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23:48:16에 나무위키 통영시 시내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예비차 포함/2023년 6월 26일 기준[2] 고성읍내까지 가지않고 고성읍 끄트머리인 월평리에서 회차한다.[3] 극히 한정적이다. 고성군은 고성의 끄트머리인 고성 당동(거류면 소재지)과 월평[2]까지 운행하고 거제는 대부분이 거제대교 북단까지만 운행하고 653번 버스만 거제 성포까지 운행.[4] 폐선된 듯 하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할 내용 참조.[5] 2019년 9월 중에 생겨난 노선이다.[6] 2021년 3월 개편으로 새로 생겨난 노선으로 거제대교부터 통영터미널 방면으로 가는 버스이다.[7] 원평을 들어갔다오는 선형을 제외하고는 매우 750과 선형이 비슷하다. [8] 죽림지구 아파트단지로 들어가지 않고 외곽으로 빠져서 운행하기 때문에 무전동 도심까지는 좀 더 빨리 들어갈 수 있다.[편도] A B C D E F G H I [9] 유일하게 케이블카 승강장 앞에서 내려주는 노선이다. 다른 100대 노선들의 경우 발개삼거리 정류소에서 내려서 좀 걸어올라가야 한다.[10] 181번만 경유[11] 100번대가 통영고 학생들을 가끔 노룩패스를 해버리기 때문에 봉평오거리에서 내려 걸어가는 통영고 학생도 볼 수 있다.[12] 삼화삼거리부터 내포종점까지는 이 노선의 독점구간이다.[13] 중앙로 연선의 정거장이 아닌 통영해안로 연선의 정거장이다. 즉 강구안 쪽에서 내려준다.[14] 200번대 노선 중 유일하게 미수동을 건너는 노선이며 통영 시내버스 중 유일하게 통영대교를 건너는 노선이다![15] 그 이유가 경상대학교 통영캠퍼스, 충무중학교, 충무여자중학교, 인평초등학교 등 학교가 상당히 많기 때문이다. 줄잡아 거의 2,000여 명의 학생들이 움직이는 곳이기 때문에, 등하교 시간이 겹치는데 비해 노선이 4XX번대로 한정되어 있어 마치 서울 지하철 9호선을 연상케 한다. 실제 다른 학교 학생들도 400번대 노선의 등하교 시간대 혼잡도는 인정할 정도.[16] 다른 노선들은 북행은 두룡초등학교 정류장, 남행은 윤이상기념관 정류장에서 하차해서 좀 걸어야 한다.[17] 독점 구간이다. 연선 치안이 매우 좋지 않은 것으로도 유명.[18] 이 버스는 특이하게 동원중고등학교를 지나는데 마지막에 8이 붙는 이유는 정량동을 경유하기 때문이다.[19] 죽림과 인평동을 직빵으로 이어주기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절찬리에 이용중이다. [20] 참고로 이버스는 통영시의 일종의 급행과도 같은버스다. 400번대 노선을 타고 인평동에서 터미널을 갈려면 빨라도 40분은 잡아야하지만 440번을 타면 20분안에 간다.[21] 즉 2일, 7일, 12일, 17일, 22일, 27일.[22] 온정버스와 차량을 공유한다.[23] 통영시보건소까지는 206번이랑 같이 운행.[24] 30분 이내 환승할인 지역은 버스가 상당히 자주 오기는 하지만, 도산/노산지역이 포함된 것은 엄청난 무리수이다. 한 버스만 놓쳐도 바로 망한다![25] 경남 마크가 적용되지 않았다.[26] 한산도에서는 경상남도 천연가스버스 도색을 사용한다.[27] 통영교통 6655호 같은 일부 온정버스에는 경남천연가스버스 도색이 적용되어있다.[28] 삼덕종점에서 미수현대아파트까지는 아무리 기어와도 20분 안이면 도착한다. 심야에는 이 구간을 10분 전후로 주파하기도 한다![29] 단, 부팸의 자동변속기 장착은 기존에는 시외버스 차량에서 주로 이루어졌지만, 진주의 라이벌인 삼성교통진주시민버스가 자동변속기 고상버스를 무더기로 운용하기 시작하면서 시내버스 차량도 자동변속기를 장착하게 된 것이다. 진주가 아닌 사천이나 하동에서도 부팸은 자동변속기 고상버스를 운용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진주, 사천, 하동의 구형 수동변속기 차량들이 통영으로 차돌리기가 대거 이루어지면서 통영만 부팸 관할 지역 중 유일하게 수동변속기 버스를 운용하고 버스의 차령도 가장 오래된 동네가 되었다. 진주에 일렉시티가 투입되면서 퇴역한 차량도 곧바로 즉각 폐차가 아니라 진주에서 퇴역한 차량을 통영에 투입하고 한동안 조금만 더 운행했다가 폐차시키는 일도 비일비재하다.[30] 통영시 물가는 통합창원시와 비교해도 생활의 질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거제시와 거의 비슷하다. 그런데 거제시야 어느 정도 경제 여력이 있다손 치더라도 통영은 과장 조금 보태서 관광객 등쳐먹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시에서도 이 문제로 엄청나게 골머리를 썩였다. 그러나 거제 통영이 같은 권역이다보니 물가가 연동되는 부분이 있고, 거제 대비 친절도나 인프라가 소폭 비교 우위에 있는 장점도 있다.[31] 2021년 6월 2일 기준으로 지금 접속하면 광역 BIS로 접속됨.[32] 2018년 3월 중에 티머니 단말기로 교체해서 안내방송도 교체되어서, 지금은 이 소리를 들을 수 없다. [33] 또한 전광판도 연동이 안되어 터미널 입고상태인 999번이 뜨는 경우도 있다. 심지어는 BIS와 전광판이 다른 상태인 버스가 오는 경우가 있다. 버스 시각을 아는 현지인이라면 상관없지만 버스시각을 모르거나 관광 온거라면 되도록 ~가요? 하고 물어보고 타자.[34] 여기서 약간의 팁을 주자면 600번중 터미널를 중간정거장으로 삼는다면 대부분 향교 경유버스 이다.[35] 애초에 정량동 경유 버스는 모든 버스를 다 합쳐도 15~20분에 한 대꼴로 도착하므로, 중앙로로 나오면 이 간격이 30초~2분까지 줄어든다.[36] 지금은 연초에서 끊기기 때문에 거제도에서의 환승저항으로 인해 하단역에서 서호시장까지 3번 환승 (4탑) 해야 하지만, 2000번이 고현까지 연장될 경우 하단역에서 타면 2회 환승 (3탑)만 하면 되고, 부산 도심, 멀리까지 보면 기장군 청강리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해야 3번 환승 (1001번 or 1011번 - 2000번 - 거제 40번대 노선 - 통영 100번)이 된다. 더군다나 해안일주도로 급행노선인 1011번이 개통되어 시내버스를 이용한 해운대 ~ 통영 소요시간이 줄었다. 어차피 부산에서 충무까지 가려면 시내버스로 가나 시외로 가나 4번은 갈아타야 된다.[37] 명지에서 서호시장까지의 경우 시내버스 3탑, 시내버스+시외버스 4탑으로 시내버스가 더 유리하다.[38] 700번대, 144번(인평동-도남동), 344번(미수동-인평동)과 같은 무척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39] 2018년 12월 10일부터 128번 22:20분 차량은 운행하지 않고 21:00분 차량만 운행하며 도남동 방면막차가 38분이나 단축됐다.[40] 2019년 7월 4일에 평일 막차시간이 21:42분에서 21:37분으로 5분 단축되었다.[41] 무전동에서 502번 22:40막차[42] 2019.02.07부터 막차시간이 평일에는 70분 주말에는 1시간 17분 연장 됐다. [43] 2019.02.07부터 600번 막차시간이 평일 2시간 50분 주말 1시간 15분 단축되었으나, 2019년 11월 25일부터 600번 평일/주말 막차시간이 23:00분으로 연장되었다.[주의1] 서호시장을 지나 평림동까지 간다. 버스에서 잠이 와도 참아야 한다. 졸다가 평림동까지 가면 돌아 나오는 방법은 (콜)택시밖에 없다. [44] 2019년 11월 25일부터 676번 종점행 운행횟수 감회로 인해 22:35분에서 19:45분으로 2시간 50분 단축되었다.[주의2] 터미널 출발이 아닌 도산면 쪽에서 오는거라 676번 막차를 이용 할때 주의가 필요하다. [A] A B C D E F 예정시간이므로 5~10분 차이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