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로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경상북도 경주시의 도로에 대한 내용은 통일로(경주) 문서
통일로(경주)번 문단을
통일로(경주)# 부분을
, 대구광역시 북구에 존재했던 도로명에 대한 내용은 중앙대로(대구) 문서
중앙대로(대구)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중앙대로(대구)# 부분을
# 부분을
, 중랑천변과 거의 나란히 달리며 서울 성동구와 경기도 양주를 잇는 도로에 대한 내용은 동일로 문서
동일로번 문단을
#s-번 문단을
동일로#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둘러보기 틀 보기








통일로
統一路 | Tongil-ro

판문점 (북) →
}}}
도쿄 방면
퇴계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Tabliczka_AH1.svg.png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카프쿨레 방면
희망로
목포 방면
연서로
1번
국도

신의주 방면
(판문점)[1]
통일동산 방면
평화로
360번
지방도

가산 방면
광탄천로
시흥 방면
한강대로
파일:Cityroad_kor_21.svg 21번
서울특별시도

종 점
당동 방면
넓다리길
29번
파주시도

장산 방면
충의로
노선 번호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1번 국도 · 360번 지방도

21번 서울특별시도 (안내용)
22번 서울특별시도 (관리용)
C1번 서울특별시도 (관리용)
29번 파주시도
도로명 번호
3000008
기점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2가 서울역
종점
경기도 파주시 진서면 선적리 판문점
연장
57.569km[2]
42.3km[3]
개통
1971년 12월 20일
관리
서울특별시
서부도로사업소

서울역 - 진관동 서울시계
고양시
동산동 고양시계 - 장곡검문소
서울지방
국토관리청

장곡검문소 - 판문점
왕복 차로 수
2차로
판문점 - 남방한계선
4차로
남방한계선 - 통일로IC
주요 경유지
서울역연신내역통일로IC임진각판문점
1. 개요
2. 구간
3. 연계도로
3.1. 주요 교차로
4. 대중매체에서
5. 여담



1. 개요[편집]



1971년 당시 통일로 개통식 대한뉴스 영상

파일:external/www.tongilnews.com/75782_6776_5511.jpg
통일로 명명비[4][5] 구파발사거리 롯데몰 은평점 앞에 이 비석이 있다. 글씨를 쓴 사람은 박정희 전 대통령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1번 국도(목포시~신의주시)의 일부 구간인 도로다.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역에서 경기도 파주시 진서면 판문점 입구[6] 1번 국도는 통일로를 끝까지 따라가 판문점을 통해 북으로 넘어가지만, 실질적으로 희망로가 1번 국도의 역할까지 하고 있다. 민통선 출입 허가 없이는 자유IC까지만 갈 수 있다. 개통 당시에는 문산읍 마정리 임진각까지였으나 이후 판문점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1972년에 통일로로 명명되었다.


2. 구간[편집]


원래의 기점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은사거리였고 서울역~홍은사거리 구간은 의주로였다. 그러다가 2010년대 들어서 도로명 개편으로 의주로가 통일로에 통합되었다. 다만 법정동으로서의 의주로는 의주로1가, 의주로2가로 계속 존재한다. 지번식 주소를 쓸 때는 주의할 것. 물론 도로명주소를 쓸 때는 통일로로 쓰면 된다.

내부순환로(홍은램프, 홍제램프),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통일로IC), 자유로(자유IC) 등과 접속한다.

총 연장은 42.3km(민간인통제구역 제외)다. 자유로보다 짧다. 이 구간을 지나는 버스 노선의 역사는 상당히 깊기 때문에 9709, 9710[7]의 파워는 적어도 이 도로에서는 천하무적.[8]


2.1. 서울특별시 구간[편집]


이 도로의 서울특별시 구간은, 21번 서울특별시도로 지정되어 있으며, 연신내역 이후 구간은 1번 국도로 지정되어 있다.[9]

최근엔 이 구간 주변으로 은평뉴타운삼송지구, 원흥지구까지 만들어지고 지축지구가 한창 조성 중에 있어 교통량이 늘어나는데, 도로는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제외하면 왕복 4차로밖에 되지 않으니 서부간선도로에 버금갈 만한 헬게이트화가 진행되고 있다.

수도권 전철 3호선이 이 도로 밑으로 운행되며, 독립문역부터 연신내역까지의 역들이 이 도로 지하에 위치에 있다.[10] 그 이후에도 지축차량기지 앞 교차로까지는 대체적으로 3호선과 나란히 지나며, 삼송역도 통일로 바로 옆에 있다.[11]

통일로 우회로가 2020년대 중후반에 개통될 예정이다. 신도고등학교 옆으로 해서 서오릉을 통과해 향동지구 앞 도로를 통해 수색로로 연결된다.


2.2. 고양~파주 구간[편집]


통일로IC 이북은 왕복 4차로이기 때문에 이용도는 자유로에 비해 저조한 편. 원래 이 구간은 위에 통일로 도로 개통식에도 나오듯 입체교차로가 적용된 고속화도로였으나 1990년대 일산신도시 개발 계획에 맞춰서 입체교차로를 대부분 폐지하고 평면교차로로 바꾸었다.그래도 2022년까지 몇몇 개는 여전히 입체교차로로 남아 있다.

이 도로와 희망로를 통해 개성공단개성시 중심부까지 직결된다. 하지만 문산 이후 임진강을 건너는 곳부터는 민간인통제구역북한 구역이어서 일반인이 문산 이후로는 자유롭게 드나들기 힘들다. 통일대교 이북 구간에서는 개성공단에 들어가는 화물차량을 뻔질나게 볼 수 있었으나 개성공단 폐쇄 이후부터는 남북출입사무소 직원이나 민통선 이북 주민만 들어가는 중이며, 임진각 관광객이나 실향민들 역시 많이 찾는 도로다.

남북통일이 되면 자유로와 통일로의 중요성이 매우 커질 것임에도 불구하고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에 포함되어 있는 이 통일로를 확장하지 않는 것은 서울 시내는 지가가 너무 높은 데다 건물들을 다 철거해야 해서 확장을 한다 하더라도 고양시, 파주시 등등 교외 지역으로 새로 확장하거나 아예 아시안 하이웨이 기능을 평택파주고속도로로 대체시킬 수도 있다.[12] 게다가 개성평양간 고속도로와 직결될 예정이기 때문에 그럴 가능성이 높다.

길이가 엄청나게 길기 때문에 종종 도로명주소의 단점으로 이 도로를 꼽는 사례가 적지 않다. #[13]

삼송로~권율대로 사이 통일로 구간인 '숫돌고개' 구간은 원래 코렁 시설들[14]의 분포로 반강제적, 반의도적으로 엄청난 곡선형을 가진 구간이었으나 삼송지구 개발로 인해 2018년 11월 전후로 하여 이 구간은 생태 터널을 활용하여 구간 직선화 공사가 이루어졌다.

사실상 고속도로급인 자유로에 비해 통일로는 자동차전용도로가 아닌 일반도로답게 중간중간에 주유소, 상점, 음식점, 카페 등등이 밀집해 있다. 가볍게 나들이 삼아 맛집 찾는 목적이라면 이곳이 더 좋겠으나 자유로보다 훨씬 굴곡진 도로이고 4차로이므로 운전할 때 더욱 주의해서 운전해야 한다. 원래 통일로 최초 개통 당시에는 고속화도로로 개통했지만 고양시, 파주시의 도시 개발로 인해 가면 갈수록 통일로의 평면도로화가 진행돼서 어쩔 수가 없었다. 구 통일로 구간의 흔적은 대부분 흔적도 없이 사라졌으나 고양시 관산동 일대에 통일로 고속화도로 시절의 교각이 일부 남아 있다.


3. 연계도로[편집]



3.1. 주요 교차로[편집]


하늘색으로 표시된 곳은 중앙버스차로를 운영하는 구간이다.
판문점 종착
대성동

대성동길

남방한계선

구암로
동파리
적성

도라산역
개성공단

희망로
(군내삼거리)

통일촌
장단출장소

적십자로
372번 지방도[15]
정자리

(통일촌교차로)
민통선
서울

자유로
(자유IC)

임진각

임진각로
(마정교차로)
자유로

율곡로
(여우고개사거리)
연천

내포IC

방촌로


문산역

문향로
우계로
파주읍

(문산사거리)

술이홀로
(주라위삼거리)
파주읍

LG산업단지

엘지로
도감로
금강산랜드

(월롱교차로)
덕은리

휴암로
(월롱삼거리)

금촌
파주시청

새꽃로
(금촌신사거리)

금릉동
파주시청

학령로
(PX마을앞)
금촌동
교하동

파주로
(등원교차로)
법원읍
광탄

금촌IC
금촌역

중앙로
대원로
대원사거리
능안리

(봉일천사거리)
고양(일산)

고봉로
두루봉로
봉일천중학교


삼릉로
파주삼릉

명봉산로
(장곡검문소)
서울특별시립묘지

파주시고양시

동헌로
(가장동삼거리)
고양동

고양시청

성현로
(관산삼거리)


대양로
(필리핀참전비앞)
중부대학교
대자동

고양시청

,의정부 방향 진입 후 유턴,
호국로
(대자삼거리)
의정부
고양동

고양시청

통일로493번길

일산
고양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통일로IC)
의정부
송추

원흥역
신원마을4~10단지

권율대로
오금2로
신원마을2.3단지

고양시청
삼송마을
삼송역

삼송로
(지축차량기지앞)
북한산
지축초등학교

킨텍스
고양시청
원흥역

고양대로
(동산삼거리)
한국지역난방공사

고양시서울특별시

북한산로
북한산국립공원
흥국사

보덕사

진관3로
(구파발사거리)
은평뉴타운6.7.8단지


진관2로
구파발역
은평뉴타운2지구

창릉신도시

통일로우회로[16]/진관1로
(박석고개)
서울은평경찰서
은평구민체육센터

갈현동

갈현로
(박석고개)

성산대교

연서로
(연신내역)
송추, 장흥
은평경찰서

역촌사거리

역말로
(동명여고)

역촌역

불광로
(불광역)
독바위역

은평세무서

녹번로

은평구청

은평로
(녹번역)

서대문구청
홍제IC

연희로
(홍은사거리)
세검정로
홍은IC

가좌역

모래내로
(홍은삼거리)

한성과학고등학교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통일로
통일로18길
인왕산
인왕산아이파크

(독립공원)

통일로
무악현대아파트

연세대

성산로
사직로
광화문

(독립문역)
마포대교
신촌로터리

충정로
새문안로
세종대로사거리

(서대문역)
충정로역

서소문로
(경찰청앞)
시청

원효대교
서울역(서부)

칠패로
(염천교)
서울역
숭례문


세종대로
시청
숭례문

(서울역)
충무로역

퇴계로
한강대로 직결


4. 대중매체에서[편집]


  • 김소진의 마지막 작품인 소설 <목마른 뿌리>에서 '경평로'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소설을 썼을 당시에는 1997년이었는데, 소설의 배경은 당시에 근미래였던 2002년을 그리고 있다. 통일이 된 한국을 배경으로 했기 때문에, 통일로를 '경평로'라는 이름으로 바꾼 듯 하다.


5. 여담[편집]


  • 장의 버스가 자주 다니는 편이다. 연선에 서울시립승화원이 있으며, 장지로 가기 위해서 버스 전용차로를 많이 이용하기 때문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00:20:02에 나무위키 통일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희망로가 실질적인 1번 국도의 역할을 한다.[2] 민간인 통제구역 포함.[3] 민간인 통제구역 제외.[4] 1990년대까지 초등학교 사회와 도덕 교과서에 이 그림이 등장할 정도로 통일에 대한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5] 은평뉴타운 개발과 함께 통일로 구파발역 구간이 이설되면서 해당 구간은 1번 국도와 통일로에서 분리되어 진관3로에 편입되었다.[6]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은 군내면 군내삼거리에서 좌회전해 장단면 경의선도로남북출입사무소 인근 남방한계선까지의 구간인 희망로로 이어져 개성공단을 향한다.[7] 실제로 이 버스를 타면 문산읍에서 삼송동까지 30분대 후반만에 도착하고 연신내까지 40분대 후반으로 도착하는 경우도 있다! 금촌 기점인 9709도 미친 듯이 밟는다. 요즘에는 속도가 많이 너프를 먹어서 문산읍-연신내역 40분대는 심야 아니면 보기 어렵고, 1시간~1시간 10분 정도 생각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경의선-3호선보다는 빠르고 편하다(환승 아다리가 잘 맞으면 이론상으론 지하철이 빠르다). 단, 좁아 터지고 승차감도 구데기인 NSAC 좌석형 걸리면 좆망[8] 9709 하위호환 799도 있지만 좀 느리다. 운임차를 생각하면 적절한 가성비지만...[9] 연신내역~은평구 진관동 구간은 1번 국도와 21번 서울특별시도의 중첩 구간이다.[10] 원래 구파발역도 통일로 지하에 있었으나, 은평뉴타운 조성으로 도로가 서쪽으로 이설되면서 현재는 진관2로 지하에 있게 되었다.[11] 사실 3호선도 원래는 통일로의 선형과 비슷하게 벽제 방면으로의 연장이 계획되어 있었으나, 벽제동으로 연장하는 대신 일산 방면으로 가게 되었다. 그리고 엄청난 드리프트가 생겼다.[12] 지금 현재도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서울시내 구간의 실질적인 기능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대신하고 있다.[13] 이 정도는 양반이다. 350km에 달하는 구간(경주시~휴전선)이 동해대로로 통일되어 있는 7번 국도나 길이가 121km에 육박하는데 초기화는 한 번 되고 끝나는 5번 국도 영서로 구간, 국도 전체가 설악로라는 한 도로명을 쓰는 44번 국도 등. 특히 영서로는 종점인 철원에서는 만 번대 번호가 나온다.[14] 군부대, 검문소, 대전차장애물.[15] 포장도로가 개설되어 있지만 도로명이 없다.[16] 현재 기본 계획만 수립된 상태로, 개통 시기 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