툴륨

(♥ 0)


주기율표
[ 펼치기 · 접기 ]

족{{{#!html <div style="text-align:left">주기}}}
123456789101112131415161718
1H He
2Li Be B C N O F Ne
3Na Mg Al Si P S Cl Ar
4K Ca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Ga Ge As Se Br Kr
5Rb Sr Y Zr Nb Mo Tc Ru Rh Pd Ag Cd In Sn Sb Te I Xe
6Cs Ba (란)Hf Ta W Re Os Ir Pt Au Hg Tl Pb Bi Po At Rn
7Fr Ra (악)Rf Db Sg Bh Hs Mt Ds Rg Cn Nh Fl Mc Lv Ts Og
(란)La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Er Tm Yb Lu
(악)Ac Th Pa U Np Pu Am Cm Bk Cf Es Fm Md No Lr
범례
배경색: 원소 분류

밑줄: 자연계에 없는 인공 원소 혹은 극미량으로만 존재하는 원소로, 정확한 원자량을 측정하기 어려움.
글자색: 표준 상태(298 K(25 °C), 1기압)에서의 원소 상태, ◆ 고체 · ◆ 액체 · ◆ 기체
관련 문서: 확장 주기율표






69Tm
툴륨
 | 
Thulium
분류란타넘족상태고체
원자량168.93422밀도9.32 g/cm3
녹는점1545 °C끓는점1950 °C
용융열16.84 kJ/mol증발열191 kJ/mol
원자가3이온화에너지596.7, 1160, 2285 kJ/mol
전기음성도1.25전자친화도50 kJ/mol
발견P. T. Cleve (1879)
CAS 등록번호7440-30-4
이전 원소어븀(Er)다음 원소이터븀(Yb)









파일:thulium.jpg

이름의 유래는 '세상의 북쪽 끝'을 의미하는 울티마 툴레(Ultima Thule).[1].

주기율표 란타넘족에 속한 희토류 원소로 1879년 스웨덴의 클레베가 에르비아로부터 새 원소로서 분리하였다. 희토류 원소 중에선 가장 양이 적다고 알려져 있다.

비싸고 이용 가치가 적어 관심을 많이 받지 못하지만, 툴륨은 아크등의 아크 튜브에 툴륨 혼합물을 첨가해 초록색 방출 광선을 만들어 내는 데 많이 쓰이고 있다. 또 피부과 등에서 미용 레이저로 쓰이기도 한다.

네이처지 표지로 대한민국, 미국, 폴란드 공동 연구 성과로 이 원소를 이용해 만든 20nm 크기인 '광사태 나노입자'를 합성제작을 발표한 논문이 올라왔다. 광자를 이용한 태양전지, 감지센서, 미소 세계 관측, 광섬유 등 활용할 수 있는 분야가 무궁무진하다.

[1] 혹은 스칸디나비아의 옛이름인 툴레(Thule)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8-21 00:15:39에 나무위키 툴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