퉁퉁마디

덤프버전 :


🥬 채소

[ 펼치기 · 접기 ]
십자
화목
배추속
브라시카 오레라케아: 양배추 · 콜라비 · 콜리플라워 · 브로콜리 · 케일 · 콜라드 · 적채
브라시카 라파: 배추(봄동 · 얼갈이배추) · 순무 · 채심 · 청경채
기타: · 쌈추 · 유채 · 자차이 · 루타바가
기타
(무청 · 시래기 · 우거지 · 열무) · 냉이 · 와사비 · 로켓(루꼴라)
가지

고추속
고추 · 피망 · 파프리카 · 페페론치노 · 할라피뇨 · 청양고추 · 부트 졸로키아 · 하바네로
나팔꽃속
고구마 · 공심채
가지속
가지 · 감자 · 토마토
천남성과
토란 · 타로 · 구약감자
범의 귀과
돌나물 · 돌단풍
박과
· 수박 · 여주 · 멜론 · 호박(애호박 · 늙은호박) · 오이 · 단호박 · 수세미 · 울외 · 동아
석죽

비름과
시금치 · 비름 · 명아주 · 사탕무 · 근대 · 비트 · 퉁퉁마디
기타
쇠비름 · 루바브 · 하수오
미나
리목
미나리과
미나리 · 셀러리 · 당귀 · 흥거 · 신선초 · 참나물 · 시호 · 당근 · 파스닙 · 고수 · 파슬리
두릅나무과
두릅 · 인삼
비짜
루목
비짜루과
아스파라거스 · 둥굴레 · 무릇 · 용설란 · 비짜루
수선화과
마늘 · 대파 · 양파 · 샬럿 · 부추 · 쪽파 · 달래 · 락교 · 리크(코끼리마늘) · 차이브 · 명이나물
아욱과
아욱 · 목화 · 오크라 · 카카오 · 말아욱
국화과
곤드레 · 엔디브 · 치커리 · 곤달비 · · 쑥갓 · 우엉 · 참취 · 곰취 · 민들레 · 씀바귀 · 상추 · 양상추 · 야콘 · 아티초크 · 머위 · 로메인 상추 · 돼지감자 · 부지갱이 · 고들빼기
초롱꽃과
도라지 · 더덕 · 잔대
콩과
· 대두(콩나물 · 풋콩) · 녹두(숙주나물) · 강낭콩 · 렌틸 · 작두콩 · 땅콩 · 서리태 · 완두 · 병아리콩 · · 구아 ·
버섯류
송이버섯 · 능이버섯 · 표고버섯 · 팽이버섯 · 영지버섯 · 참송이버섯 · 새송이버섯 · 송로버섯 · 양송이버섯 · 목이버섯 · 노루궁뎅이버섯 · 느타리버섯 · 만가닥버섯
기타
고사리 · 연근 · 죽순 · 생강 · 카사바 · · 으름 · 파극천 · 옻순
※: 채소가 아닌 과채류, 견과류, 곡류, 균류로 보기도 함
비가공 식품/재배물 기타 틀: 고기 · 곡물 · 과일 · 채소 · 해조류 · 향신료


퉁퉁마디(함초)
Glasswort[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Salicornia_europaea_MS_0802.jpg

학명
Salicornia europaea [2]
L.
분류

식물계(Plantae)
분류군
속씨식물군 (Angiospermae)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석죽목(Caryophyllales)

명아주과(Chenopodiaceae)

퉁퉁마디(S. europaea)
1. 개요
2. 상세
3. 언어별 명칭



1. 개요[편집]


해안에서 서식하는 한해살이 식물이다.


2. 상세[편집]


학명에서 미루어 알 수 있듯 유럽에서 주로 분포하고 활용하며, 학명조차도 분류학을 시작한 린네가 붙였을 정도. 한대지방에 주로 분포하며, 유럽 이외에도 북미, 동북아시아에서도 서식한다. 한국에서도 전라북도, 인천광역시, 경기도, 평안도, 함경도 해안에서 난다. 맛이 짜다고 하여 짤 함(鹹)자를 써서 함초(鹹草)라는 이름도 많이 사용한다. 꽃은 8~9월에 피며, 잘 자라면 35cm까지 자란다고 한다. 원래 녹색이었다가 가을이 되면 붉게 물드는데, 초가을에 핑크색이 되었다가 늦가을이 되면 적갈색으로 변해간다.[3]

식물 중에서는 특이하게 염분이 많은 늪 지역, 그러니까 갯벌에서 주로 서식한다.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는 이유는 모래땅에서는 자라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생리 현상에 염분을 꼭 필요로 하는 식물이니만큼 개체 전체에 풍부한 염분을 품고 있다. 이런 특성을 이용해서 한국에서는 이걸 갈아서 소금 대용으로, 즙을 짜내서 간장 대용으로 사용한다. 짭잘한 맛이 나서 간 맞추는데는 무리없이 쓸 수 있는 편이다. 그리고 주 베이스가 짠맛이고 다른 맛이 큰 것도 아닌지라 맛을 해치지도 않는다. 대표적으로 활용하는 음식이 함초갈비라고 불리는 돼지 양념갈비가 있다.

영국인들은 퉁퉁마디를 그냥 뜯어서 먹는다. 각종 식물 이파리 뜯어다 으로 싸먹는 한국인도 잘 안먹는 걸 그 채소 싫어하는 영국인이 먹으니 놀라울 따름. 사실, 전근대시대 소금이 얼마나 귀했는지 생각해 본다면 이상한 일은 아니다.

영국 외의 유럽 지역에서도 생식하기는 하지만 아스파라거스와 같은 선상에서 요리에 활용되기도 한다. MBC에서 방영했던 지구촌:이웃의 식탁이란 다큐에서 독일 프리지아에서 먹는 향토식 스크램블 에그가 소개가 되는데, 약간의 새우살[4]과 소금 대용으로 퉁퉁마디 다진 것을 넣었다. 그리고 양고기 스테이크의 밑간으로 로즈마리를 다져 허브와 함께 쓰이는 장면이 나온다.


3. 언어별 명칭[편집]


언어별 명칭
영어
Glasswort
중국어
海蓬子
일본어
厚岸草(アッケシソウ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22:36:19에 나무위키 퉁퉁마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유리를 만들 때 필요한 탄산나트륨을 화학적으로 대량 생산하기 전까지는 퉁퉁마디를 태운 에서 얻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생겼다.[2] 한국어 인터넷에서 검색해보면 흔히 학명을 Salicornia herbacea라고 제시한다. 하지만 이 이름은 이명(비정식 학명)이며, 학계에서 사용하는 정명(정식 학명)은 Salicornia europaea가 맞다.[3] 영동고속도로 월곶JC~서창JC 구간 옆의 소래 갯벌 지역에서 이 식물이 넓게 피어있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가을이 되면 흑갈색이던 갯벌이 왜 붉게 보이는가 라고 생각될 수도 있는데 갯벌 위에 핀 퉁퉁마디가 붉게 물들어서 그런 것이다.[4] 칵테일 새우 같이 어느 정도의 크기가 있는 거 말고, 군대 짬밥나 학교 급식에서 자주 보이는 조그만한 놈들. 쇠고기 부위로서의 새우살을 뜻하는 게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