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지방교통선

덤프버전 :

特定地方交通線

1. 개요
2. 정의
2.1. 폐지/이관 목록
2.1.1. 1차 폐지대상
2.1.2. 2차 폐지대상
2.1.3. 3차 폐지대상 노선
2.1.4. 특정지방교통선 정책 실시로 건설 또는 계획이 중단된 노선
2.1.5. 특정지방교통선으로 분류되지 않았지만, 철도 민영화 이후 수익 감소로 폐지된 노선
2.2. 예외 조건
3. 당근과 채찍
4. 노선들의 운명
5. 예외 사례
6. 전체 노선 목록


1. 개요[편집]


분할 민영화 이전 적자의 늪에서 허덕이던 일본국유철도가 내놓은 자구책 중 하나. 한국에서는 적자인 지방노선을 따로 공식적으로 분류한 바 없지만, 철도 동호인들 사이에서는 이용객이 적은 지방 간선(정선선, 경북선 등)을 로컬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 정의[편집]


전국에 널리고 널린 수 많은 로컬선들 중에, 1977년부터 1979년까지의 수송 실적이 하위권이면서 전체 구간에서의 수송 밀도가 일일 4000명 미만인 노선들이 세 번에 걸쳐 특정지방교통선으로 지정되었는데, 이 세 번의 조건들은 아래와 같았다.

차수
조건
1
영업거리가 30km 이하인 막다른 노선[1]이면서 여객 수송 밀도가 일일 2천명 미만[2]
영업거리가 50km 이하면서 전 구간의 수송 밀도가 일일 500명 미만인 노선
2
수송 밀도가 일일 2천명 미만인 노선
3
수송 밀도가 일일 4천명 미만인 노선

이후 일본국유철도는 이상의 조건에 부합하는 노선들의 순차적인 폐지 또는 다른 운영주체로의 이관을 단행하게 되는데, 자세한 정보는 아래의 목록 참조.


2.1. 폐지/이관 목록[편집]


잘 보면 선정된 노선들의 상당수가 홋카이도규슈에 몰려있다(...)

  • 회색은 바로 폐선된 노선.
  • 노란색은 제3섹터로 이관된 노선.
  • 분홍색은 제3섹터로 이관된 후 폐선된 노선.


2.1.1. 1차 폐지대상[편집]


노선명
영업거리(km)
폐지일
폐지 이후
시라누카선
33.1
1983 10 23
시라누카 정영 버스 노선으로 대체
쿠지선
26.0
1984 04 01
산리쿠 철도 에 이관
미야코선
12.8
사카리선
21.5
닛추선
11.6
아이즈 승합자동차 버스 노선으로 대체
아카타니선
18.9
니가타 교통 관광버스 노선으로 대체
우오누마선
12.6
에치코 교통 노선으로 대체
시미즈항선
8.3
시즈오카 철도 버스 로 대체
카미오카선
20.3
1984 10 01
카미오카 철도에 이관
2006 04 01 폐지
타루미선
24.0
1984 10 06
타루미 철도 에 이관
쿠로이시선
6.6
1984 11 01
코난 철도 에 이관
1998 04 01 폐지
타카사고선
6.3
1984 12 01
신키 버스노선으로 대체
미야노하루선
26.6
오이타 교통노선으로 대체
츠마선
19.3
미야자키 교통 버스 노선으로 대체
코마츠시마선
1.9
1985 03 14
코마츠시마 시영 버스노선으로 대체
아이오이선
36.8
1985 04 01
홋카이도 키타미 버스노선으로 대체
쇼코츠선
34.3
호쿠몬 버스 노선으로 대체
만지선
23.8
홋카이도 츄오 버스 노선으로 대체
호조선
19.3
호조 철도에 이관
미키선
6.8
미키 철도로 이관
2008 04 01 폐지
쿠라요시선
20
츄테츠미마사카 버스 노선으로 대체
카츠키선
3.5
서일본 철도 버스 노선으로 대체
카츠타선
13.8
서일본 철도 버스 노선으로 대체
소에다선
12.1
서일본 철도 버스 노선으로 대체
무로키선
11.2
서일본 철도 버스 노선으로 대체
야베선
19.7
호리카와 버스 노선으로 대체
이와나이선
14.9
1985 07 01
니세코 버스노선으로 대체
코힌호쿠선
30.4
소야 버스 노선으로 대체
오하타선
19.7
시모키타 교통으로 이관
2001 04 01 폐지
코힌난선
19.9
1985 07 15
호쿠몬 버스노선으로 대체
비코선
21.2
1985 09 17
메이시 버스노선으로 대체
야시마선
23.0
1985 10 01
유리 고원철도 에 이관
아케치선
25.2
1985 11 16
아케치 철도 에 이관
아마기선
14.0
1986 04 01
아마기 철도 에 이관
타카모리선
17.7
1986 04 01
미나미아소 철도 에 이관
마루모리선
17.4
1986 07 01
아부쿠마 급행 에 이관
카쿠노타테선
19.2
1986 11 01
아키타내륙종관철도 에 이관
시가라키선
14.8
1987 07 13
시가라키 고원철도 에 이관
와카사선
19.2
1987 10 14
와카사 철도 에 이관
키하라선
26.9
1988 03 24
이스미 철도 에 이관


2.1.2. 2차 폐지대상[편집]


노선명
영업거리(km)
폐지일
폐지 이후
우루시오선
7.9
1986 04 01
니시테츠 버스 노선으로 대체
이부리선
83.0
1986 11 01
도난 버스 노선으로 대체
토미우치선
82.5
1986 11 01
도난 버스 노선으로 대체
아니아이선
46.1
1986 11 01
아키타내륙종관철도에 이관
에츠미난선
72.2
1986 12 11
나가라가와 철도에 이관
미야노조선
66.1
1987 01 10
이와사키 버스 노선으로 대체
히로오선
84
1987 02 02
토카치 버스 노선으로 대체
오스미선
98.3
1987 03 14
가고시마 교통 버스 노선으로 대체
후타마타선
82.5
1986 11 01
텐류하마나코 철도에 이관
세타나선
48.4
1987 03 16
하코다테 버스 노선으로 대체
유모선
89.8
1987 03 20
아바시리 버스 노선으로 대체
시호로선
98.3
1987 03 23
토카치 버스 노선으로 대체
이세선
22.3
1986 11 01
이세 철도에 이관
사가선
24.1
1987 03 28
사가 시영 버스 노선으로 대체
시부시선
38.6
1987 03 28
가고시마 교통 버스 노선으로 대체
하보로선
141.1
1987 03 30
엔간 버스 노선으로 대체
호로나이선
20.8
1987 07 13
홋카이도 츄오 버스 노선으로 대체
마츠마에선
50.8
1988 02 01
하코다테 버스 노선으로 대체
우타시나이선
14.5
1988 04 25
홋카이도 츄오 버스 노선으로 대체
시베츠선
본선 69.4
지선 47.5
1989 04 30
네무로 교통 버스 노선으로 대체
텐포쿠선
148.9
1989 05 01
소야 버스 노선으로 대체
나요로 본선
143
1989 05 01
키타미 버스 노선으로 대체
치호쿠선
140
1987 07 13
홋카이도 치호쿠 고원철도에 이관
2006 04 21 폐지
아이즈선
57.4
1987 07 16
아이즈 철도로 이관
모오카선
42.0
1988 04 11
모오카 철도로 이관
아시오선
46
1989 03 29
와타라세 계곡철도로 이관[3]
간니치선
32.7
1987 07 25
니시키가와 철도로 이관
야마노선
55.7
1988 02 01
난코쿠 교통 버스 노선으로 대체
마츠우라선
93.9
1988 04 01
마츠우라 철도로 이관
카미야마다선
25.9
1988 09 01
니시테츠 버스 노선으로 대체
타카치호선
50.1
1989 04 28
타카치호 철도에 이관
2005 09 06 운행중단
2008 12 28 폐지


2.1.3. 3차 폐지대상 노선[편집]


노선명
영업거리(km)
폐지일
폐지 이후
나가이선
30.6
1988 10 25
야마가타 철도로 이관
오카타선
19.5
1988 01 31
아이치 환상철도로 이관
노토선
61.1
1988 03 25
노토 철도로 이관
2005 04 01 폐지
미야즈선
83.6
1990 04 01
교토 탄고 철도로 이관
카지야선
13.2
신키 버스 노선으로 대체
타이샤선
7.5
이치바타 전차 버스로 대체
나카무라선
43.4
1988 04 01
토사 쿠로시오 철도로 이관
이타선
16.2
1989 10 01
헤이세이 치쿠호 철도로 이관
이토다선
6.9
헤이세이 치쿠호 철도로 이관
타가와선
26.3
헤이세이 치쿠호 철도로 이관
유노마에선
24.9
쿠마가와 철도로 이관
미야다선
5.3
1989 12 23
니시테츠 버스로 대체


2.1.4. 특정지방교통선 정책 실시로 건설 또는 계획이 중단된 노선[편집]


노선명
영업거리 (km)[4]
개통일
이관 업체
코힌나카선
51.2
무산
메이우선
?
비코선 (니이푸 ~ 키타미에사시)
?
사쿠마선
약 35
나카츠가와선
?
게로선
47.6
쟛코선
?
고신선
?
이마후쿠선
약 54
간니치키타선
41.0
난쇼선
43.1
요부코선 (니시카라츠역 ~ 요부코역)[5]
22.9
타카야마 본선 전철화
225.8
미야후쿠선
30.4
1988.07.16
키타킨키 탄고 철도
요카쿠선
29.0
1989.04.01
아키타내륙종관철도
타루미선 (코미역 ~ 타루미역)
10.9
1989.03.25
타루미 철도
이바라선
41.7
1999.01.11
이바라 철도
스쿠모선 (스쿠모역 ~ 우와지마역)
54.8
무산
스쿠모선 (나카무라역 ~ 스쿠모역)
23.6
1997.10.01
토사 쿠로시오 철도
아사사이선
42.7
2002.07.01
아사선 (칸노우라역 ~ 나하리역)
50.2
무산
아사토선
8.5
1992.03.26
아사 해안철도
쿠지선 (타로역 ~ 후다이역)
32.2
1984.04.01
산리쿠 철도
사카리선 (요시하마역 ~ 카마이시역)
15.0
야간선
30.7
1986.10.09
야간 철도
치즈선
56.1
1994.12.03
치즈 급행
호쿠에츠호쿠선
59.5
1997.03.02
호쿠에츠 급행
마루모리선 (후쿠시마역 ~ 마루모리역)
37.5
1997.03.22
아부쿠마 급행
오카타선 (세토시역 ~ 타지미역)
?
무산
오카타선 (신토요타역 ~ 세토시역)
19.6
1988.01.31
아이치 환상철도
세토선 (세토시역 ~ 코조지역)[6]
6.2


2.1.5. 특정지방교통선으로 분류되지 않았지만, 철도 민영화 이후 수익 감소로 폐지된 노선[편집]


노선명
영업거리(km)
폐지일
폐지 이후
나나오선
(와쿠라온센~와지마)
53.5
1991 09 01
노토 철도로 운영 전환[7]
아나미즈~와지마 구간은 2001 04 01 폐지
신메이선
121.8
1995 09 04
JR 홋카이도 버스 노선으로 대체
미네선
(오미네 지선)
2.8
1997 04 01
후나키 철도 버스 노선으로 대체
카베선
(카베-산단쿄)
46.2
2003 11 30
히로덴 버스로 대체
2017 03 04 카베-아키카메야마 연장개업
도야마항선
8.0
2006 03 01
폐선 후 재개업
도야마 라이트레일에 이관 이후
도야마 지방철도로 재이관
에사시선
(키코나이-에사시)
42.1
2014 05 21
하코다테 버스 노선으로 대체
이와이즈미선
38.4
(2010 07 30)[8]
2014 08 01
동일본 교통 버스 노선으로 대체
루모이 본선
(루모이-마시케)
16.7
2016 12 05
엔간 버스 노선으로 대체
산코선
108.1
2018 04 01
이와미 교통, 다이와 관광,
비호쿠 교통 버스 노선으로 대체
세키쇼선
(신유바리-유바리)
16.1
2019 04 01
유바리 철도 버스 노선으로 대체
케센누마선
(야나이즈-케센누마)
55.3
(2011 03 11)[9]
2020 04 01
자사 BRT 노선으로 대체
오후나토선
(케센누마-사카리)
43.7
(2011 03 11)[10]
2020 04 01
자사 BRT 노선으로 대체
삿쇼선
(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신토츠카와)
47.6
(2020 04 18)[11]
2020 05 07
시모단 모터스, 비바이 자동차학교,
홋카이도 추오 버스 노선으로 대체
히다카 본선
(무카와-사마니)
111.0
(2015 01 09)[12]
2021 04 01
도난 버스, JR 홋카이도 버스
노선으로 대체
루모이 본선
(이시카리누마타-루모이)
35.7
2023 04 01
엔간 버스 노선으로 대체
히타히코산선
(소에다-요아케)
29.2
(2017 07 05)[13]
2023 08 28
JR 큐슈 버스로 이관


2.2. 예외 조건[편집]


다만 무턱대고 선정하지는 않았으며, 아래와 같이 예외 조건을 두었다.

1. 피크 타임 때 시간당 1천 명 이상이 이용

2. 연선에 철도를 대체할 도로가 없는 경우

3. 도로가 있더라도 폭설 때문에 연간 10일 이상 통행할수 없는 경우

4. 수송 밀도가 일일 천 명을 넘으면서 승객들의 평균 승차 거리가 30km를 초과한 경우


이 조건에 맞아서 당장에 폐선을 면한 철도가 여럿 있었는데, 그 중에는 결국 한참 후에 폐지된 이와이즈미선, 산코선, 신메이선, 루모이 본선 같은 노선들이 존재했다. 그 외 에사시선키코나이역 서쪽 구간도 폐선을 면했는데, 키코나이역 - 고료카쿠역 간이 앞으로 운행량이 늘어날 것이기 때문에 거기에 업혀서 폐선을 면했다. 대신 마츠마에선이 사라졌어요! 세키호쿠 본선, 소야 본선, 타카야마 본선은 네 가지 조건을 모조리 만족시켜 폐선을 모면한 케이스다. 반대로 소야 본선에서 갈라졌다 재합류하는 텐포쿠선은 2차에 걸려서 폐선 처리.


3. 당근과 채찍[편집]


물론 무턱대고 있던 철도 걷어가고 버스나 제3섹터로 강판시킬 수는 없었다. 지자체가 당연히 반발할 게 뻔할 뻔자였으니... 당연히 일본국유철도 측은 폐선 노선상의 지자체들을 달래고 또 달래야만 했다. 이 과정에서 전환 교부금을 준다거나 전환 후 5년간의 적자보전 등 나름 파격적인 정책들을 내놓았다. 다만, 지자체 내에서 및 지자체간 합의가 안 되면 국철이 직접 폐선처리를 할 수 있는 권한이 있었다고 한다!


4. 노선들의 운명[편집]


1차에 선정되었던 시라누카선의 경우, 시라누카역에서 호쿠신역까지 이어지는 30km짜리 막다른 노선이었고[14], 결국 전국 특정지방교통선 중 최초로 폐선이라는 명예(?)를 얻게 되었다.

그 이후로 여러 수십 가지 노선들이 줄줄이 폐선이 되거나 제3섹터로 넘겨지기 시작했다. 민영화 이후에도 나요로 본선, 텐포쿠선, 신메이선 등이 줄을 지어 폐선되었다.


5. 예외 사례[편집]


다만 특정지방교통선의 기준을 완벽하게 맞추고도 여러 사례로 예외가 된 노선도 두 개나 있었다. 하나는 요산선의 우회 겸 단축루트가 된 우치코선[15], 다른 하나는 현 카시마 임해철도 오아라이카시마선.


6. 전체 노선 목록[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03:52:06에 나무위키 특정지방교통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기종점 중 한쪽이 다른 노선으로의 환승 없이 막다른 곳에서 끊겨 있는 노선.[2] 단, 석탄 수송 밀도가 72만 톤 이상이면 예외.[3] 마토역~아시오혼잔역 구간은 이관과 동시에 폐선[4] 제3섹터 이관후 건설이 재개된 구간들의 경우 현재 영업거리를 기준으로 하며, 관련 자료가 없는 경우 ?로 표기한다.[5] 니지노마츠바라역 ~ 카라츠역 구간은 치쿠히선의 일부로 편입되어 1983년 3월 22일에 개통되었다.[6] 츄오 본선과 중첩되는 코조지역 ~ 카치가와역 구간의 복복선화는 무산되었으며, 카치가와역 ~ 비와지마역 구간은 민영화 과정에서 무산되지 않고 JR 도카이가 노선을 임대하게 되었다. 다만 운영권은 자회사인 도카이 교통사업으로 이관시켰다.[7] 소유는 JR 서일본 그대로[8] 자연재해로 운행중지. 실질적 폐지일[9] 동일본 대지진으로 운행중지. 실질적 폐지일[10] 동일본 대지진으로 운행중지. 실질적 폐지일[11] 코로나바이러스-19로 운행중지. 실질적 폐지일[12] 자연재해로 운행중지. 실질적 폐지일[13] 자연재해로 운행중지. 실질적 폐지일[14] 종점인 호쿠신역에는 역세권이라고 할 만한 게 하나도 없을 정도로 연선 인구가 처참하기도 했다.[15] 그러나 얄궂게도 비슷한 성격의 이세선은 특정지방교통선에 지정되어 폐선 직전까지 갔다가 제3섹터화 되었다. 해당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