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달로(전주)

덤프버전 :

파일:전주시 CI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간납로 · 감나무로 · 강변로 · 거마남로 · 거마산로 · 거마서로 · 거마중앙로 · 거마평로 · 견훤로 · 견훤왕궁로 · 고사평로 · 공북로 · 공수내로 · 구이로 · 권삼득로 · 기지로 · 꽃밭정로

난전들로 · 노송광장로

당산로 · 대동로 · 따박골로

마전들로 · 마전로 · 마전중앙로 · 맏내로 · 매곡로 · 모악로 · 문학로 · 문화광장로 · 물왕멀로

반촌로 · 발리산로 · 봉곡로

새터로 · 서곡로 · 서신로 · 서신천변로 · 서원로 · 서학로 · 선너머로 · 선비로 · 성지산로 · 세내로 · 소대배기로 · 소태정로 · 솟대로 · 송정로 · 송정중앙로 · 신봉로 · 쑥고개로

아중로 · 안행로 · 어은로 · 여울로 · 영선로 · 온고을로 · 용리로 · 용머리로 · 용호로 · 우림로 · 우전로 · 유연로 · 은행로 · 인봉남로 · 인봉로 · 인봉북로 · 인정로

장교로 · 장승배기로 · 전라감영로 · 전룡로 · 전주천동로 · 전주천서로 · 정여립로 · 중동로 · 중산로 · 중산중앙로 · 중화산로

천경로 · 천잠로 · 춘향로 · 출판로 · 충경로

콩쥐팥쥐로

태조로 · 태진로

팔달로 · 평화로

호남로 · 호암로 · 홍산남로 · 홍산로 · 홍산북로 · 홍산중앙로 · 화산천변로 · 황강서원로 · 효자로 · 효천남로 · 효천동로 · 효천서로 · 효천중앙로 · 흑석로
전라북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파일:전주시 CI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가련산로 · 가미내로 · 가인로 · 가재미로 · 거북바우로 · 건산로 · 건지로 · 건지산로 · 견훤로 · 견훤왕궁로 · 경동로 · 고내로 · 고내천변로 · 공북로 · 과학로 · 구억명덕로 · 구총목로 · 권삼득로 · 기지로

농생명로

덕진광장로 · 도당산로 · 동곡로 · 두간로 · 들사평로 · 들사평서로 · 떡전로

만경강남로 · 만성남로 · 만성동로 · 만성로 · 만성북로 · 만성서로 · 만성중앙로 · 매봉로 · 무삼지로 · 물왕멀로

반룡로 · 반월로 · 반촌로 · 백동로 · 백석남로 · 백석동로 · 백석로 · 번영로 · 벚꽃로 · 비석날로

사평로 · 삼례로 · 상리로 · 새만금북로 · 서귀로 · 석소로 · 세병남로 · 세병로 · 세병서로 · 소리로 · 소양천변로 · 솔내로 · 송천로 · 송천중앙로 · 숲정이로 · 시천로 · 신복로 · 신복천변로 · 신행로 · 신흥로 · 심방죽로

아중로 · 아중중앙로 · 안덕원로 · 안전로 · 양마로 · 어은로 · 여산로 · 오공로 · 오송로 · 온고을로 · 와룡로 · 완주로 · 용소로 · 우아로 · 운암로 · 원동로 · 원만성로 · 유상로 · 유연로 · 유제로 · 인교로 · 인봉남로 · 인봉로 · 인봉북로

장동유통로 · 전미로 · 전미중앙로 · 전주천서로 · 전진로 · 정언신로 · 정여립로 · 조경단로 · 중동로 · 중상보로 · 진북로 · 쪽구름로

천마산로 · 초포다리로 · 초포로 · 추천로 · 추탄로 · 출판로

콩쥐팥쥐로

태진로

팔과정로 · 팔달로 · 팔복로 · 편운로

하가로 · 한내로 · 한배미로 · 혁신로 · 호남로 · 호반로 · 호성로 · 화암로 · 흑석로
전라북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1. 개요
2. 역사
3. 특징
3.1. 구도심과 주요 관광지를 관통하는 메인도로
3.2. 전주시 시내버스와 구도심 도로의 기본축
4. 기타



1. 개요[편집]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금암광장에서 기린대로와 갈라져 완산구 서학광장에서 장승배기로와 합류하는 구간까지 이어진 4~6차선의 기린대로 계열 도로이다. 일제강점기 후반부터 일부 구간이 뚫린 역사가 깊은 도로이며 주요 대로인 기린대로백제대로 못지않는 중요성을 가진 도로.

과거 1번 국도의 일부였다.


2. 역사[편집]


도로 개설 계획은 전라선의 국유화로 전주역이 현재의 전주시청 위치로 이설된 1930년대 이후 전주부 도시계획안 등에서 이미 나타나 있지만, 이미 일제가 전쟁통에 미쳐돌아가는 시기가 되었기 때문에 그냥 자갈밭으로 놔두고 제대로 개통을 하지 못하고 있다가 해방 이후 역전통[1]-옛 중앙국민학교 앞[2]까지의 구간을 노폭 약 25m 너비로 개통한 것이 팔달로의 시초이다. 당시는 아직 일본식 척관법이 흔히 쓰이던 시기였기 때문에 일본 단위계의 간(間. 6자, 1.818m.)을 사용하여 십이간도로, 십이칸도로라는 통칭으로 불렸다. 이후 1963년 전주에서 전국체전이 개최되면서 도시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분수대에서 북문오거리까지, 그리고 중앙국교 앞에서 전주천변까지의 구간을 추가 개통하였으며, 이 때 공모를 통해 팔달로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름은 조선시대 전라감영 문루의 이름이었던 팔달루에서 따왔다고 한다.
1963년 팔달로가 개통되기 이전까지 전주 시내를 관통하는 대로는 단 1개도 없었으며[3] 이 도로가 열리고 나서부터야 비로소 전주 시내가 현대 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전주 최초의 신호등이자 도로 광고탑이었던 미원[4]은 6~70년대 현재의 객사와 같이 전주시민의 만남의 장소로 애용되었으며, 팔달로변 오거리 상권이 구 시청 주변과함께 전주 최대의 상권으로 성장하게 된 것도 팔달로 개통이 되고부터이다.
팔달로의 중요성은 충경로가 개통된 1980년대 들어 더 치솟게 되는데, 이때까지 전주천 서부 방면 관통도로가 제대로 없었던 전주시에 팔달로-충경로의 교차점인 민중서관 사거리가 최초로 동서남북 양 방향의 교통이 만나는 교차로가 되었기 때문.


3. 특징[편집]



3.1. 구도심과 주요 관광지를 관통하는 메인도로[편집]


이 도로가 3대 대로 못지않는 중요성을 가지는 이유는 구도심을 제대로 관통하는 둘뿐인 도로이기 때문이다. 시초부터 전후 1980년대까지 집중 개발된 덕진동, 금암동 일대의 덕진구 부도심과 전주 구도심을 연결하는 도로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금암광장부터 시작하여 진북동을 지나 완산구 에 진입하면 이 도로변에 중앙시장, 전주시청(구 전주역) 및 구 시청/도청, 객사길, 북문오거리(영화의 거리) 등의 주요 시내 상권, 각종 은행 지점과 예술회관 등의 주요 공공기관과 기업, 그리고 남부시장이 도로변에 자리해 있으며, 전주 한옥마을 또한 팔달로변을 주 출입구로 하고 있다. 실제로 기린대로와 갈라진 이후부터는 사실상 이 도로가 기린대로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만성 정체에 시달리고 있다. 평일에는 구도심 출퇴근 인구[5]로 막히고 주말에는 관광객들 차량으로 막힌다(...). 문제는 도로 자체가 2000년대 이후의 차량 증가와 관광객 폭발을 전혀 예측할 수 없었던 시기[6]에 완공된 것이고 이 주변의 지가는 이미 오른 지 한참 됐기 때문에, 호남 제2의 도시의 구도심을 관통하는 도로 치고는 상당히 좁은 상태이며 확장 계획도 사실상 없다.

시내 간선도로로서의 중요성은 서로 교차하는 충경로와 함께 전주의 3대 대로인 동부대로보다 훨씬 중요하다.[7] 전주의 3대 메인 도로를 백제대로, 기린대로, 팔달로라고 해도 무리가 없을 정도.


3.2. 전주시 시내버스와 구도심 도로의 기본축[편집]


팔달로는 1950년대 완성된 이후 전주 구도심의 대동맥이자 구도심 상권의 핵심 중의 핵심이었다[8] 전주 도심이 덕진까지 팽창하며 기린대로와 백제대로가 만들어지기 전에는 종축인 충경로와 함께 전주를 중앙으로 관통하는 도로였으며 구도심 도로들은 여전히 이 도로를 축으로 뻗어나가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전주시 시내버스의 주요 축이기도 하는데, 전주 시내버스 10대중 7대가 이 도로를 지날 정도이다. 그래서 항상 버스가 6대 이상씩 밀려 서 있고 100m내의 거리에 정류장에 3개씩 서 있는 것도 볼 수 있다.[9] 즉 전주시 시내버스가 팔달로를 중심 체계로 돌아가고 있고 대부분 버스가 팔달로를 지난다는 것이다.

이후 여러차례 시내버스 개편으로 구도심을 통과하는 여러 노선들이 통폐합되었고, 서부 신시가지 위주로 경유하는 노선도 여럿 개통되었으나 팔달로를 경유하는 시내버스 노선은 여전히 상당히 많다.


4. 기타[편집]


충경로사거리 - 풍남문교차로 사이 550m 구간에 대중교통전용지구 전환 논의가 있었지만 주변 상인들의 반대로 연기되었다. 이후 충경로 걷고싶은거리 사업 추진으로 인해 보류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12:34:54에 나무위키 팔달로(전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지금의 북문광장.[2] 지금의 경기전 후원 부근에 있었다.[3] 역전통, 즉 현재의 노송광장로가 광로이긴 했지만 길이가 너무 짧아 축도로로서의 역할은 전혀 하지 못했다. 1900년대에 처음 개설되었을 시절의 전군가도(현재는 전주객사1길과 태진로로 나뉘어 있다)는 도심 서쪽으로 빗나가 있으며, 나중에 현재의 전주 객사길이 뚫린 이후 변경된 전군가도 (현재는 진북광장에서 노송천변을 따라 중앙시장으로 들어가는 길이다) 또한 노폭이 좁아 관통로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4] 현재의 기업은행 사거리에 세워져 있었다.[5] 시청과 완산경찰서가 아직 이쪽에 있고, 주요 은행들도 대부분 전주지점을 이 근처에 두고 있기 때문에 의외로 통근량이 꽤 된다.[6] 거의 90년대 초중반까지도 현재 한옥마을에 대한 전주 시민들의 인식은 찢어지게 가난한 달동네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으며, 누가 거기 집 사라고 해도 안 살 정도의 낮은 취급을 받았다. 관광지화된 지금도 한옥마을 일대 주민의 기초수급률과 노령화율은 다른 동 주민들에 비해 높은 편이다.[7] 동부대로는 기린대로의 북동부권 우회도로 목적으로 개설된 거라 애초에 중요성이 비교가 안 된다.[8] 객사길 상권이 실제 구도심의 중심 상권 취급을 받은 건 아무리 빨리 잡아도 1990년대 후반 이후였고, 그 이전에는 역전통이라 불리던 북문오거리와 구 시청 앞(지금의 기업은행 전주지점 앞)의 미원탑이 중심 상권 취급을 받고 있었다.[9] 그러나 이건 지나는 버스 노선이 많아서 분리승강장을 설치해놓은 것이고, 전북대학교 앞 승강장도 양방향 모두 나눠져 있다. 즉, 서울처럼 일부 정류장을 나눠놓은 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