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데리코 펠리니

덤프버전 :

페데리코 펠리니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역대 칸 영화제 수상작
파일:cannespalmedor.png
황금종려상
제12회
(1959년)


제13회
(1960년)


제14회
(1961년)

마르셀 카뮈
(흑인 오르페)

페데리코 펠리니
(달콤한 인생)


앙리 콜피
(이처럼 긴 부재)
루이스 부뉴엘
(비리디아나)


역대 베니스 영화제
파일:silverlion.png
은사자상
제14회
(1953년)


제15회
(1954년)


제16회
(1955년)

-

페데리코 펠리니
(비텔로니)

존 휴스턴
(물랑 루즈)
알렉산드르 푸쉬코
(사드코)

엘리아 카잔
(워터프론트)
미조구치 겐지
(산쇼다유)
구로사와 아키라
(7인의 사무라이)
페데리코 펠리니
()
제14회
(1953년)


제15회
(1954년)


제16회
(1955년)

페데리코 펠리니
(비텔로니)
존 휴스턴
(물랑 루즈)
알렉산드르 푸쉬코
(사드코)

엘리아 카잔
(워터프론트)
미조구치 겐지
(산쇼다유)
구로사와 아키라
(7인의 사무라이)
페데리코 펠리니
()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여자 친구들)
로버트 알드리치
(빅 나이프)
볼프강 슈타우터
(아이는 사랑이 필요하다)
삼손 삼소노프
(베짱이)


역대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
파일:David di Donatello logo.png
감독상
제1회
(1956년)


제2회
(1957년)


제4회
(1959년)

잔니 프란촐리니
(로마 이야기)

페데리코 펠리니
(카비리아의 밤)


알베르토 라투아다
(템페스트)
제4회
(1959년)


제5회
(1960년)


제6회
(1961년)

알베르토 라투아다
(템페스트)

페데리코 펠리니
(달콤한 인생)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밤)
제18회
(1973년)


제19회
(1974년)


제20회
(1975년)

루키노 비스콘티
(루드비히 신들의 황혼)

페데리코 펠리니
(아마코드)


디노 리시
(여인의 향기)
각본상
제28회
(1983년)


제29회
(1984년)


제30회
(1985년)

에토레 스콜라, 세르지오 아미데이
(바렌느의 밤)

페데리코 펠리니, 토니노 구에라
(그리고 배는 항해한다)

비토리오 타비아니, 파올로 타비아니, 토니노 구에라
(카오스)


역대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BAFTA 로고.svg
미술상
제30회
(1977년)


제31회
(1978년)


제32회
(1979년)

제프리 커클랜드
(벅시 말론)

페데리코 펠리니, 다닐로 도나티
(카사노바)

조 알비스
(미지와의 조우)



페데리코 펠리니
Federico Fellini
OMRI


파일:Federico-Fellini.jpg

본명
페데리코 도메니코 마르첼로 펠리니
Federico Domenico Marcello Fellini
출생
1920년 1월 20일
이탈리아 왕국 에밀리아로마냐 리미니
사망
1993년 10월 31일 (향년 73세)
이탈리아 라치오 로마
국적
[[이탈리아 왕국|

이탈리아 왕국
display: none; display: 이탈리아 왕국"
행정구
]]
(1920~1946)
[[이탈리아|

이탈리아
display: none; display: 이탈리아"
행정구
]]
(1946~1993)
직업
영화감독
가족
아내 줄리에타 마시나(1943년 결혼)

1. 개요
2. 생애
2.1. 초기 생애
2.2. 영화계 데뷔
2.3. 전성기
2.4. 후반기
3. 필모그래피
4. 그 외에
4.1. 스탠 리와의 인연
4.2. 플래시 고든이 뭐기에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www.umbertocantone.it/fellini-a-4.jpg
1940년 로마에서

이탈리아영화 감독으로, 이탈리아 영화사 제일의 거장으로 손꼽히는 인물이다. 일생동안 그가 감독한 작품 가운데 무려 네 편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을 받았으며, 이는 2020년 지금까지도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 부문에서는 최다 수상 기록으로 유지되고 있다.

초기에는 네오 리얼리즘 계열의 영화를 주로 감독하며 명성을 날렸으나, 60년대부터 점차 네오 리얼리즘에서 탈피하기 시작했다. 1960년 발표한 《달콤한 인생》은 기승전결 형식이 아닌 단편적인 사건과 이미지를 풀어낸 독특한 내러티브 구조로 같은 해 칸 영화제에서 함께 발표된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정사》와 함께 모더니즘 시네마 시대의 문을 열었다고 평가받으며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이후 《펠리니 사티리콘 》이나 《8과 1/2》과 같은 영화들도 리얼리즘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초현실주의적 색채를 띤다. 펠리니는 무의식, 악령, 미신 같은 요소를 영화로 표현했고 칼 융에게 영향을 받기도 했다. 카예 뒤 시네마의 호평을 받은 단편 《토비 대밋》은 아예 호러 영화다.


2. 생애[편집]



2.1. 초기 생애[편집]


페데리코 펠리니는 1920년 1월 20일, 이탈리아 북부에 위치한 아드리아 해 연안의 리미니 [1]라는 도시에서 식료품 판매상의 아들로 태어났다.[2] 피서지로 유명했던 리미니에는 영화관과 서커스 공연장도 제법 많았는데, 어린 시절의 펠리니는 주로 이 곳에서 시간을 떼우곤 했으며 좀 더 자란 후에는 친구들과 함께 잡다한 장난을 치는 것을 좋아하게 되었다. 이런 성장환경이 그의 작품세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으리라 보인다. 펠리니는 이 유년기를 아마코드라는 영화에서 다루기도 했다.

1938년, 회화에 소질이 있었던 펠리니는 리미니를 떠나 피렌체로 옮겨가서 풍자주간지나 SF연재소설을 위한 삽화를 그리는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였다. 1939년에는 로마로 상경해서 레스트랑을 돌아다니며 자신이 그린 풍자만화를 팔며 언론인이 되고자 하였고, 1940년에는 풍자주간지 《마르크아우렐리오(Marc'Aurelio)》의 편집자가 되었다. 1943년에는 배우 줄리에타 마시나가 출연하던 라디오 연속극의 각본을 집필하게 되었다가 그것이 인연이 되어 마시나와 결혼하게 되었다.


2.2. 영화계 데뷔[편집]


펠리니는 이처럼 언론계에서 쌓은 경력을 바탕으로, 2차 세계대전이 끝난 1945년 이후로는 영화계에도 발을 담그기 시작했는데, 특히 네오 리얼리즘의 거장 중 한 사람이었던 영화감독 로베르토 로셀리니의 영화제작에 참여했던 일은 그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펠리니는 로셀리니의 대표작 중 하나인 《무방비도시》(1945)와 《파이사》(1946)의 제작에 참여하여 조감독으로 활동하였으며, 로셀리니의 《기적》(1948) 제작 당시에는 자신이 직접 각본을 집필하기도 하였다.

1950년에는 영화감독 알베르토 라투아다와 공동 감독을 맡아 감독 데뷔작인 《청춘군상》(1950)[3]을 제작하였다. 이후에도 《백인추장》(1952), 《도시의 사랑》(1953), 《비텔로니》(1953) 등을 비롯한 몇몇 작품들을 제작하였으나 비평과 흥행 모두 눈에 띄는 성공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펠리니는 이런저런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나름대로의 노하우를 쌓아갔고, 이는 훗날 그의 영화인생에서 적지 않은 자산이 되었다.


2.3. 전성기[편집]


1954년, 펠리니는 자신의 초기 네오리얼리즘 대표작 중 하나인 《》를 감독하게 된다. 배우 앤소니 퀸과 펠리니의 아내였던 줄리에타 마시나가 각기 거친 성격의 떠돌이 차력사 "잠파노"와 악기를 연주하는 순진한 처녀 "젤소미나"를 열연한 이 명작은 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펠리니가 감독한 작품 중에서는 처음으로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오스카상을 수상했다.[4] 이는 1957년에 아카데미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5]이 경쟁 부문으로 개설되면서 최초로 수상한 것이다.[6]

이후에는 《사기꾼들》(1955)과 《카비리아의 밤》(1956) 등을 감독하였으며 이 역시 성공을 거두었다. 특히 펠리니의 아내 마시나가 다시 주연을 맡은 《카비리아의 밤》은 또다시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을 받으면서 그가 감독한 작품 중 두 번째로 오스카상을 받았다. 마시나도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탈 정도로 명연기를 펼쳤다. 이후 《달콤한 인생》(1960)을 감독하여 또다시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 작품으로 펠리니는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받았다.

달콤한 인생 부터 펠리니는 네오 리얼리즘에서 탈피하여, 시각적인 강렬함과 환상적인 분위기를 가미한 영화를 제작하기 시작한다. 그 시도가 처음으로 이루어진 작품이 바로 《8과 1/2》 (1963)이었으며, 이 영화는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을 받으면서 펠리니의 작품 중 세 번째로 오스카상을 수상한 작품이 된다. 이후 펠리니는 《영혼의 줄리에타》(1965)를 감독했다. 이는 펠리니 최초의 컬러영화였으나 흥행에서는 그다지 재미를 보지 못하였고, 이 일로 인하여 펠리니는 《달콤한 인생》 제작 때부터 7여년을 함께 일해온 제작자 안젤로 리촐리와 결별하게 된다. 다만 영화는 골든글로브에서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고 현재는 대표작 리스트로 거론되고 있다.

《펠리니 사티리콘》(1969)는 그의 영화인생의 절정기를 장식한 작품으로, 고대 로마의 문장가 페트로니우스가 남겼다고 전해지는 소설 《사티리콘》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이다. 이 작품은 제작자들로부터 주어진 전폭적인 지원에 따라 지금까지 펠리니 자신이 감독했던 그 어떤 영화들보다도 거대한 세트와 화려한 색감의 화면을 자랑했고, 흥행과 비평 모두 괜찮은 성공을 거두었다.

펠리니는 이후 《광대들》(1970), 《로마》(1972) 등을 감독하였다. 또한 《아마코드》(1974)[7]를 감독하였고, 이 작품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하면서 펠리니의 작품 중 무려 네 번째 오스카상 수상작이 되면서 그는 전성기의 커리어를 화려하게 마무리지었다.


2.4. 후반기[편집]


이후 펠리니는 70년대 중반~90년대에 걸쳐 작품활동을 이어나갔으나, 펠리니는 전성기는 1970년대 전반에 막을 내린 상태였고, 당시에는 영화인으로서의 쇠퇴기가 찾아오기 시작했던 시점이었다. 후반기 커리어의 펠리니는 과거의 경력과 견주어 볼 때에 호평을 받을만한 걸작은 만들지 못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펠리니는 1993년 10월 31일, 다발성 뇌출혈 합병증으로 로마의 한 병원에서 향년 73세의 나이로 숨을 거두었다. 펠리니의 평생의 배우자이자 페르소나였던 아내 줄리에타 마시나 또한 남편이 세상을 떠난지 채 1년이 되지 못한 1994년 3월 23일, 로마에서 숨을 거두었다.[8]


3. 필모그래피[편집]


년도
제목
연출
각본
출연
비고
1945
무방비도시
Roma città aperta




1946
전화의 저편
Paisà




1948
사랑
L'Amore




1950
청춘군상
Luci del varietà



장편 감독 데뷔작
1950
프란체스코, 신의 어릿광대
Francesco, giullare di Dio




1952
백인추장
Lo sceicco bianco



제13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부문 초청
1952
유로파 51
Europa '51




1953
'도시의 사랑' 中
결혼 소개소
Agenzia matrimoniale



옴니버스 영화 참여, 단편
1953
비텔로니
I vitelloni



제14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은사자상 수상
아카데미 각본상 후보

1954
라 스트라다
La strada



제15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은사자상 수상
제29회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 수상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선정
카예 뒤 시네마 선정 1955년 올해의 영화 7위

1955
사기꾼들
Il bidone



제16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
카예 뒤 시네마 선정 1956년 올해의 영화 7위

1956
카비리아의 밤
Le notti di Cabiria



제10회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 (줄리에타 마시나) 수상
제30회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 수상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선정
카예 뒤 시네마 선정 1957년 올해의 영화 3위

1960
달콤한 인생
La dolce vita



제13회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선정

1962
'보카치오 70' 中
안토니오 박사의 유혹
Le tentazioni del dottor Antonio



옴니버스 영화 참여, 단편
1963
8과 1/2




제36회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 수상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선정
카예 뒤 시네마 선정 1968년 올해의 영화 10위

1965
영혼의 줄리에타
Giulietta degli spiriti



제26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
제24회 골든글로브 시상식 외국어 영화상 수상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선정

1968
'죽음의 영혼' 中
토비 대밋
Toby Dammit



옴니버스 영화 참여, 단편
카예 뒤 시네마 선정 1968년 올해의 영화 공동 4위

1969
펠리니 사티리콘
Fellini Satyricon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선정
1970
광대들[9]
I clowns




1972
로마
Roma




1974
아마코드
Amarcord



제47회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 수상
1974
우리는 그토록 사랑했네
C'eravamo tanto amati




1976
카사노바
Il Casanova di Federico Fellini



제31회 BAFTA 프로덕션 디자인상 수상
1978
오케스트라 리허설
Prova d'orchestra




1980
여인의 도시
Estate romana




1983
그리고 배는 항해한다
L'imbalsamatore



카예 뒤 시네마 선정 1984년 올해의 영화 공동 7위
1986
진저와 프레드
L'imbalsamatore




1987
인터뷰
Intervista



제40회 칸 영화제 40주년 기념상 수상
카예 뒤 시네마 선정 1987년 올해의 영화 공동 2위

1990
달의 목소리
La voce della luna



유작


4. 그 외에[편집]


  • 영화 《대부》의 OST를 담당한 것으로 유명한 작곡가 니노 로타와는 매우 각별한 사이였다. 니노 로타는 《백인 추장》을 시작으로, 이후 수십년의 세월동안 펠리니가 감독한 수많은 영화의 OST를 작곡했다.

  • 본래 풍자적인 만평을 그리던 만화가 출신이었던 만큼 그림솜씨도 좋은 편이었다. 훗날 그가 영화를 제작할 당시에 사용했던 구상용 노트들을 보면 만평 스타일의 재미있는 스케치들을 볼 수 있다.

  • 특이하게도 그는 미신을 숭배했으며, 피누스라는 점쟁이를 데리고 다니기도 하였다. 언젠가는 펠리니가 자신의 영매 친구들에게 자신이 새로 감독한 영화의 흥행성적을 물어봤는데, 두 편이 흥행에서 참패한다는 답변을 들었다고 한다. 그 예언은 결국 적중하였는데, 정확히는 점쟁이의 예언이 연예계를 떠돌아 다니면서 불안감을 조성했기 때문이다.

  • 이탈리아 거장 감독 중에서는 드물게 정치적 견해를 크게 드러내지 않았다. 중도 성향에 가까웠는데[10] 말년에 실비오 베를루스코니를 크게 비난한 적은 있다.

  • "파파라치"라는 낱말은 바로 펠리니가 감독한 영화 《달콤한 인생》에서 유래한 신조어였다. 이후로 파파라치는 유명인사들를 끈질기게 쫓아다니며 사진을 찍어대는 사람들을 일컫는 고유명사로 자리잡게 된다. 그래서인지 1993년 10월 31일[11] 로마의 한 병원에서 펠리니가 다발성 뇌출혈 합병증으로 죽어가던 중, 어느 파파라치가 죽기 직전의 펠리니의 모습을 촬영하는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하지만 이탈리아 언론의 결정에 따라 신문사나 잡지사들은 그 사진을 싣지 않기로 하였다.[12]

  • 또한 그는 의료팀의 감시 아래 환각제 LSD를 복용하는 실험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정작 본인은 끝내주는 환상을 경험하지 못해서 실망했다고 전해진다.

  • 여담으로 죽기 직전에는 병문안을 온 데이비드 린치와 만나기도 했다. 데이비드 린치의 자서전 에세이인 《데이빗 린치의 빨간 방》에서도 이 일화가 언급된다.


  • 일본 애니메이션에도 많은 영향을 준 감독이다. 일본에서는 1945 ~ 60년대까지 패전 컴플렉스로 미국, 영국 영화보다는 프랑스, 이탈리아 영화가 인기를 끌었는데[13] 이때 페데리코 펠리니 작품을 보고 연출을 차용한 애니메이션 감독이 많다. 타키자와 토시후미, 야마자키 카즈오, 안노 히데아키 등이 대표적이다. 한국에서도 일본 영향을 받아 이 인기를 끌면서 꽤 인지도가 높은 전후 유럽 영화 감독에 속하는데, 김수영(시인)이 펠리니의 길을 보다가 아내 김현경을 때린 사건이 문학사적으로 유명하다.


4.1. 스탠 리와의 인연[편집]


파일:external/28.media.tumblr.com/tumblr_l4mfg0Fnlt1qcqz6qo1_500.jpg

여러 면에서 펠리니의 인생은 만화 같았다. 그러므로 그가 만화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해도 놀랄 일은 아니다.

60년대 중반, 펠리니는 마블 코믹스의 열렬한 팬이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스파이더맨헐크를 좋아했는데, 그 계기가 1965년 11월 뉴욕에 방문했을 때, 바이러스에 감염돼서 하게된 입원이다. 병상에 누워 있던 펠리니에게 누가 만화책을 권해 주었는데, 거기에 재미들린 펠리니는 마블 사에 전화를 해 스탠 리를 만났다고 한다.

리와의 인연은 오랜 세월 동안 계속되었는데, 리가 로마에 들를 때는 펠리니의 별장에서 머물렀다고 한다. (출처:로버트 쉬네이큰버그의 "위대한 영화감독들의 기상천외한 인생 이야기")


4.2. 플래시 고든이 뭐기에[편집]


펠리니는 상습적으로 과장이 심한 편이었다. 특히나 영화 역사에 기록을 남길 욕심으로 그의 창의적인 공적을 과장되게 꾸미는 경향이 있었다. 그중 수십년동안 계속되어온 허풍 일화가 하나 있다. 1930년대 말 펠리니가 미국 만화 《플래시 고든》의 이탈리아어판을 그렸다는 것이다. 그러나 진실을 속일 수는 없었다. 인터뷰에서 펠리니는 1938년 베니토 무솔리니가 모든 미국 만화를 금지했을 때 만화 《플래시 고든》을 지켜낸 것이 자신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무솔리니는 그런 금지령을 내린 적이 없었다.

펠리니는 앨릭스 레이먼드의 액션이 넘치는 우주모험극 《플래시 고든》의 열렬한 팬이었다. 그런데 펠리니가 주장하기를 주인공 플래시 고든이 포버스 행성에서 납치되어 호크맨 행성으로 이송되는 그 유명한 스토리 라인을 제안한 사람이 자신이라고 했는데 이 역시도 터무니 없는 허풍이었다. 그 줄거리는 레이먼드가 창작한 것으로, 1936년 영화 《플래시 고든》과 1980년 리메이크의 기본이 되었다.

물론 미국판 만화가 잠시 중단되었을 때 펠리니가 이탈리아어 판 플래시 고든의 일부를 직접 그리기는 했지만 그가 작업한 부분은 출간된적이 없었다. 한 이탈리아 기자가 증거를 내세워 펠리니의 '플래시 고든' 일화는 거짓이었다고 다그치자 펠리니는 순순히 "아마 그럴걸요."라고 시인했다. 그러나 제작자 디노 드 로렌티스가 엄청난 예산의 1980년 영화 플래시 고든의 감독으로 펠리니를 1순위로 선택했다는 것만은 진실이었다. 하지만 그 계약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15:31:49에 나무위키 페데리코 펠리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근처에 산마리노 공화국이 있다.[2] 펠리니의 아버지는 1956년에 사망한다.[3] 원제는 Luci del varieta[4] 아카데미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은 감독에게 수여되는 상이 아니다. 부문 개설 첫 해에는 작품상처럼 제작자에게 수여되는 형식이었다가, 그나마도 바로 그 다음해부터 현재까지 계속 아예 출품 국가에 수여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따라서 페데리코 펠리니는 경쟁 부문에서는 단 한 번도 오스카상을 받은 적이 없다. 그가 받은 오스카상은 오로지 비경쟁 부문인 공로상을 받은 것이 유일하다.[5] 2020년 현재는 아카데미 국제영화상으로 시상 부문 명칭이 변경되었다.[6] 작품은 1954년에 완성됐는데 1957년에서야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한 것은, 당시 시대가 시대인지라 제작 후 2년이 지난 1956년에서야 미국에서 개봉했었기 때문이다.[7] 《나는 기억한다》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8] 공교롭게도 줄리에타 마시나 또한 작고할 당시에 73세였다.[9] TV 영화.[10] 이탈리아 영화계 인물들은 좌파 성향이 강하다.[11] 공교롭게도 같은 날 미국에선 젊은 배우 리버 피닉스가 죽었다. 덕분에 유럽에선 펠리니 죽음에 묻혀 별로 알려지지도 못했다.[12] 다만, 1993년 12월호 국내 영화지 로드쇼에서 누운 자리에서 숨을 거두기 전 그의 사진을 실은 바 있다.[13] 마스무라 야스조 같이 이탈리아 유학파 감독도 있을 정도였다. 마스무라 특유의 강인한 여성상은 소피아 로렌에 영향을 받았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