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시장(서울)

덤프버전 :


1. 개요
2. 역사
3. 사건·사고
4. 교통
4.1. 버스
4.2. 도시철도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6가를 중심으로 흥인지문청계천 지역에 밀집한 의류 도매시장.

동대문 시장은 크게 도매시장과 소매시장으로, 그리고 젊은 세대 타겟 시장과 장년층 이상 타겟 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젊은 세대 타겟 시장은 두타(두산타워)를 비롯한 쇼핑몰로 대개 1990년대 후반 이후에 지어진 곳이다. 장년층 이상 세대 타겟시장은 평화시장을 필두로 한, 이름에 ‘평화’라는 단어가 들어간 시장들이다. 그리고 이 ‘평화’ 시장군이 현 동대문 패션타운 관광특구 초기 성장의 원조이자 주역이다.

2. 역사[편집]


한국전쟁 이후 실향민들은 청계천 근처에 거주하면서 의류를 제작하고 생계를 이어나갔다. 이들은 팔 수만 있다면 어떤 종류의 물건이라도 팔고자 했고, 미군 부대에서 나온 군복과 담요를 활용한 옷도 만들어서 팔았다. 당시 청계천 주변은 무허가 건물과 노점이 즐비했으며, 이곳으로 배출된 오수와 쓰레기로 서울시는 골머리를 앓고 있었다. 1958년 청계천을 도로로 복개하는 공사를 시작하면서, 재래시장은 없어질 위기에 처했다. 당시 상인들은 집단 대응하여 서울시로부터 부지를 제공받고 건물을 지었다. 많은 상인들이 실향민이었기 때문에 이들은 평화 통일의 염원을 담아 상가의 이름을 평화시장으로 지어 1962년에 오픈했다. 평화시장이 성장하자 주변에 생산과 판매가 혼합된 의류상가들이 들어서 동신시장(1962), 통일상가(1968), 동화시장(1969)이 차례로 개발됐다.

현재의 평화시장은 전 층이 상점으로 쓰이고 공장들은 주변의 창신동, 신당동 일대에 위치하고 있지만, 과거에는 1층은 상점이, 2~3층에는 봉제공장이 있었다. 이런 구조는 18~19세기 유럽 산업도시 건물에서도 나타난다. 원재료를 건물의 맨 위층(일종의 재료 창고)에 저장한 후, 밑에 층에서 이를 활용해 제품을 만든 후 1층 상점에서 판매하는 구조였다. 생산과 판매가 공간적으로 단일 건물 안에서 수직적 프로세스를 따라 발생하는 것이 18~19세기 유럽과 20세기 중후반 서울이라는 서로 다른 시간과 지역에서 나타난 것이다.

당시 부유층은 양장점에서 옷을 맞춰 입었지만 일반 서민들은 옷감을 떼다 옷을 만들어 입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상황에 기성복이 등장하자 대중에게 큰 인기를 누리면서 평화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했다.

동대문은 대한민국 의류생산의 주축을 담당하면서 빠르게 성장했지만, 노동조건과 노동현장은 열악했다. 하루 평균 16시간 근무하면서 매우 적은 월급을 받았다. 단순 작업을 주로 하는 시다(보조)의 평균 연령은 15세에 불과했다. 또한 층 높이 3m를 나눠 복층화해 공장으로 가동했기 때문에, 공장에 최적화된 환경도 아니었다. 1975년 청계피복노동조합 조사에 따르면 당시 한 공장의 평균 노동자 수는 17.2명이었는데, 이는 현재 동대문 패션클러스터의 생산축 역할을 하는 창신동 소재 공장(약 2~5명)에 비하면 세 배 이상 많은 수다.

1970년대에는 가내수공업을 위주로 한 영세 업체들이 많이 있었는데 이들은 도시빈민과 일용노동자들의 값싼 노동력을 기반으로 업체를 운영했다.

1970년 22세의 전태일은 평화시장에서 재단사로 근무하다가 평화시장 피복제품상 종업원 근로개선을 위해 투쟁하다 사망했다. 이 당시 평화시장은 5백명이 화장실(당시 변소라 부름) 하나를 사용했고, 일요일 없이 하루 16시간 고강도 노동에 시달렸다. 전태일의 분신자살은 일시적인 충동에 사로잡혀 일어난 것이 아니고, 근로조건을 규정한 근로기준법 해설 책자를 1년이나 탐독한 후 직공들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돌려 얻어진 근로기준법과 유리된 안타까운 실태를 노동청에 호소, 시정해 줄 것을 여러차례 요구했으나 냉담한 반응에 부딪치자 '결행'된 것으로 밝혀져 이는 곧 사회문제화되었고 급기야는 정치문제로 번져 당국으로 하여금 노동행정을 재검토케 하는 계기를 마련해준 것이다. 현재는 전태일의 동상이 평화시장 앞 버들다리(전태일 다리) 근처 실제 전태일이 사망한 곳에 있다. 이후 이곳은 전태일의 모친 이소선 여사를 중심으로 한국 노조 운동의 성지가 되었다.

이후 청계천 복원공사때 이 인근의 다리에 전태일 동상이 세워졌는데, 하필이면 하반신이 잘려 파묻힌(?) 기묘한 비주얼로 나와서 고인 비하다 아니다 논란이 있었다.
파일:FEFB714E-7BD7-4AF3-B4C6-5968F7F824BB.jpg

1970년대에 들어서는 동대문 성곽 외곽지역, 즉 청계6가 사거리 동쪽 지역이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1972년 신평화시장이 개발된 후, 1983년 청평화시장이 오픈했다. 이들은 평화시장의 브랜드 효과 덕을 보고자, 평화라는 이름을 고수하는데, 신평화, 동평화, 청평화, 남평화, 제일평화시장 등으로 이름을 붙였다.

평화시장이 가파르게 상권으로 성장하면서 1975년 이후 2층과 3층 공장들은 지대가 싼 주변의 창신동, 숭인동, 충신동, 신당동으로 이주했다. 여기에는 열악한 작업환경의 공장은 철거하겠다는 서울시의 방침도 일조했다. 서울시는 위험작업장 종합안전진단을 실시하여, ‘극히 불량한 것은 모두 철거한다’는 방침을 천명하기도 했었다.#

과거 삼풍백화점을 지은 삼풍건설산업의 등기상 본사가 청평화시장에 있었다.[1]


3. 사건·사고[편집]


2019년 9월 22일 0시 38분 제일평화시장 건물에서 불이 났다. 지상 7층, 지하 1층짜리 건물의 3층 의류매장에서 시작된 불은 1시간여 만인 오전 1시 41분에 큰 불길이 잡혔다. 그러나 시장 내 원단과 의류 속에 남아 있는 잔불이 많아 화재 발생 16시간을 넘겨서 완진되었다. #1 #2 #3 상가 건물이 3층까지만 허가되어 있는데 7층으로 불법 증축한 데다 외벽에 철판까지 둘러져 있어 진화 작업이 더뎌졌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 9월 25일 경찰과 소방당국이 화재에 대한 2차 합동감식을 진행했다. 경찰은 전담팀을 구성해 자세한 화재 원인을 조사하면서 위법 여부 등에 대한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


4. 교통[편집]



4.1. 버스[편집]



4.2. 도시철도[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22:47:13에 나무위키 평화시장(서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실질적 본사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산 192-4, 삼풍백화점 B동 3층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