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전쟁 1019

덤프버전 :

파일:평화전쟁1019.jpg

1. 개요
2. 출연
2.1. 역사학자
2.2. 연기자
2.2.1. 고려
2.2.2. 거란
3. 평가
3.1. 아쉬운 점
4. 기타


1. 개요[편집]


JTBC에서 창사특집으로 제작되어 2019년 11월 23일, 24일 방송된 다큐멘터리. 고려와 동북아의 운명을 갈랐던 여요전쟁제2차 여요전쟁, 제3차 여요전쟁을 다뤘다. 해설 담당은 배우 김명수.[1]


2. 출연[편집]



2.1. 역사학자[편집]




2.2. 연기자[편집]



2.2.1. 고려[편집]


  • 김종현 (주상현)
  • 조원

2.2.2. 거란[편집]


  • 야율융서 (우간바야르 엥흐바야르)[2]

3. 평가[편집]


귀주 대첩으로 대중들에게 유명하면서도 그동안 천추태후 같은 사극에서만 부분적으로 다뤄졌던 여요전쟁에 대해 오랜만에 심층적으로 다룬 다큐멘터리여서 역덕후들에게 큰 호평을 받았다. 대부분의 장면을 몽골에서 로케이션해서 찍었으며, 거란인들 역할(및 엑스트라 대부분)을 전부 몽골인 연기자들에게 맡겼다. 거란인 대사도 사실 전부 몽골어.[3]

한국사에서 묻혀진 명장이자 끝까지 백성들을 위해 싸우다 순국한 양규에 대한 재조명이 크다. 1부는 사실상 주연이고, 2부도 전반부를 장식하며 강감찬급 비중을 보이는 진주인공급. 또한 현종의 리더십에 대해서도 높이 평가하고 있다.[4]
파일:dd3603df7f3523f2b322cca0a822b1cf.jpg
촬영지가 초목이 우거지고 산이 많은 한반도가 아니라 메마르고 넓은 몽골 평원이어서 약간 어색한 감이 들지만[5] 그 외의 고증은 최대한 신경을 썼다. 거란과 고려 기병들이 그동안 한국 사극에서 보던 다리 길고 키 큰 서양 말인 서러브레드가 아니라 다리 짧고 머리 큰 몽골 조랑말을 타고 내달리는 모습은 신선한 느낌을 준다. 고려군 갑옷은 현종이 송나라풍 갑옷을 입은 것을 제외하면, 고려 경번갑이나 고구려군 갑옷 소품을 입혔는데, 일반 한국 사극처럼 판타지 갑옷이나 조선시대 두정갑을 입는 것보다는 훨씬 좋은 결정이었다.[6] 거란군 연기자들은 전쟁의 시기가 겨울이었다는 점을 감안해 몽골식으로 두텁게 털이 달린 갑옷을 입었다.


3.1. 아쉬운 점[편집]


다만 아쉬운 점도 있는데, 학계의 정설은 제3차 여요전쟁 때 거란군이 흥화진에서 개경까지 계속 고려군에게 요격당하며 피해가 누적되었기 때문에 막상 개경 근처 신은현에 도달했을 때 공세종말점에 도달, 300명의 기병 기습부대로 개경을 한번 찔러본 후 실패하자 회군한 것으로 보는 반면에, 이 다큐멘터리에서는 흥화진에서 개경까지 고려군에게 당한 거란군은 소배압이 내보낸 미끼부대였고, 주력군은 산길을 통해 고려군에게 포착당하지 않고 신은현까지 왔다고 해석하고 있어 논쟁의 여지가 있다. 또 제작 여건상의 문제였겠지만 고려군의 대 기병 저지 주력무기인 '검차(劍車)'가 나무 쪼가리로만 너무 허접하게 만들어져 등장한다거나, 강조가 현종에게 부월을 수여받을 때 현종에게 썩소를 짓는 등 지나치게 권신의 이미지로만 등장했고, 통주 전투에서 적을 얕보다 패했다는 설명과 참수된 머리만 보여줄 뿐 요성종의 회유를 거부하고 고려의 충신으로 장렬한 최후를 맞은 부분은 보여주지 않아 강조를 상당히 푸대접했다는 느낌도 든다.

그 외에 양규의 전공을 이순신과 비교한 것도 논란을 만들었는데, 소설 고려거란전쟁의 저자인 길승수 작가는 이순신에게는 배와 장비가 있었기 때문에 양규의 여건이 더 좋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물론 판옥선이 일본의 안택선이나 세키부네 같은 배들보다 우위에 있는 것은 사실이며 이순신은 명량 해전을 제외하면 전문가가 보았을 때는 이길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싸웠던 것이고 양규는 기록이 부족하여 자세히 알 수 없지만 냉병기가 활약하는 중세시대에 수적열세로 마지막 성종과의 회전을 제외하면 계속 게릴라전을 펼쳐 나갔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승패와 목숨부지가 가능할지 알 수 없는 상황들을 천운에 기대며 싸웠던 장수였기에 길승수 작가처럼 바라보는 관점도 충분히 존재할 수 있다. 사실 이 점에 현종이 굴복하지 않고, 독려를 했기에 양규가 더 불리했을 점에서도 이를 극복하고 나아갔다라고 서술했다면, 논란이 확대되지 않았을 부분이라 아쉬움이 있다.


4. 기타[편집]


다큐멘터리에서 쓰인 bgm을 자세히 들으면 Dinosaur Planet의 OST가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양규전에서 잘 들리는 편이며, 귀주 대첩 장면에서도 들을 수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22:54:19에 나무위키 평화전쟁 1019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여담으로 김명수는 천추태후에서 고려 6대 왕인 성종을 연기했고 해당 드라마가 고려 초기 1차, 2차 여요전쟁을 배경으로 극이 진행됐는데 다큐를 생각하면 참으로 절묘한 부분이다.[2] 배우가 얼굴과 체격이 넙대대한 마동석 비슷한 외모였다. [3] 거란족의 직계 후손으로 추정된 전례가 있는 다우르족다우르어로 나왔으면 더 좋았을 거라는 의견도 있지만, 몽골인 출연자들 또한 숙련된 연기자들이며 소수민족 중의 소수민족인 다우르족 중 연기자를 가려 뽑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기도 하다. 다우르어를 쓰더라도 중국의 실제 다우르족 배우들을 섭외하기보다 한국인 배우가 직접 다우르어로 연기하는 게 현실적으로 더 쉬운 일이었을 텐데, 이 경우에는 한국어 억양의 어눌한 다우르어가 되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4] 다큐멘터리 제작에 참여하였던 길승수 작가는 나무위키 현종 문서를 참조하였다고 블로그에 밝혔다. jtbc 귀주대첩-현종(顯宗, 왕순) [5] 훨씬 전에 일어난 고구려-수 전쟁고구려-당 전쟁이 한반도 내에서도 일어났지만 산지와 평원이 모두 존재하는 만주에서도 일어났으므로, 차라리 고구려-수 전쟁이나 고구려-당 전쟁을 다룬 사극이나 다큐멘터리의 일부 장면을 몽골 평원에서 촬영하는 게 더 나았다.[6] 위에 각주로 달린 길승수 작가 블로그 글에 보면 현종도 고구려 갑옷 소품을 입히려 했으나 문제가 생겨 어쩔 수 없이 송나라풍 갑옷을 입었다고 한다. 엄밀히 말하면 송나라풍 갑옷을 입은 건 틀렸다고 할 수 없다. 서긍의 고려도경이나 불교미술품을 참고하면 전부는 아니더라도 중앙군 상당수는 송나라식 투구와 송나라 갑옷과 유사한 형태의 찰갑을 착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오히려 고려 후기부터 확인되는 경번갑이 고증 오류인데 길승수 작가가 밝힌 바에 의하면 시대상 맞지 않음은 알고 있었으나 고려시대 갑옷 하면 경번갑이라는 인식이 강해 일부러 경번갑을 골랐다고 한다. 사실 이는 평화전쟁 1019만의 문제가 아닌 게, 천추태후, 무신 등 시대적 배경이 고려에 경번갑이 들어오기 전인 다른 고려시대 배경 사극들도 고려군의 갑옷이 경번갑 계통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았으며, 태조 왕건의 경우에는 아예 경번갑보다도 훨씬 나중인 조선 중기 이후에 본격적으로 보편화된(처음 도입된 것 자체는 경번갑과 비슷하게 고려 후기였지만) 두정갑이 나오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