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건물/과거 목록

최근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폐건물




  • 아래의 목록은 폐건물/목록에 있다가 준공되어 입주가 완료되거나 철거된 것들을 모은 것이다. 각 권역별로 광역자치단체→기초자치단체[1] 순으로 정리했다.

  • 여담으로, 각 자치단체마다 많이 있거나, 많이 없는 곳도 있는데, 물론, 폐건물/목록이나 해당 문서나 최근(2022년 5월)까지 반영되지 못한 것도 있으므로, 확인을 한 이후에 작성 혹은 수정을 해야 한다.

1. 수도권·강원권
1.1. 서울특별시
1.2. 인천광역시
1.3. 경기도
1.4. 강원도
2. 충청권
2.1. 대전광역시
2.2. 세종특별자치시
2.3. 충청북도
2.4. 충청남도
3. 호남권
3.1. 광주광역시
3.2. 전라북도
3.3. 전라남도
4. 영남권
4.1. 부산광역시
4.2. 울산광역시
4.3. 대구광역시
4.4. 경상남도
4.5. 경상북도
5. 제주특별자치도
5.1. 제주시
5.2. 서귀포시


1. 수도권·강원권[편집]



1.1. 서울특별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폐건물/과거 목록/서울특별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 인천광역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폐건물/과거 목록/인천광역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3. 경기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폐건물/과거 목록/경기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4. 강원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폐건물/과거 목록/강원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 충청권[편집]



2.1. 대전광역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폐건물/과거 목록/대전광역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세종특별자치시[편집]


  • e편한세상 세종(다음 로드뷰) - 조치원읍 섭골길 59 (신안리 542)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뒤쪽에 자리한 12개 동 규모의 아파트 단지. 2007년까지 40%의 공정을 보이다가 돌연 공사 중단, 분양 계약도 해지되었다. 세종시 특수를 노리고 건설되었으나, 낮은 분양률에 의해 다 지어져도 폐건물에 가까울 아파트 단지가 될 터였던지라 공사를 중단하였다. 참고로 2007년 청약 공급 세대수 983세대 중 청약신청을 받은 세대수는 94세대. 2011년 가을중 분양을 할지 말지 결정을 못 내린 상태여서 몇 년은 더 폐건물으로 남아 있을 것 같았으나, 2012년 3월 공사가 재개되어 2013년 2월 입주했다. 관련 기사 1, 관련 기사 2

  • 부강약수장(다음 로드뷰) - 부강면 부강외천로 104 (문곡리 1072-1)
    • 부강면 소재지에서 남청주IC 방향으로 1km쯤 떨어진 곳에 있었던 관광숙박시설. 이전부터 명암약수, 초정약수와 함께 충청북도의 3대 약수로 손꼽히던 부강약수를 기반으로 지상 2층 규모로 여관을 운영하다가 1965년 기존 건물 앞에 덧붙여 하천을 가로지르는 반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의 숙박업소인 약수장을 신축하였다. 피부병과 눈병에 효과가 있다 하여 약수의 명성이 절정에 달하던 70~80년대에는 건물 뒤쪽에 정자인 "약수정"과 보트를 타고 놀 수 있는 소규모 유원지를 운영할 정도로 번성하였으나, 1990년대 초 약수 수질검사 결과 기준치를 초과하는 철분이 검출되어 음용불가 판정을 받으면서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기자 약수장도 결국 문을 닫고 폐건물화 되고 말았다. 이후 약수장 영업당시 다방으로 쓰이던 반지하층에 옻닭집이 들어서면서 잠시 폐건물에서 벗어나는듯 했으나 이 역시 얼마 안가 폐업하면서 건물은 오랜 기간 방치되고 황폐화되어 주변 경관을 해친다는 민원이 제기될 정도가 되었다. 아직 부강이 청원군 관할이었던 2010년 청원군청에 의해 낡은 약수장 건물이 철거되고 약수터가 옛 모습으로 복원되었으나 과거에 '국일관 나이트'로 쓰이던 2층 건물은 지금도 그대로 남아있으며, 현재 집 주인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세종 구 산일제사공장(舊 한림제지)(다음 로드뷰) - 조치원읍 새내6길 20 (남리 60-1)
    • 조치원 천주교회 바로 옆, 주택가 한가운데에 을씨년스럽게 자리잡고 있는 폐공장. 본래 일제강점기인 1927년에 지어진 제사공장 건물이며, 6.25 때에는 여학교 임시교사로 사용되기도 했던 유서깊은 건물이다. '한림제지 터' 문단 참조 1974년부터 제지공장이 입주하여 약 30년간 가동하여 왔으나 경영 악화와 공해로 인한 잦은 민원 등으로 2000년대 중반쯤 소리소문없이 문을 닫아버린 후 공장부지 일부만이 고물상과 물류창고 등으로 쓰일 뿐 나머지는 현재까지 폐건물로 남아있다. 주민들은 하루빨리 이 곳을 재개발하기를 원하지만 수익성 등의 문제로 세종시에서도 손을 놓고 있는 듯. 2015년 9월에는 실종되었던 여대생이 이곳에서 변사체로 발견되어 충격을 주었다. 관련기사 1 관련기사 2 2016년 시민토론회에서 폐산업시설을 문화예술 공간으로 조성하자는 제안이 나와 세종시에서 현장을 시찰하였고# 그 해 말에 발표된 세종시의 문화 활성화 사업 확정안에 한림제지 부지의 핵심 문화거점 조성 사업이 포함되어 2017년 부지 매입을 마무리 짓고, 문화창작 공간을 조성하여 2018년 완료하였다. 2019년 6월에는 세종시 관내에서 최초로 로 지정되었다. 2022년 복합문화공간인 '조치원 1927 아트센터'로 리모델링되어 개관했다.#

2.3. 충청북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폐건물/과거 목록/충청북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4. 충청남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폐건물/과거 목록/충청남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호남권[편집]



3.1. 광주광역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폐건물/과거 목록/광주광역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 전라북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폐건물/과거 목록/전라북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3. 전라남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폐건물/과거 목록/전라남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영남권[편집]



4.1. 부산광역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폐건물/과거 목록/부산광역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 울산광역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폐건물/과거 목록/울산광역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3. 대구광역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폐건물/과거 목록/대구광역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4. 경상남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폐건물/과거 목록/경상남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5. 경상북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폐건물/과거 목록/경상북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제주특별자치도[편집]



5.1. 제주시[편집]


  • 효병원신축병원 (다음 로드뷰) - 제주시 이도1동 1689-2
    • 초등학교 옆에 병원이 지어질 뻔 했으나 언제부턴가 건축이 중단되었다. 2016년 무렵, 건물 외곽에 걸린 현수막에 의하면 법적 분쟁이 발생해 공사가 중단된 듯했다. 현재 오피스텔로 완공되었다.

  • 제주드림타워 (다음 로드뷰) - 제주시 노형동 925
    • 제주도에 어울리지 않는 지상 62층 쌍둥이 빌딩이 될 예정이었다. 호텔 짓는다고 1983년 공사를 시작했는데 땅만 파고 올스톱됐다. 그러다가 1993년 12월에 동화투자개발에 넘어갔다. 제주시에서 유동인구가 많은 노형로타리에 있어서 제주도민들의 인지도도 높은 편이었고, 건물이 올라가느냐 아니면 건설사가 망하느냐의 단두대 매치라는 드립을 치는 사람이 있을 정도. 실제로 2008년에 쌍둥이빌딩 건설계획이 발표되자 이번엔 롯데관광개발이 망할 차례[2]냐는 우스갯소리마저 있었다. 건설주체인 동화투자개발은 2014년까지 완공시키겠다고 발표했지만 2015년 6월까지도 땅만 판 상태 그대로였다.
    • 2016년 5월, 38층 169m로 규모를 줄이고 착공되어 2020년에 (가)개장했으므로 위 이야기는 과거의 이야기가 됐다.

  • 애월전분공장 카페(구 삼부산업사)(카카오맵 로드뷰) - 제주시 애월읍 중엄3길 62(신엄리 929)
    • 1992년 건립되어 가동을 시작한 전분 제조공장 건물인데 2005년 폐수 무단방류로 적발된 후 2010년을 전후해 문을 닫았다. 이후 건물이 경매에 부쳐졌고, 2012년경 모 기업체가 낙찰받아 관광호텔 조성 사업을 추진하였으나 잘 안 되어 결국 일부만 철거된 채 방치되어 왔다. 이후 2020년 한 개인 사업자가 임대, 전분공장의 낡은 분위기를 최대한 살리고 리모델링하여 카페 겸 펍(선술집)을 열었다. 후면에는 그래피티가 가득하다.


5.2. 서귀포시[편집]


  • 걸매생태공원(구, 선일포도당 제주공장)(카카오맵 로드뷰) - 서귀포시 서홍동 477-1
    • 1968년 선일흥업(현, 삼양사)과 농어촌개발공사(현, 농수산물유통공사)의 합작으로 천지연폭포 상류의 넓은 땅에 당시 제주도 일대에서 많이 재배되던 고구마를 주원료로 하는 전분을 분해하여 포도당을 만드는 공장을 세웠다. 그러나 얼마 안 되어 원료 수급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공장 가동조차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주변 환경만 오염시키다가 1975년 선일포도당이 생산 시설을 인천으로 이전하면서 빈 건물만 20년 이상 방치되어 왔다. 주변 경관을 해치는 문제가 지적되면서 서귀포시는 부지를 근린공원으로 용도변경하려 하였으나 소유주인 삼양제넥스 측이 공장 부지를 용도변경하지 않으면 자진 철거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일단 기다린 후 삼양제넥스로부터 부지를 매입하여 2000년대 초 걸매생태공원을 조성하였다.

  • 서귀동 폐건물 - 제주 서귀포시 서귀동 14 (칠십리로 120-12)
    • 1995년 노인요양시설을 목표로 착공한 곳이지만, 시공자의 자금난으로 인하여 무산된 채, 장장 18년 동안 자구리 해변의 흉물이자 꼴볼견 역할을 제대로 하였다. 2014년에 철거된 이후, 시민들이 휴양할 수 있는 공원과 근린시설이 조성되었다.

  • 색달동 폐건물 (네이버 거리뷰)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색달동 2950-4
    • 2008년까지 존재했던 폐건물. 언제 철거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2009년 카카오맵 위성사진을 보면 철거되어 있는 것을 보면 2008~2009년 사이에 철거된 것으로 보인다. 이 폐건물은 퍼시픽랜드에서 궁전 테마로 만든 것으로 추측이 되나 무슨 건물인지는 알 수 없는 상태이다. 건물이 있던 땅은 위성 사진으로 보면 옆에 아스팔트와 다르게 흰색 부분으로 된 곳에 있었다.


[1] 세종은 제외, 순서는 행정안전부 행정코드.[2] 동화투자개발은 롯데관광개발의 계열사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폐건물 문서의 r20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23:05:27에 나무위키 폐건물/과거 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