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레슬링 기술에서 넘어왔습니다.
프로레슬링/기술
(♥ 0)
상위 문서: 프로레슬링
개별적 항목 발생 시 서술된 내용을 지우고 링크를 걸어주길 바람. 알파벳 순으로 정렬. 당연한 소리지만 아래 항목에 있는 기술들은 장난으로라도 절대 따라해선 안 된다.
기본적으로 사용되지만 분류가 애매한 항목과 기술의 앞이나 뒤에 붙어서 수식어 역할을 하는 자세나 동작을 본 항목으로 분류.
프로레슬링/기술/자세 참고.
근접전에서 활용되는 공격 기술들로 손,팔,발,몸 등을 이용해서 상대방을 피격하는 기술들을 말한다. 근접 타격기를 포함, 쓰러져있거나 로프나 코너에 기대어져 있는 상대에게 사용되어 지는 기술들 까지 포함 된다.
프로레슬링/기술/타격기 참고.
서브미션은 크게 Lock(관절기)과 Choke(조르기)로 나뉘며 관절기는 관절을 가동범위 이상으로 꺾어 상대방에게 고통을 주는 기술을 의미하며 조르기는 경동맥을 압박하여 뇌로가는 혈류를 막아 상대를 기절시키는 기술을 의미한다. 프로레슬링에서는 타 기술로 응용하기 전 단계에 자세나 동작들(Hold) 을 의미 하기도 한다.
프로레슬링/기술/관절기 참고.
이곳에 분류된 많은 기술들은 유도의 메치기에서 파생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1] 본 항목에 수직낙하기도 포함한다.
프로레슬링/기술/메치기 참고.
탑로프 또는 2단로프에서 상대방을 향해 몸을 던저서 공격하는 기술들을 분류. [2]
프로레슬링/기술/공중기술 참고.
2인 이상 협동하여 상대방을 피격하는 기술들을 분류.
프로레슬링/기술/협동기술 참고.
항목명은 반칙이지만 실격패를 당하는 기술이나, 행위들을 분류한다.[3][4]
프로레슬링/기술/반칙 참고.
프로레슬링 경기에서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경기는 상대방에게 핀폴을 따내는 것으로 승리할 수 있다.
이러한 핀을 따내는 방법에도 여러가지 형태가 있다.
프로레슬링/기술/핀 참고.
1. 개요[편집]
개별적 항목 발생 시 서술된 내용을 지우고 링크를 걸어주길 바람. 알파벳 순으로 정렬. 당연한 소리지만 아래 항목에 있는 기술들은 장난으로라도 절대 따라해선 안 된다.
2. 자세 (Basic Move)[편집]
기본적으로 사용되지만 분류가 애매한 항목과 기술의 앞이나 뒤에 붙어서 수식어 역할을 하는 자세나 동작을 본 항목으로 분류.
프로레슬링/기술/자세 참고.
3. 타격기 (Striking&Attacking)[편집]
근접전에서 활용되는 공격 기술들로 손,팔,발,몸 등을 이용해서 상대방을 피격하는 기술들을 말한다. 근접 타격기를 포함, 쓰러져있거나 로프나 코너에 기대어져 있는 상대에게 사용되어 지는 기술들 까지 포함 된다.
프로레슬링/기술/타격기 참고.
4. 관절기 (Submission Hold)[편집]
서브미션은 크게 Lock(관절기)과 Choke(조르기)로 나뉘며 관절기는 관절을 가동범위 이상으로 꺾어 상대방에게 고통을 주는 기술을 의미하며 조르기는 경동맥을 압박하여 뇌로가는 혈류를 막아 상대를 기절시키는 기술을 의미한다. 프로레슬링에서는 타 기술로 응용하기 전 단계에 자세나 동작들(Hold) 을 의미 하기도 한다.
프로레슬링/기술/관절기 참고.
5. 메치기 (Slam)[편집]
- 유사 문서: 수직낙하기
이곳에 분류된 많은 기술들은 유도의 메치기에서 파생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1] 본 항목에 수직낙하기도 포함한다.
프로레슬링/기술/메치기 참고.
6. 공중기술 (Aerial)[편집]
탑로프 또는 2단로프에서 상대방을 향해 몸을 던저서 공격하는 기술들을 분류. [2]
프로레슬링/기술/공중기술 참고.
7. 협동기술 (Team Move)[편집]
2인 이상 협동하여 상대방을 피격하는 기술들을 분류.
프로레슬링/기술/협동기술 참고.
8. 반칙 (Disqualify)[편집]
항목명은 반칙이지만 실격패를 당하는 기술이나, 행위들을 분류한다.[3][4]
프로레슬링/기술/반칙 참고.
9. 핀 (Pin)[편집]
프로레슬링 경기에서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경기는 상대방에게 핀폴을 따내는 것으로 승리할 수 있다.
이러한 핀을 따내는 방법에도 여러가지 형태가 있다.
프로레슬링/기술/핀 참고.
[1] 그래서 처음에 던지기라고 명명했지만 메치기라는 용어로 변경하였다.[2] 본 항목에서는 몸이나 팔 다리등을 상대방에게 날라서 직접 타격하는 공격을 위주로 분류. 예를들어 허리케인라나와 같은 공중기이나 메치기류의 공격은 애매하지만 웬만하면 메치기쪽으로 분류하기 바람.[3] 대체로 약물 복용을 제외하고는 No DQ 매치나 하드코어 매치 등 반칙이 허용되는 경기에서는 통상기 수준으로 사용된다.[4] 5카운트를 심판이 셀 동안 해당 반칙을 중지하지 않으면 실격패한다. 혹은 심판의 재량으로 실격패를 줄 수 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10-05 06:03:52에 나무위키 프로레슬링/기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