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사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프로필 사진에 대한 내용은 프로필 사진 문서
프로필 사진번 문단을
프로필 사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2. 유형
2.1. 기본
2.2. 인물
2.2.1. 본인 및 지인
2.2.2. 타인
2.2.2.1. 공인 사진
2.2.2.2. 일반인 사진
2.3. 동식물
2.4. 풍경/삽화
2.5. 과시
2.6. 기타
3. 여담



1. 개요[편집]


로필 진 / Profile Picture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한정 본인을 대표하고 상징하는 사진. 인터넷 버전 프로필 사진으로 이해하면 좋다.

인터넷이 등장했을 땐 데이터 문제 등으로 텍스트의 전달만이 가능했지만 광케이블 등이 등장하면서 비약적으로 정보의 이동량이 많아진다. 그러면서 여러 인터넷 커뮤니티가 발달하고 멀티미디어 자료 역시 이용이 용이해진다. 그러면서 SNS가 발달하고 커뮤니티 사이트 역시 발전한다. 발전과 동시에 예전엔 단순히 아이디별명만이 나왔던 것에 비해 프로필에서 사진 또는 그림을 드러내는 것도 가능해졌다. 그러면서 프로필은 인터넷상에서 개인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는 곳이 되었다.


2. 유형[편집]



2.1. 기본[편집]




카카오톡[1]
인스타그램


페이스북[2]
X

프사를 별도로 설정하지 않거나, 의도적으로 기존 프사를 삭제했을 때 나타나며 대개 사람의 상체 실루엣 형상으로 되어 있다.

기본 프사를 설정하게 되는 요인은 대부분 3가지 중 하나인데, SNS 상에서 본인에 대해 그다지 표출하고 싶지 않거나, 결별 등 불가피한 이유로 기본 프사를 삭제하거나, SNS 자체에 관심이 없어 사실상 가입만 해 놓은 유령 계정인 경우이다.


2.2. 인물[편집]



파일:내 사진형.png


파일:추억 사진형.png


파일:가족 사진형.png


파일:연예인 사진형.png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구분 없이 기본 프사 제외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유형이다.


2.2.1. 본인 및 지인[편집]


본인의 사진을 프사로 삼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자기 외모에 자신이 있는 사람들이 자기 사진을 프사로 쓰고, 본인의 유년 시절 사진을 쓰기도 한다. 외모에 자신이 있더라도 프사가 부적절한 합성 및 다른 범죄 등에 악용될 위험에 대한 걱정을 하는 사람은 자신이 찍힌 사진을 프사로 쓰지 않는다.

특히 여학생들이 셀카를 많이 쓰고, 남학생들은 셀카보단 친구들과의 사진이나 학급 단체사진 같은 걸 쓰기도 한다.

연애 시에는 애인 사진이나 커플 사진을 사용할 때가 많다.

30대 이상의 기혼자들은 자신의 가족사진이나 자식 사진을 쓰는 경우가 대다수다.

본인 셀카를 프사로 하는 사람은 외모에 대한 자신감 내지 자기애가 높고, 본인 셀카를 프사로 하지 않는 사람은 이와 반대로 외모에 대한 자신감이 낮다는 해석도 있다. 그러나 모든 사람에게 성급히 일반화를 적용하여 프사로 잘 알지 못하는 사람에 대해 선입견을 갖는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타인의 시선에 부끄러움을 잘 타는 내성적인 사람들은 프사에 셀카를 사용하지 않기도 한다. 대신 이들은 셀카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자신을 나타낸다. 만화 캐릭터나 짤이 자신의 특징을 반영한다고 생각하면 이를 사용하기도 한다. 즉, 캐릭터를 자신으로 의인화 하는 개성있고, 유머러스하고, 암시적인 방법이다.


2.2.2. 타인[편집]



2.2.2.1. 공인 사진[편집]

타인의 사진을 자신의 프사로 쓰는 경우가 종종 보인다. 보통 사진사용 법적 문제가 적은 편이고 쉽게 구할 수 있는 연예인이나 운동선수의 사진을 많이 쓰는 편이다. 이 정도면 사실 생각보다 괜찮은 유형이다. 누가 봐도 좋아하거나 닮고 싶은 연예인(롤모델)을 프사로 설정해두는 것에서 딱히 이렇다할 오해를 사진 않는다. 특히 연예인 사진 같은 경우에는 별도로 허락 받지 않아도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많이들 애용하는 편.

간혹 정치인이나 기업인을 쓰는 경우도 있다. 심지어는 외국인을 프사로 쓰는 사람들도 있다.(외국 정치인, 외국 기업인 등) 또한 이들의 프사들은 고인드립이나 지역드립적인 경우도 많다.[3] 기혼자들의 경우 자신들의 아기들 사진도 많이 쓰는 편이다. 그러나 좋아하는 정도가 심해지면 프로필 배경까지 좋아하는 인물로 도배를 하기도 한다.

보통 연예인 프사나 운동선수 프사[4]로 해놓으면 대개 찐따 취급 당한다.[5] 인터넷에 찐따 프사라고 치면 애니 프사와 함께 빠지지 않는 프사들이니 아무리 팬이라도 웬만하면 피하자.[6]


2.2.2.2. 일반인 사진[편집]

연예인이나 운동선수 계열 외의 타인의 프사는 경우에 따라 '사칭'에 해당되어 법적인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이 항목에 해당되면 그 외의 인물의 사진을 뜻하는 희얼사 문서로. 당사자가 사진을 공개했다고 해서 반드시 2차 사용까지 허락하는 것은 아니다. 자신 주위 사람의 사진을 프사로 쓰는 사람이라면 그나마 다행이지만,[7] 문제는 사칭계정을 제작 및 도용을 목적으로 타인의 사진을 허락도 없이 무단으로 쓰는 사람들이다. 자신의 외모에 자신이 없거나, 그냥 넷상에서 얼짱이 되고 싶은게 보통의 이유. 이 경우 구글 검색으로 쉽게 찾을 수 있는 소위 얼짱 사진을 자신의 프로필로 삼고 그 사람인 척 연기하며 페북 스타가 되기도 한다. 특히 광고토토를 하는 계정들이 이쁘장하게 생긴 여성[8]의 사진을 당사자의 허락 없이 함부로 도용하고 다닌다. 그리고 타인의 사진을 허가받지 않은 상태에서 무단으로 촬영하여 프사로 사용한 사례도 있었다.[9] 사칭과 도용은 엄연한 범죄행위이며 법적 처벌이 가해지므로 절대로 해서는 안된다.

다만 연예인이나 운동선수 계열 외의 인물은 사진 2차 사용을 문제삼는 경우가 많아서, 본인의 사진을 절대로 올리기 힘들고 정 다른 사람의 사진을 쓰고 싶다면 그나마 모두가 알아볼 수 있는 연예인이나 운동선수 프사가 권장된다.


2.3. 동식물[편집]


동물(주로 고양이, ), 식물, 등. 특히 동물/식물을 프사로 쓰는 사람도 상당히 많다. 반려동물의 경우 남녀노소 가리지 않지만, 반려식물은 대개 연배가 있는 사람들이라는 인식. 특히 들꽃 등의 꽃 사진의 경우 중년 이상의 여성인 경우가 상당히 많다.


2.4. 풍경/삽화[편집]


풍경 사진, 혹은 화가가 그린 그림, 아니면 애니메이션이나 만화 캐릭터를 쓰는 경우이다. 이름하여 애니프사. 가끔 본인이 좋아하는 비디오 게임 캐릭터도 보인다.[10] 아니면 자신이 직접 그린 그림이나 자신의 페르소나 캐릭터를 커미션으로 맡긴 그림으로 설정하기도 한다. 트위치 듀라한 스트리머가 흔한 예시다.

간혹 자신의 성적인 성향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쓰인다. 가령 무지개 프사라던지. 하지만 '무지개가 예뻐서' 등의 이유로 무심코 걸어놓는 경우도 있기에 섣불리 판단해서 오해가 생기지 않게 주의.

또는 정치적 성향을 표현하기 위해서 정치적 상징을 쓰기도 한다. 정당 또는 단체의 로고라던가 낫과 망치 프사라던가.

오타쿠의 경우 만화나 애니의 짤방을 쓰는 경우가 적지 않다. 자신이 좋아하는 애니메이션의 명장면이나 좋아하는 캐릭터 같은 걸 걸어놓는 식. 혹은 그림에 어느 정도 일가견이 있는 사람들은 직접 본인의 캐리커처나 자신만의 캐릭터를 그려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그림을 잘 그리는 지인에게 그림을 받아서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보인다.

간혹 가다 YouTube 등지에서는 아헤가오(...)나 야짤을 프로필 사진으로 달아놓는 사람도 간간히 발견되기도 한다.

기본 프사에 그림을 그려서 쓰기도 한다. 특히 코로나 시국엔 사람 실루엣 기본 프사에 마스크를 쓴 프사도 인기 있었다.


2.4.1. 애니메이션 캐릭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애니프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5. 과시[편집]


자존감이 떨어졌을 때 프사를 내린다면, 이와 반대 경우인 자신감이 고양되었을 때 프사를 통해 이를 표현하고자 하는 심리도 이에 해당한다. 예컨대, 자랑할 만한 업적을 달성하거나(각종 상패나 명문대 졸업장, 장교 전역증, 공무원증[11]/대기업 사원증/전문직 자격증, 본인 소유의 고급 아파트나 고급 자동차 등) 혹은 자기 외모에 자신감이 있는 사람은 한껏 꾸민 셀카 등이다.

새로 산 물건이나 개인적으로 소중히 여기는 것, 취미활동을 올리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 특히 집덕이나 차덕이나 철덕 등의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이나 자동차열차 사진을 프사로 걸어 놓기도 한다.

연애를 하는 과정에서 커플들이 여행에 가서 찍은 풍경이나 길거리 사진, 건물 사진 등도 꽤나 흔하다. 캠퍼스가 거대하고 멋지거나 예쁘기로 소문난 대학교들[12]의 신입생들은 십중팔구 대학 건물을 잠시나마 프사로 설정하곤 한다.

소속 집단의 로고를 걸어 놓는 것도 드물지 않은 유형 중 하나. 광고 목적으로 만든 아이디가 아니더라도, 조직의 주요 직책이거나 사용자 본인이 해당 조직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경우가 그렇다. 회사가 되었건 학교가 되었건 마찬가지이다.


2.6. 기타[편집]


걸어 놓을 만한 이미지는 없는데 기본 이미지는 쓰기 싫은지 이미지 전체를 단색(ex. 검은색)으로 새카맣게 칠하는 사람도 있으며, 그 반대도 있다. 심지어는 투명 프사를 걸어놓고 닉네임은 공백 문자로 설정하기까지 한다.

아예 단어나 글 문장을 프사를 정하는 사람도 있다. 보통 자신이 좋아하는 위인의 명언이나 본인의 좌우명, 현재 이루고자 하는 목표 등을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해서 이미지로 만들어 등록한다. 짧으면서도 웃긴 문장을 프사로 정해서 자신의 프로필을 보는 사람을 웃기고자 하는 경우도 있는 등 다양하다.


3. 여담[편집]



  • 태국에서 국왕 프사를 함부로 이용할 경우 징역형에 처해진다. 외국인도 얄짤없다. 천황을 신성시하며 신으로 숭배하기로 유명한 일본보다도 더 엄격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프로필 사진 문서의 r14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프로필 사진 문서의 r14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14:14:09에 나무위키 프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기본 프로필 설정 시, 위 3가지의 색깔 중 하나로 랜덤 설정된다.[2] 성별을 여성으로 설정했을 때만 나타난다. 남성의 경우 왁스칠한 숏컷 헤어의 흉상 실루엣이 나타난다.[3] 유튜브에 MC무현 채널에 가봐도 댓글창에 노무현 합성짤이 많이 보인다.[4] 보통 축구선수.[5] 스트리머 배경사진에 축구선수 프사를 해놓은 사례도 있다.[6] 남자의 경우엔 특히 여자 아이돌, 축구선수는 프사로 해놓기만 해도 이성들이 꺼린다. 여자는 보통 남자 아이돌 프사에 장식들을 많이 할 경우 욕을 먹는 경우가 많이 있다.[7] 이마저도 당사자에게 허락받는 것을 추천한다.[8] 소송 걸릴 위험이 낮으며 한국인과 외형이 비슷한 중국/일본 여성이 주요 타깃이 된다.[9] 초상권침해에 해당된다.[10] 와우저라면 본인의 인게임 자캐 얼굴사진을 올려놓는 경우도 있다.[11] 5급 공무원부터는 대통령 명의로 된 임명장까지도 나온다.[12] 주로 명문대인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