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랍토르

덤프버전 :

피로랍토르
Pyroraptor


파일:pyrobone.png

학명
Pyroraptor olympius
Allain & Taquet, 2000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용반목Saurischia
아목
수각아목Theropoda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Dromaeosauridae

†피로랍토르속Pyroraptor
[[생물 분류 단계#종|{{{#000 }}}]]
* †피로랍토르 올림피우스(P. olympius)모식종
Allain & Taquet, 2000

파일:피로랍토르.png
복원도

1. 개요
2. 발견과 연구사
3. 등장 매체



1. 개요[편집]


피로랍토르는 중생대 백악기 후기에 유럽에 서식한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에 속하는 공룡이다. 속명은 '불의 약탈자'라는 뜻인데, 산불이 휩쓸고 간 자리에서 화석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영어식 발음을 따라 속명을 파이로랍토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라틴어 독음법을 적용한 올바른 표기법은 피로랍토르다.


2. 발견과 연구사[편집]


1992년에 프랑스 동남부 프로방스 주의 올랭프(Olympe) 산에서 발견된 모식표본 및 스페인에서 발견된 이 공룡의 것으로 추정되는 화석들이 피로랍토르의 존재를 알려주는 증거들이다. 꼬리뼈 한 조각과 흉추 한 조각, 이빨 몇 개 등의 극소수 골격만이 발견될 정도로 보존률이 매우 좋지 않았지만 6cm 남짓한 크기의 갈고리 모양 뒷발톱 덕분에 최소한 이 녀석이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공룡이라는 사실은 밝혀졌다. 이보다 앞서 발견된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공룡인 바리랍토르(Variraptor) 역시 파편적인 수준의 화석만으로 알려졌기 때문에 이 두 공룡이 같은 종이 아니냐는 의혹이 한동안 지속되었으나, 척골의 형태가 서로 다른 것으로 판명된 것 외에도 둘 다 화석이 부족해 동일한 종인지에 대한 판단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진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2012년 연구에서는 해당 공룡이 모호명으로 간주될 지도 모른다고 언급하였다.[1]

전술했듯이 화석 자료가 심하게 부분적이다보니 피로랍토르의 정확한 크기나 생김새는 여전히 많은 부분이 베일에 싸여있지만, 적어도 다른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공룡들처럼 전신에 깃털을 달고 있었을 것이다. 뒷발톱과 척골의 크기로 보아 그리 큰 덩치는 아니었는데, 이는 당시 수많은 섬으로 이루어진 유럽 지역에 살았던 많은 종들에게서 발견되는 섬 왜소화의 일환일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자신보다 작은 소형 공룡이나 포유류 등을 잡아먹으면서 살았을 것이다.

파일:PyroScaleSilhouetWiki.png
파일:PyrorScaleSilhoUnenl3Wiki.png
2022년 연구 기반 그림 비교
2019년에 피로랍토르가 우넨라기아아과(Unenlagiinae)에 속할지도 모른다는 주장[2]이 처음 펼쳐진 이후 2022년에 동일한 주장을 담은 논문이 발표되었다. 해당 논문은 유럽에서 새로 발견된 벡티랍토르(Vectiraptor)와 피로랍토르의 화석을 비교해본 결과, 피로랍토르와 그 외에 유럽에 사는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공룡들은 에우드로마이오사우리아(Eudromaeosauria)와는 골격 구조가 상당히 다르며 오히려 남반구의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우넨라기아아과의 공룡들의 것과 더 닮았다고 한다.[3][4] 같은 해에 또다른 연구도 발톱을 비교한 결과 우넨라기아아과에 가깝다는 결론을 내렸다.[5]

2021년 연구에 의하면 우넨라기아아과의 고유적인 특징인 뭉특한 이빨이 피로랍토르에게는 전무하기에 해당 공룡이 우넨라기아아과로 분류되기에는 아직 시기상조라고 한다.[6] 다만 2022년 연구에서 피로랍토르가 뭉특한 이빨이 단순히 우넨라기아아과의 공통적인 특징이라고만 볼 수는 없다고 주장하였다.[7] 일단 우넨라기아아과의 가능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지만, 화석 표본이 더 발견되어야 정확한 분류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3. 등장 매체[편집]


등장 매체가 그렇게 많지는 않으나, 의 약탈자란 학명 덕에 주로 붉은색이나 주황색 계열의 색상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파일:도미니언피로랍토르임시.jpg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15:59:12에 나무위키 피로랍토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Turner, Alan H.; Makovicky, Peter J.; Norell, Mark A. (2012-08-17). "A Review of Dromaeosaurid Systematics and Paravian Phylogeny".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371: 1–206. doi:10.1206/748.1. ISSN 0003-0090. S2CID 83572446.[2] Hartman, S.; Mortimer, M.; Wahl, W. R.; Lomax, D. R.; Lippincott, J.; Lovelace, D. M. (2019). "A new paravian dinosaur from the Late Jurassic of North America supports a late acquisition of avian flight". PeerJ. 7: e7247. doi:10.7717/peerj.7247. PMC 6626525. PMID 31333906.[3] 그런 학설을 반영한 복원도도 있다.[4] Longrich, Nicholas R.; Martill, David M.; Jacobs, Megan L. (2022-06-01). "A new dromaeosaurid dinosaur from the Wessex Formation (Lower Cretaceous, Barremian) of the Isle of Wight, and implications for European palaeobiogeography". Cretaceous Research. 134: 105123. doi:10.1016/j.cretres.2021.105123. ISSN 0195-6671. S2CID 245324247.[5] Santos Brilhante, Natan; de França, Tainá Constância; Castro, Fabiano; Sanches da Costa, Leandro; Currie, Philip J.; Kugland de Azevedo, Sergio Alex; Delcourt, Rafael (2022-03-08). "A dromaeosaurid-like claw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southern France". Historical Biology: 1–10. doi:10.1080/08912963.2021.2007243. ISSN 0891-2963. S2CID 247378741.[6] Brum, Arthur S.; Pêgas, Rodrigo V.; Bandeira, Kamila L. N.; Souza, Lucy G.; Campos, Diogenes A.; Kellner, Alexander W. A. (2021-08-05). "A new unenlagiine (Theropoda, Dromaeosauridae)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Brazil". Papers in Palaeontology. 7 (4): 2075–2099. doi:10.1002/spp2.1375. ISSN 2056-2799. S2CID 238854675.[7] Isasmendi, Erik; Torices, Angelica; Canudo, José Ignacio; Currie, Philip J.; Pereda‐Suberbiola, Xabier (2022). "Upper Cretaceous European theropod palaeobiodiversity, palaeobiogeography and the intra‐Maastrichtian faunal turnover: new contributions from the Iberian fossil site of Laño". Papers in Palaeontology. 8 (1). doi:10.1002/spp2.1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