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리(악기)

덤프버전 :

관악기

[ 펼치기 · 접기 ]





1. 소개
1.1. 향피리
1.2. 세피리
1.3. 당피리
2. 역사
3. 연주법
4. 피리의 가격
5. 피리의 개량
6. 악곡
7. 비슷한 악기
8. 여담


1. 소개[편집]


한국의 전통 관악기. 한문으로는 필률(, )[1]이라고 하며, 한자로는 (피리 약), (피리 적) 등이 있다.

겹서(겹혀, Double reed)를 가진 악기로, 대나무 가지로 만든 짧고 가는 관대에 역시 대나무를 깎아 만든 혀를 꽂아서 분다. 크기가 상당히 작아서 서를 분리하면 천으로 만든 필통에는 조금 무리하면 들어가기도 한다.

이렇게 크기가 작은 데 비해 내는 소리는 무척 크고 아름답다. 실제로 국악에 대해 잘 모르는(국악을 많이 들어보지 못한) 사람들이 유초신지곡이나 수연장지곡 등 향피리가 편성되는 관현악을 들으면 거의 피리 소리밖에 안 들린다고 할 정도.[2] 이렇게 소리가 큰 덕에 관현악에서 리더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합주 연습을 할 때 피리 주자가 빠졌다가 중간에 오면 다른 주자들은 한숨 놓는 경우도.

소리가 큰 만큼 불기가 만만치 않다. 서를 물컵에 넣어 불린 다음에[3] 입술로 혀를 꽉 누르고 세게 부는데, 이때 힘이 많이 들어가 양 볼이 한 쪽에 만두가 하나씩 들어 있는 것처럼 부푼다. 또 그만큼 입술에 무리가 가서 숙달되지 않은 사람은 3분만 불어도 입술에 힘이 빠져서 불기가 어렵다.

같은 음을 짚어도 소리가 오락가락 하기로도 유명하다. 그래서 조율하기가 쉽지 않은데, 어느 정도냐 하면 관대를 빼고 서만 입에 물고 곡 하나를 연주할 수 있을 정도. 그래서 조율하기도 까다롭다.[4] 합주할 때 피리 음정이 점차점차 올라가서 불협화음을 만드는 경우도 있고,[5] 심지어 피리 독주는 음정이 맞는 독주를 찾아보기 힘들다. 그래도 정 음정이 맞지 않다 싶으면 커터칼이나 동전 등으로 서를 깎아서 음정을 맞추는 경우도 있다. 아니면 관대의 문제[6]. 이 점에서는 양악기의 오보에랑 비슷하다.

종류로 향피리, 세피리, 당피리의 세 종류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피리'라고 하면 향피리를 말한다.

1.1. 향피리[편집]


파일:향피리.jpg

향피리는 말 그대로 향악에 편성되는데, 요즘 연주하는 음악이 대부분 향악화된 관계로 가장 많이 쓰이는 쪽이다. 유초신지곡, 표정만방지곡, 취타 등 대부분의 관현악과 관악합주에 사용된다. 관악합주를 이르는 '사관풍류'에서 말하는 '사관'은 원래 현악과 관악을 말하는 絲管이 아니라 향관(鄕管), 즉 이 향피리를 가리킨다. 향나무 → 상나무로 변하는 서북 방언 탓이다.

향피리에도 종류가 있는데, 궁중음악을 연주하는 정악관, 산조를 연주하는 산조관, 민요를 연주하는 민요관, 창작음악을 연주하는 신곡관등 다양한 종류의 향피리가 존재한다. 창작국악이나 국악관현악에서 연주 하는 향피리는 신곡관(Bb조, Eb조, Ab조 모두 연주가능)으로 음역은 평취로는 Bb4에서 F6~G6까지 난다. 하지만 향피리에 옥타브키를 달아서 음역대를 확장시키고는 하는데 많이 연주되지는 않지만 최대 F7까지 역취로 낼 수 있다.


1.2. 세피리[편집]


파일:세피리.jpg

세피리는 가늘 細(세)자를 써서 세피리라고 불린다. 향피리를 더 가늘게 만든 것으로, 음량이 작다. 원래 세피리는 완전히 막은상태에서는 Ab4 음을 냈지만 현재는 조금 개량되어서 Bb4음이 난다. 이쪽은 천년만세중광지곡 등 주로 피리가 튀면 곤란한 현악 합주나 시조가곡 반주에 쓰인다.

피리 중 가장 어려운 악기로 꼽히는데, 악기의 크기가 작아 자연스럽게 악기로 들어가는 숨도 적어져 불다 보면 숨이 매우 찬다[7]. 그렇기 때문에 세피리 독주를 들어보면 대부분 쭉 뻗는 부분에서 음이 떨린다. 음 떨림을 잘 잡고 연주하는 것이 세피리 연주의 관건.

1.3. 당피리[편집]


파일:당피리.jpg

당피리는 보허자낙양춘 같은 당악계 음악을 연주할 때 쓰는 피리로, 당악음계(C조리코더)에 맞추어져 있는 피리이다.
신기하게 당피리로는 정악곡에서 역취(비청)음을 연주한다. 음역은 평취로는 C5에서 D6이고 역취로는 Bb6까지 연주한다.
지공(指孔)이 9개이고,『세종실록』의 그림에도 지공이 9개인데, 그 중 2개는 뒤에 있다. 그러나 『악학궤범』에 의하면 상(上, 즉 仲呂/중려)과 구(句, 즉 蕤賓/유빈)의 음은 모두 한 구멍에서 낼 수 있기 때문에 9구멍을 8구멍으로 고쳤다. 그 뒤로 오늘날까지 당피리의 구멍은 향피리와 같이 8개이다.
특이한 점으로는 뒷부분 지공이 관대에서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향피리, 세피리와는 다르게 당피리는 뒷부분 지공이 앞쪽 첫번째 지공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2. 역사[편집]


피리는 원래 서역의 악기였는데, 이것이 중국을 통해 고구려로 들어오며 한국의 전통 악기로 거듭나게 되었다. 그 당시 중국에는 대필률(大篳篥)·소필률·수필률(竪篳篥)·도피(복숭아나무 껍질)필률(桃皮篳篥)·쌍필률(雙篳篥)[8] 등이 있었는데, 당시 고구려에서는 이 중 대필률, 소필률, 도피필률이 사용되었다[9].
이것이 남북국 시대, 고려 시대를 거쳐 와 점차 향악기화 되며 조선 시대때는 향피리, 세피리 등의 악기가 출현하게 되었다[10]. 현대에 들어서는 창작곡 및 서양 음악을 연주하기 위한 창작곡 연주용 피리, 산조 연주를 위한 산조 피리, 대풍류 연주를 위한 대풍류 피리[11], 북한의 전통 악기 개량 사업으로 만들어진 대피리, 저피리 등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중이다.


3. 연주법[편집]


리코더, 태평소처럼 후 불면 불어질 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생각보다 입에 훨씬 더 힘이 많이 들어간다.
아랫 입술에 서의 끝부분을 올려놓고 윗 입술로 자연스럽게 감싸듯 무는 것이 정석적인 취법이라고 여겨진다.
이렇게 악기를 물고 연주를 오래 하다 보면 입술이 얼얼하고 볼이 아파오며 입술이 경련하듯 떨리게 되는데, 이를 무시하고 계속 연주하면 입술에 힘이 빠져 자연스럽게 입에서 서를 놓치게 된다. 전공자들은 이 현상을 보통 "입이 풀렸다" 라고 한다. 지속적인 연습을 통해 연주를 시작하고 입이 풀리기까지의 시간을 대폭 늘릴 수 있다[12].
가끔 입이 아니라 코로 바람이 빠져 "커커컥" 소리를 내며 연주를 계속할 수 없는 경우도 생기는데, 이를 "코가 풀렸다" 라고 한다. 코가 풀리는 원인은 아직까지도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지만[13], 대부분 서, 관대 등 악기를 바꾸거나 취법, 자세를 바꾸면 해결된다[14].

비청이라고 불리는 연주법도 존재하는데, 보통 당피리 악곡 혹은 창작곡을 연주할 때 잦은 빈도로 출현한다. 입술을 좀 더 금속 선 쪽으로 밀어넣고 입술 힘을 입술에서 피리가 빠지지 않을 정도로만 빼면 입술이 진동하는 듯 하면서 "삐익" 소리가 날 것이다. 만약 귀가 아플 정도의 비정상적으로 높은 고음이 난다면 서가 너무 건조하거나 물었을 때 잘못 문것이다.
뒷 지공을 리코더 불듯 반만 막고 불면 더 잘 된다.

산조, 대풍류 등의 민속악을 연주할 때 매우 자주 사용되는 "혀치기" 라는 주법도 존재하는데, 고음을 낼 때 입 안에서 혀를 올리면 뭔가 걸리는 느낌이 들면서 음이 올라가는데 이것을 혀치기라고 한다. 상당히 어려운 주법이고, 구강 구조 등 운도 어느정도 따라 줘야 하기에 평생 피리만 연주한 명인들 중에서도 이 주법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하지만 성공만 한다면 고음역에서 매우 깔끔한 연주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오직 피리로만 할 수 있는 피리 연주의 꽃으로 여겨진다.

산조, 대풍류 등의 민속악과 관악 영산회상, 자진한잎, 수제천 등의 정악을 연주할 때에는 관대를 정상적으로 막은 후 그대로 각 손가락을 한 지공씩 위로 올리는데, 이것을 "치켜잡는다"라고 한다. 갈 곳이 없는 왼손 검지는 그냥 관대 위에 올려둔다.
보통 계면조 계열의 악곡에 주로 사용되는데, 드물게 평조 계열 악곡에도 사용된다. 처음 배울때는 손가락이 꼬여 연주하기가 쉽지 않지만, 경험이 많이 쌓이면 원래 손가락보다도 편하게 연주할 수 있다.


4. 피리의 가격[편집]


가격은 국악기 중에선 가장 싼 편에 속한다. 덕분에 어릴 때부터 국악을 해온 사람들 중에는 가격이 싸다는 이유로 부모님에게 억지로 떠밀려서 시작한 경우가 의외로 많다. 하지만 안 그래도 크기가 작은 악기인데다 나무로 만들어졌으니 아무리 철저하게 관리를 해 준다 한들 다른 국악기들에 비해 금방 썩거나 부서지기도 쉽기 때문에 악기를 상당히 자주 교체해 줘야 한다.[15]. 즉 지속적으로 돈을 퍼먹는 악기는 국악기 중엔 피리를 따라올 악기가 없다고 봐도 무방하기 때문에 혹시나 이 문서를 보고있는 미래의 국악인들은 다시 한 번 신중하게 생각하길 바란다.[16]

2023년 기준으로는 서 개당 3~4만 원, 향피리 관대 10~30만 원, 세피리 관대 10~20만 원, 당피리 관대 10~30만원 정도이다.



5. 피리의 개량[편집]




6. 악곡[편집]


  • 대부분의 정악곡[17]
  • 가곡
  • 정재국류 피리 산조
  • 이충선류 피리 산조
  • 박범훈류 피리 산조
  • 서용석제 한세현류 피리 산조
  • 상령산 풀이[18]
  • 독주곡 염양춘[19]
  • 대풍류
  • 시나위
  • 민요(반주)

정악합주 수제천

상령산 풀이(설명 포함)[20]

서용석제 한세현류 피리 산조


7. 비슷한 악기[편집]


외국 악기 중에서 비슷한걸 찾자면 한국 피리의 직접적인 조상으로 추정되는 중국의 삐리(筚篥, bìlì, 이 한자의 한국어 발음이 바로 한국 피리의 이명인 필률이다)가 있다. 관대는 관즈(管子), 서는 샤오피엔(哨片)으로 불리며 서(샤오피엔)의 재질은 한국 피리와 동일한 갈대이지만 관대(관즈)의 재질은 대나무가 아닌 목질로 만든다.
한국이나 일본 피리의 서와는 달리 중국 피리의 서(샤오피엔)은 절대로 물에 넣고 불리지않고 그냥 불게 되어 있다. 중국 피리의 서는 물에 담갔다간 소리가 제대로 나지 않고 입술로 무는 작은 힘에도 갈라져서 망가져 버린다.

튀르키예의 십시(Sipsi)라는 악기도 한국의 피리와 상당히 흡사하게 생겼다. 향피리와 똑같은 구조로 되어있지만, 터키에는 대나무가 없기때문에 갈대를 이용해서 몸체와 서를 만들며, 구멍이 앞쪽에 다섯개, 뒤쪽에 한개가 있다. 부는 법도 동일. 마찬가지로 소리가 굉장히 크기때문에 다른 악기와 함께 연주해도 십시 소리만 들린다. 다만 이 악기는 에게해 지방 특히 데니즐리(Denizli)를 중심으로 연주되는 악기라 다른 지역에서는 보기 힘들다.

파일:십시.jpg

이렇게 생겼다.

파일:hichiriki1.jpg

일본의 궁중음악인 가가쿠에도 히치리키(篳篥)라는 악기가 있는데, 조금 짧고 굵지만 주법이나 음색은 피리와 매우 흡사하며, 이름 또한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같은 기원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 일본의 전통 관악기와 마찬가지로 겉면에 나무껍질을 감아 마감한다. 또한 중국과는 정반대로 서가 매우 두껍고 뻣뻣하기 때문에, 서를 물이 아닌 따뜻한 차에 넣어 불려서 연주한다. 오늘날 정착된 히치리키의 연주법은 군데군데 음이 급격하게 올라가는 구간을 넣어 한국인이 듣기에는 삑사리가 들어간 것처럼 들린다. 이러한 연주법을 일본에서는 엔바이(塩梅, '소금에 절인 매실')라고 부른다. 사진과 같은 전통 방식으로 만든 악기는 매우 비싸기 때문에 입문용이나 취미용으로 플라스틱으로 된 악기도 나와있다.


8. 여담[편집]


  • 미묘하게 옹근 소리가 의외로 서양 악기와 많이 어울리는 편이다. 특히 피아노 반주로 연주했을 때는 정말 위화감이 없다. 다만 피리의 가장 큰 단점으로 꼽히는 것이 음역 문제. A플랫(㑖)에서부터 높은 F(汰)까지 1옥타브 반이 조금 넘는 정도라 현대 음악을 연주할 때는 애로사항이 꽃핀다. 음역을 넓히는 것이 피리 악기 개량에 있어서 숙제라면 숙제.
  • 역사 속에서 등장하는 네임드 피리로 만파식적이 있다. 사실 이 피리는 대금이다.
  • 취미로 하기엔 굉장히 좋지 않은 악기인데, 하루만 악기를 하지 않아도 체감이 확 되고 사랑니 발치, 안구 수술 등을 받은 경우에는 아예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할 정도이다.[21] 대금, 해금 등의 다른 국악기보다 연주할 줄 아는 사람들이 적은 이유.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16:03:42에 나무위키 피리(악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참고로 이것의 중국어 발음이 다름아닌 피리라는 말의 어원으로 추정되는 삐리(bìlì)이다. 현대 중국어 간체자로는 筚篥라고 쓴다. 발음은 같다.[2] 반면 관악 영산회상같은 관악합주에서는 피리소리 대금소리가 따로 놀기도 하거니와 원체 대금이랑 피리가 주로 편성되는 터라 피리 못지않게 대금 소리가 크게 들리기도 한다. 음향학적으로도 피리는 가까운 곳에서는 무지 큰 소리로 들리지만 먼 곳까지 가지는 못하는 반면 대금 소리는 가장 멀리까지 또렷하게 들리는 소리다.[3] 오보에처럼 물에 불려야만 소리가 난다.[4] 서를 입술에 무는 정도를 달리해서 음정을 맞추는데 서를 물면 음정이 올라가고 빼서 물면 음정이 내려간다.[5] 피리를 문 입술에 힘이 빠져서 입에서 바람이 새어나오기 때문이다. 특히 현악기는 연주하면서 줄이 풀리기 때문에 살짝 음이 내려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피리 음이 올라갈 경우 불협화음이 튀기 십상이다. 현악기류는 연주중 음을 맞추기 때문에 이런 경우 관악 주자들이 신경써서 음정을 맞춰 주어야 한다.[6] 대부분 연주자의 미숙함이 문제인 경우가 많다[7] 그래서 세피리는 다른 피리들과는 다르게 숨을 들이쉴 때 폐에 남아있는 숨을 다 뱉고 새로 숨을 들이쉰다. 폐에 공기가 남아있는 채로 새로 숨을 들이쉬다 보면 점점 숨이 차기 때문.[8] 피리 두개를 옆으로 이어붙인 것으로, 한 번에 두개의 서를 물고 한 손가락으로 두 개의 지공을 막는다. 보통 민요 반주 등에 쓰였다.[9] 백제에서도 도피필률이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10] 향피리, 세피리 등으로 개량되기 이전의 피리는 대부분 대필률, 소필률 등의 당피리였을 것으로 추측된다.[11] 이는 대부분 관대의 종류이고, 서는 대부분 같은 종류를 사용한다[12] 보통 피리를 처음 시작하면 입이 풀리기까지 3~5분도 안 걸리지만, 국립국악원 소속 연주자들이나 여러 피리 명인들의 경우에는 2~3시간도 풀리지 않고 거뜬히 불 수 있다. 지속적인 연습으로 인한 결과.[13] 어떤 사람들은 흉식 호흡으로 인해 여린입천장에 가해진 압력이 원인이라고 말하고, 어떤 사람은 잘못된 취법이 원인이라고 말하지만 어떤 것도 확실하지는 않다.[14] 지속적으로 코가 풀리는 것이 해결되지 않아 피리 전공 하는 것을 그만둔 사례도 존재한다.[15] 그래서 일부 연주자들은 악기에 옻칠을 해 악기의 수명을 대폭 늘리기도 한다.[16] 피리는 꾸준하게 서를 새로 사야하는 악기라 한달에 많으면 10~20만 원씩 드는 데다 공연이 있어서 관대를 맞추려면 개당 약 15만 원 가량 든다. 피리를 제대로 배우고 싶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참고하길 바란다.[17] 피리는 정악 합주에서 곡의 전체적인 가락을 이끄는, 서양 관현악으로 따지면 바이올린과 비슷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현악 취타 등을 제외한 거의 모든 정악 합주곡에 편성된다.[18] 영산회상의 상령산에 가락과 꾸밈음을 더 넣어 독주곡으로 편곡한 곡이다.[19] 자진한잎 중 계면 두거(염양춘)의 가락에 꾸밈음을 첨가하여 독주곡으로 편곡한 곡이다.[20] 악기를 자세히 보면 관대에 옻칠을 해 놓았다.[21] 경우에 따라서는 2주씩이나 연주를 못 하는 경우도 있다. 주로 상악 사랑니 발치를 한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