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식물)

최근 편집일시 :

분류

곡물

[ 펼치기 · 접기 ]





파일:attachment/피(식물)/_9.jpg

학명
Echinochloa utilis
(Ohwi & Yabuno, 1962)
Echinochloa crus-galli
( L. ) P. Beauv.[1]
분류

식물계 Plantae
분류군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속씨식물군(Angiosperms)
외떡잎식물군(Monocots)
닭의장풀군(Commelinids)

벼목(Poales)

벼과(Poaceae)

피속



언어별 명칭
일본어
稗(ヒエ)
영어
Japanese (barnyard) millet
베트남어
Phân loại khoa học
한자
稗(피 패), 秶(피 자)

1. 개요
2. 역사
3. 피 제거 작업
4. 재배
5. 기타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아시아 원산지의 곡류의 일종이다.

맛과 흡수율은 보다 나쁘다. 전 세계에 고루 분포하며 예전에는 매우 널리 재배되었으나 먹을 것이 많아진 현대에는 주식으로 삼기 위해 재배하는 경우는 거의 사라졌고 전세계적으로 잡초로 여겨지고 있다. 단, 오늘날에도 매우 척박한 산지의 식용이나 가축 사료용으로 재배되거나 구황작물용 혹은 풍부한 영양분 때문에 건강식 등의 상품작물로 재배되는 경우도 있다.

피쌀이라고도 부른다.*


2. 역사[편집]


대한민국 국사 교과서에도 나오는 사실로 , 수수, 과 함께 신석기 시대 때 제사장, 족장 같은 높은 사람이 아닌 일반 백성들이 주로 재배하던 작물이었다고 한다.[2] 피는 환경적응성이 매우 뛰어나 척박한 토지에서도 잘 자라는 작물이기 때문이다. 피농사는 벼농사보다 쉬웠기에 먼저 재배되었고, 벼농사는 많은 인력이 관개수로 작업에 투입될 수 있던 삼국시대에 본격적으로 뿌리를 내리기 시작했다.[3] 김제 벽골제는 관련 대표적 유적. 신라시대 함안군 성산산성에서도 다른 지역에서 수확한 피를 운송시키면서 꼬리표로 사용했던 목간이 나오는 등 식량으로서 유통되던 물품이었다. 조선시대에도 오곡 중 하나[4]로 꼽힐 정도로 널리 재배했다.

맛이 별로이기 때문에 오늘날 수경문화권에서 피를 주식으로 재배하는 경우는 별로 없다. 우리 나라도 조선시대쯤 되면 이미 '피'는 정말 먹을 것이 없을 때나 먹는 구황작물로나 취급했다. 요즘은 잘 쓰지 않는 표현이지만 기운이 없고 비실비실한 사람에게 '피죽도 못 얻어먹었냐?'고 하는 것이 그 예시다. 일제강점기는 물론 광복 이후 1960년대까지만 해도 널리 재배했지만, 식량증산정책의 일환으로 벼 재배를 정부 차원에서 권장하고 보조하면서 식용작물로서의 피 재배는 한국 내에서 사라졌다.

일본 에도 시대의 농서에는 아예 "저 잡초는 가장 해로운 잡초다!"라고 했을 정도. #


3. 피 제거 작업[편집]


현재 농사를 짓는 농부들에게는 잡초 취급을 받는다. 이것을 뽑거나 제거하는 것을 가리키는 '피사리'라는 말이 따로 있을 정도. , 보리, 등과 같은 화본과(벼과)고, 특히 벼와 매우 유사하여 초보자는 육안으로 구별하기 힘들다. 베테랑 농부가 아닌 한 구별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다.[5] 제초작업 시 주적이라 할 만한 식물. 벼와 피가 모두 화본과라 생리적으로도 유사하여 벼에겐 비교적 안전하고 피는 말려 죽이는 제초제를 만들기도 어렵다.[6]

그렇다고 피를 그냥 놔두면 벼가 먹어야 할 영양분을 피가 다 빨아들여서 온통 피밭이 되어버린다. 피는 질소 비료양의 80%를 혼자 독차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생육기간이 3개월이라 보다 훨씬 빠를뿐더러, 벼는 C3 식물이지만 피는 C4 식물이라 광합성 효율이 더 뛰어나다. 벼보다 적은 물과 염도가 높은 땅에도 잘 자라는 데다, 벼가 다 자라기도 전에 온통 씨앗을 뿌리고 죽어버리기 때문에 그냥 놔뒀다가는 말 그대로 피를 보게 될 것이다. 그 해 농사를 망침은 당연한 수순. 게다가 피의 알곡이 익기 시작했을 때 피를 잘못 뽑다간 수많은 알곡이 땅에 떨어져서 다음 해에도 피밭이 되고 만다. 게다가 피가 너무 많으면 콤바인을 못 쓰기 때문에 역시 잡초는 미리미리 뽑아두는 것이 좋다.

2009년에는 서산 간척지, 김제 등 논에 제초제를 다량 처리하는 지역에서 제초제에 저항성이 있는 피가 등장하여 방제작업에 어려움을 겪었다참고 사이트. 피는 여러 잡초 중에서도 유달리 제초제 및 가뭄, 염분 등 스트레스 환경에 저항성을 빨리 발전시키는, 말하자면 적응성이 뛰어난 식물이다. 따라서 유전형질과 그에 따른 표현형질도 매우 다양한 편이다.


4. 재배[편집]


피는 원체 어디서나 잘 자라지만, 주로 사는 곳을 보면 논에 주로 나는 물피, 강피와 들이나 밭에 주로 나는 돌피, 습지에 잘 자라는 쇠돌피, 바닷가 습지의 양지에 잘 자라는 갯쇠돌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7]

생육기간이 빠르며 환경적응성이 강한데다가 영양분이 풍부하므로 상품작물로 재배하는 곳은 생각 외로 꽤 있는 편이다. 링크된 블로그는 일본의 식용 피 재배 모습이다.참고 사이트

대한민국에서도 2011년에 시험적으로 식용 피가 재배되고 있다. 참고 기사 농촌진흥청의 연구에 따르면 미백효과가 높으며 항 당뇨, 항산화 효과가 있어서 약용식품으로서의 효과도 있으며 영양분도 풍부하므로 상품작물로서 가치를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다만 맛이 일반적인 벼쌀로 지은 밥에 비해 매우 떨어진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같은 피라도 여러 가지 아종이 있으며, 식용작물로 재배되는 피는 '수래첨' 이라는 품종이다. 원래 한국의 재배종이었으나, 1960년대 이후 피 재배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2011년에는 오히려 일본에서 품종을 수입해와서 시험 재배하던 실정이었다. 그러다가 2015년에 농촌진흥청에서 수래첨을 포함해 한국 원산 토종유전자원 1500여 점을 반환받으면서 대량생산을 계획 중이다.* 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잡초로 취급당하는 피에 비해 생산량이 많다. 물론 잡초로 취급당하는 기타 품종의 피도 먹을 수는 있지만 앞서 서술했듯이 맛이 나쁘기 때문에 본격적으로 농사지을 만한 작물로서는 상품가치가 미달될 수밖에 없다.


5. 기타[편집]


피 이삭이 달린 줄기를 한 가닥 뽑아서 이삭의 끝부분만 파리정도의 크기로 남기고 모두 제거하면 훌륭한 개구리낚싯대가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든 이삭을 개구리 앞에서 흔들면 개구리가 벌레로 착각하고 낼름 삼키는데 이때 낚으면 그대로 낚여 올라온다.

예전에는 흉년이 들면 강아지풀과 함께 쌀 대신 먹었다고 한다.

피가 뭔지 몰라서, "논에 피도 안 난다 "라는 표현의 '피'를 혈액이라고 생각하기도 하는데, 전혀 다르다.

"피죽도 못 먹은 듯 하다"의 피죽의 피도 혈액의 피가 아니라, 본 문서의 피를 뜻한다.

피나무하고는 전혀 관계 없다.

다른 한자표기인 秶때문에 개드립용으로 쓰이기도...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
, 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
, 2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15:32:51에 나무위키 피(식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utilis는 일반적으로 야생종인 crus-galli의 재배종으로 여겨진다.[2] 제사장, 족장같은 높은 사람들은 주로 을 먹었다.[3] 이렇듯 청동기시대부터 재배하기 시작했다는 게 통설이었으나 최근에 경기도 고양시에서 신석기시대의 벼 재배 관련 유적과 유물이 발견되었다.[4] 기장, 보리, , , 피. 현재는 피가 빠지고 가 오곡에 들어간다.[5] 특히 일정 생육시기 이후로는 옆으로 퍼져서 자라는 물피와는 달리, 강피는 이삭이 나기 전까진 벼와 거의 똑같이 생겼다고 보면 된다. 이앙법를 하는 이유도 역시 이 때문이다. 모양으로는 구분할 수 없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모를 심고 그것을 벗어나 자라는 것을 피로 간주한다.[6] 이럴 땐 미리 논에 있는 잡초를 모두 없앤 다음 모가 제초제를 처리해도 안전할 정도로 충분히 성장했을 때 옮겨 심어서 다시 새로 자라는 피의 유묘를 죽이는 전략을 쓴다.[7] 학계에서는 피의 종, 아종간 구분을 둘러싼 의견이 분분하다. 이것을 규명하려면 역시 유전자 분석을 통해서 근연관계를 따지는게 확실하지만 잡초의 유전자를 분석하려는 사람이 잘 없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