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인형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그 외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P20151205_005211000_1398499C-A5D9-46EA-9797-1B4623D0C83F.jpg
가운데와 오른쪽 인형은 일명 시집살이 인형이라고 불린다.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P20151213_222800000_00D843B8-908E-47EB-A974-D9CED89F56F5.jpg
왼쪽은 70년대 미국 수출제품, 오른쪽은 한국 내수용으로 부품 일부가 남자 나머지 부분을 만들어 판매한 덤핑제품.
그래서 각 파트별 색상이 제각각이다.


1. 개요[편집]


1970년대 못난이삼형제의 인기에 더불어 덩달아 잘 팔린 인형. 아마 70,80년대를 살으신 분이면 매우 익숙한 인형일 것이다.
해학스러운 못난이인형과 달리 예쁘고 귀여운 이미지의 인형이 많으며, 그 종류도 매우 많다.

대부분 못난이인형을 만든 공장들에서 같이 만들었는데 당시 업계에서는 고고돌, 뽀뽀짱 등의 이름으로 불렸다. [1] 대중적으로는 훌라인형, 마스코트인형 등으로 불렸다.
1960년대 후반 스러쉬성형 기술을 일본에서 들여온 몇몇 회사가 일본제를 그대로 복제해 시판했는데,[2]
못난이삼형제도 이 중 하나였다. 그러다 못난이삼형제가 인기를 얻자 비슷한 디자인의 하와이인형도 절찬리에 팔렸는데, 인기를 끌 당시 일본이든 한국이든 어마어마한 물량을 미국, 유럽 등지에 수출했다.

국내 업체가 일본제를 그대로 복제해 만든 이유는 기술적 한계도 있었지만 사업 초기 인기에 대한 확신이 없었고, 이 때문에 큰 돈을 들여 디자인 개발을 하는것이 부담스러웠기 때문이다.정작 큰 인기를 얻었지만 몇몇을 제외하고는 자체적으로 제작한 디자인은 없었다.원형기술자들이 해외캐릭터 원형을 제작하며 매우 바빠진데다 공장들도 개발에 신경쓸 틈이 없을 정도로 바빴기 때문. [3]

일본 제품과 한국 제품의 모양이 같은 것이 대부분인데, 킹 완구나 다이아몬드완구와 같은 경우 일본업체와 접촉을 자주 하였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었다. 무엇보다도 70년대에는 저작권이라는 개념이 없다시피 했고 아직 개발도상국인데다
내수, 수출시장의 규모도 훨씬 작은 한국이 일본에 영향을 줄 일이 없었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 캐릭터와 완구상품이 무수히 많이 나오기 때문에 70년대 후반에 생산이 대부분 멈추었고 한국의 경우 1980년대 중반 이후 거의 생산을 멈춘 상태다.[4]

못난이삼형제처럼 하와이인형 역시 국내 영세업체에서 카피품이 만들어졌지만 가발을 만들어 붙일 정도의 품질은 아니였으며 피부색상이 불규칙하고 페인팅이 조잡한 정도였다. 국내 영세업체 제품이 문제가 된 이유는 자체개발 상품이 없어 국내 완구업계 발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도 있지만 제품에 쓰이는 원료가 독성이 강하거나 품질이 떨어져서였다.
그 때문에 정부 차원의 불량 완구 적발과 지원이 이루어졌고 품질이 좀 더 좋아지긴 했지만 큰 성과는 없었다.

최근 빈티지 소품이 인기를 끌자 재생산을 기대하는 경우도 많은데, 현재 사용 가능한 금형이나 원형이 거의 남아있지 않은 데다 무엇보다 타산이 맞지 않아[5] 국내에서의 재생산은 기대하기 어렵다.
70년대 당시 제작 및 수출을 한 베이비킹(킹완구공업)도 재생산을 하고 싶으나 소비가 불확실하고 타산이 맞지 않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6]


2. 그 외[편집]


1990년대 초반까지만해도 제작사였던 킹완구공업(90년대 당시 신화트레이딩)에 하와이인형 및 못난이삼형제 금형이 산더미처럼 있었으나 당시 그 금형들은 녹이 슬고 부식되기 시작해 대량생산에 사용할 수 없는 골칫거리였기 때문에 90년대 중 후반 공장설비를 줄일 때 금형들을 모두 고철상에 헐값으로 팔았다고 한다. 이때 버린 금형의 일부는 어느 수집가가 가져갔고,나머지는 고철로 폐기되었다. 이외에도 여유분으로 박스채 남은 몇몇 제품도 곰팡이가 피는 등 상태가 좋지 않아 폐기처분 되었다.

이것 이외에 덕인기업에는 자체적으로 만든 금형과 과거 킹완구에서 사용하다 넘어간 금형이 있었으나 2011년 덕인기업이 한 수집가한테 못난이삼형제 디자인권, 재고품과 함께 모두 팔았다. 이 금형 중 일부는 70년대 킹완구 소유였는데, 90년대 중반에 덕인기업이 킹완구(90년대 당시 신화트레이딩, 현 베이비킹)에서 남아돌던 제작시설과 함께 사간 것. 덕인기업이 이 금형을 사용해 샘플제품과 자체금형을 몇몇 만들기도 했으나 현재 금형이 많이 부식되고 양도받은 수집가가 생산을 염두에 두고 있지 않아 이 금형으로 제작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홍콩, 중국,일본에서도 몇몇 제품을 만들고 있는데, 옛날 제품과 구별이 잘 안 가고 생김새가 비슷하니 인형 수집을 원한다면 주의할 필요가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05:58:32에 나무위키 하와이인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모델에 따라 이쁜이,깐순이,꽃돌이,또순이,코보 같은 별명을 붙이기도 했다. 고고돌은 고고춤을 추는 듯한 포즈여서, 뽀뽀쨩은 뽀뽀하는 포즈가 많아 붙은 이름이다.[2] 일본의 경우 완구회사나 원형기술자가 디자인 컨셉을 잡고 여러가지 사이즈나 포즈로 개발,제작하고 몇년 뒤 다시 새로운 컨셉으로 신제품을 개발하는 방식이었다.[3] 심지어 70년대 중반에는 금형업자가 같은 금형을 여러개 복제해 서로 다른 공장에 팔 정도였다.[4] 80년대 후반까지 인천,교문리일대의 공장에서 금형이 아까웠는지 조금씩 만들어 팔았고 판매는 전국에 있던 문방구의 재고 때문에 2000년대 중반까지 가능했다.[5] 대량생산을 목적으로 작은 제품 하나 만드는데 300만원 정도는 기본으로 들어간다.[6] 90년대 중반까지 베이비킹에 샘플제품이 많았으나 한 수집가가 가져가서 현재 남아있지 않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