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타요가 프라디피카

덤프버전 :


1. 개요[편집]


1450년경 스바트마라마(Swatmarama)가 저술한 하타요가프라디피카(Hatha yoga pradipika 산스크리트어 हठयोगप्रदीपिका 하타요가 빛)라는 경전은 하타요가 기록을 확인해볼수있는 요가 수행법을 기술한 책이다.[가] 여기서 하타요가의 하타는 음양(하HA-양:해, 타THA-음:달)이라는 뜻을 그리고 요가(yoga)는 재결합을 의미한다. 따라서 하타요가는 "음과 양의 에너지를 조화롭게 하다"로 이해해볼수있다. 그러나 이 책의 주요한 맥락중 하나는 이러한 육체적 수행을 기술하는 하타요가 프라디피카(줄여서 하타요가) 경전이 정신수양의 길로 가는 라자요가(Raja Yoga)를 위한 과정으로 하타요가 자신을 설명하고있다는 점이다. 현대인들이 가장 쉽게 접하고 생각하는 요가가 바로 이 하타 요가의 맥락(context)이다. [*가 ][나][1][2]
햔편 하타요가프라디피카 경전은 그 보다 앞서 기록된 문헌인 요가수트라와 함께 요가 수행자들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한 근본 경전으로 알려져있다.[3]

2. 라자요가[편집]


요가수트라의 해설서로서 하타요가 프라디피카의 가치는 매우 높다. 또한 요가수트라의 맥락(context)에서 라자요가(Raja Yoga)를 이상적인(지고한) 정신적 경지로 정의해본다면 여기에 도달하기 위한 그 실천적 수행방법으로 하타요가를 제안하는 책이 하타요가 프라디피카(Hathayoga Pradipika)가 되겠다. 이것은 하타요가(Haţha Yoga)가 싸마띠(samādhi,삼매三昧)를 최종 목표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요가경전이라면 이러한 수순은 당연하겠지만 이처럼 이러한 싸마띠를 최종목표로하는 잘 알려진 경전으로는 하타요가프라디피카(Haţhapradipika)이외에도 시바 산히타(Śiva Sanhitā) ,게란다 산히타(Gheranda Sanhitā)등의 경전도 있다.[4] 특히 게란다 무니(Gheranda Muni)와 그의 제자 찬다 카팔리(Chanda Kapali)가 대략17세기경에 다이얼로그(dialog) 형식이 있도록 기술한 것으로 알려진 게란다 산히타(Gheranda Sanhitā) 텍스트는 하타요가 및 요가삼히타(yoga samhita),쉬바(시바)산히타등의 주요한 해설서로 평가받는다. 제7장으로 구성되있다. [5] 스리스 찬드라 바수(Sris Chandra Basu)가 1895년에 영문으로 해설하였다.

달인좌(Siddhasana)에 견줄 자세(asana)는 없고 완전호흡에 견줄 호흡법은 없다. 케차리 무드라(khecari mudra)에 견줄 무드라는 없고 나다(nada)에 견줄 라야(laya)는 없다. [math((\rm{I}\, 43))][*나 ]


3. 컨텐츠[편집]


이 경전의 구성은 4장(chapter) 389개의 문장 절(paragraph)을 기술하는것으로 되어있다.
챕터
타이틀
컨텐츠(문장 절수)
제1장
아사나(asana)
식사규정, 기초자세(체위법) 등 (67)
제2장
프라나야마(pranayamah)
호흡법(풀무질 호흡등) 등 (78)
제3장
무드라(mudra)
각성과 응용체위법(무드라,반다) 등 (130)
제4장
사마디(samadhih)
명상법 등 (114)

3.1. 무드라[편집]


챕터3(제3장)에서는 요가의 응용동작인 3개의 무드라(mudra) -마하무드라,마하반다(물라반다,욷디야나반다,잘란다라반다),마하베다-를 주요하게 기술하고 있다. 반다(bandha)는 신체의 국소적인 영역에서의 결속을 의미할수있으며 이때 무드라는 이러한 여러 반다(bandha)들을 토대로 하는 전신의 형태에서 완성되는 결정된 동작을 가리키는데 사용될수있다.
파일:maha-mudra00.svg
기본동작 마하무드라(접힌 발의 뒷꿈치는 항문과 회음부에 눌린다)


4. 항아리[편집]


하타요가 프라디피카에 나오는 여러가지 표현들과 마찬가지로 항아리(kumbhaka쿰바카) 역시 요가수트라 텍스트에서 그 의미와 해석에대한 기술을 찾아보고 참고해 볼수있다.

나디의 데미지나 체액으로부터의 잘못된 병을 없애준다. 승리호흡은 걷거나 서서도 할수있다. [math((\rm{II}\, 53))] [*나 ]

특히 호흡법에서 항아리는 호흡(숨)의 흐름을 담는 신체에 적절히 비유될수있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9:08:59에 나무위키 하타요가 프라디피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가] Hatha Yoga Pradipika - Sanskrit Text with English Translatlion and Notes by Pancham Singh 1915 https://archive.org/details/HathaYogaPradipika-SanskritTextWithEnglishTranslatlionAndNotes/page/n3/mode/2up[나] 요가 근본 경전 2017 이태영 ,출판사 여래 ISBN 9791186189597 https://www.jbbook.co.kr/ba010003762.html[1] 하타요가 프라디피카 .(주해)박지명, (그림) 신지연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243022[2] 위키문헌 요가수트라https://ko.wikisource.org/wiki/%EC%9A%94%EA%B0%80%EC%88%98%ED%8A%B8%EB%9D%BC[3] The Yoga-Sutra of Patanjali: A New Translation with Commentary by Chip Hartranft 2003 CC https://archive.org/details/chip-hartranft-sanskrit-english-translation-glossary-the-yoga-sutra-of-patanjali/page/n5/mode/2up[4] 하타요가 경전의 구성과 수행체계 ― 하타요가프라디피카, 시바삼히타, 게란다삼히타를 중심으로 ―The Composition of the Haţha Yoga Sūtra with Practice Systems- with Haţhapradipika, Śiva Saṃhitā, Gherṇḍa Saṃhitā - 2013, vol., no.72, pp. 185-206 (22 pages)DOI : 10.21457/kars..72.201309.185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02521[5] The Gheranda Sanhita: A Treatise on Hatha Yoga By Gheraṇḍa ,Printed at the "Tatva-Vivechaka" Press, 1895 https://books.google.co.kr/books?id=KLpHAQAAMAAJ&printsec=frontcover&source=gbs_ge_summary_r&cad=0#v=onepage&q&f=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