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여성

덤프버전 :



1. 개요[편집]


한국사에서 이름이 널리 알려진 여성 인물들의 목록.

한국 여성사 자체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 참조바람.

페이지에 적을 때는 가나다 순으로 하되, 나무위키에 등록된 사람만 등재할 것.

2. 목록[편집]



2.1. 고조선[편집]



2.2. 부여[편집]



2.3. 삼국시대[편집]



2.3.1. 고구려[편집]



2.3.2. 백제[편집]



2.3.3. 신라[편집]



2.3.4. 가야[편집]



2.4. 후삼국시대 / 남북국시대[편집]



2.4.1. 발해[편집]



2.4.2. 태봉[편집]



2.4.3. 후백제[편집]



2.4.4. 통일신라[편집]



2.5. 고려[편집]



2.6. 조선[편집]



2.7. 대한제국[편집]



2.8. 일제강점기[편집]


  • 김마리아
  • 김명순: 한국 최초의 여성 소설가
  • 김활란: 이화여자대학교 최초의 한국인 학장이자 친일파
  • 권기옥: 한국 최초의 여성비행사
  • 나혜석: 화가, 작가, 시인, 조각가, 여성운동가, 사회운동가, 언론인, 그리고 한국 최초의 페미니스트
  • 노천명: 시인이자 친일파
  • 배정자: 친일파
  • 유관순: 독립운동가
  • 윤심덕: 가수로, 사의 찬미 등을 불렀다.
  • 이난영: 가수로, 목포의 눈물 등을 불렀다.
  • 이방자: 영친왕의 비
  • 주세죽: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로, 남편은 박헌영
  • 최영숙: 한국 최초의 여성 경제학사
  • 차미리사: 교육자, 여성운동가, 독립운동가, 덕성여자대학교의 뿌리인 조선여자교육회(1920) [3]설립.
  • 하란사: 교육자, 여성운동가, 독립운동가

2.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1:00:17에 나무위키 한국사/여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덕혜옹주는 대한제국이 패망한 후에 태어났기 때문이 정식적으로 옹주의 호칭을 받지 못했다.[2] 효정왕후가 살아있었던 당시에는 헌종이 황제로 추촌되지 못했지 때문에 황태후라는 호칭을 받지 못하고 태후로 불렸다. 참고로, 헌종은 효정왕후의 사망 4년 후인 1908년에야 황제로 추촌된다.[3] 조선여자교육회는 근화학원(1923)으로 성장하였다. 추후 근화여학교(1925), 근화여자실업학교(1935)로 성장했다. 일제의 압력으로 인해 1938년, 덕성여자실업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