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최근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하위문서.png   하위 문서: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현황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KORAIL series 331000 EMU


파일:Korail_EMU_Class_331000.jpg

차량 정보
차량형식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편성량수
8량 1개 편성(향후 10량 증결 가능)
4량 1개 편성
생산량수
180량
운행노선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도입년도
1세대
2009년 (1차분)
2012 , 2014년 (2차분)
2세대
2025년 예정 (3차분)
제작사
현대로템
소유기관
한국철도공사
운영기관
차량기지
문산차량사업소
용문차량사업소
차량번호
331C01~13 , 331C23~28 (8량)
331G14~22 (4량)
차량 제원

[ 펼치기 · 접기 ]
전장
19,500㎜
전폭
3,120㎜
전고
3,750㎜
궤간
1,435㎜
대차
DT50형 원추고무스프링방식 볼스터리스 대차
재질
알루미늄(1차분)
스테인리스 스틸(2~3차분)
급전방식
단상 교류 25,000V 60㎐
신호장비
ATS-S2
제어방식
도시바 VVVF-IGBT
현대로템 VVVF-IGBT(IPM)[1]
동력장치
교류 3상 농형 유도전동기
제동방식
공기제동, 회생제동
주전동기 출력
200㎾[2] (270HP)
편성출력
3200㎾[3] (4320HP)
최고속도
영업
110㎞/h
설계
가속도
3.0㎞/h/s
감속도
상용
3.5㎞/h/s
비상
4.5㎞/h/s
MT 비
2M 2T(지선용 차량)
(Tc-M'-M'-Tc)
4M 4T(본선용 차량)
(Tc-M-M'-T-T-M-M'-Tc)


1. 개요
2. 편성
2.1. 본선 (8량)
2.2. 지선 (4량)
3. 분류
3.1. 1차분 (2009)
3.2. 2차분 (2012, 2014)
3.3. 3차분 (2025 예정)
3.4. 4차분 (2031 예정)
4. 기타
5. 사건사고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에서 운용 중이며, 직결운행 이전 수도권 전철 경의선에서 운행했던 통근형 전기동차이다. 현재 27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으며 본선 및 지선 열차에서 운행되고 있다. 지선 열차는 총 10편성으로, 319X05편성을 포함한 대수이다.

견인전동기 제어는 도시바IGBT 2레벨 VVVF 모듈을 사용하고 있다.

이 차량들은 주로 문산차량사업소에서 중정비를 받는다. 참고로 수도권 통근형 전동차의 중정비는 차량사업소의 여건에 따라(정비일정 등) 배속외 차량사업소에서도 시행할 수 있는 사항이라 특정 차량사업소에서만 받는다는 보장이 없다.


2. 편성[편집]



2.1. 본선 (8량)[편집]


↑ 상행 (문산 방면)
3310## (1)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311## (2)
M(주변환장치)
3312## (3)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313## (4)
T(무동력객차)
3314## (5)
T(무동력객차)
3315## (6)
M(주변환장치)
3316## (7)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319## (8)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하행 (용문·지평 방면)


2.2. 지선 (4량)[편집]


↑ 상행 (도라산·일산·대곡)
3310## (1)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2012년 신조
3312## (2)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2012년 신조
3314## (3)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2012년 신조
3319## (4)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2012년 신조
↓ 하행 (문산·서울역·용산)

  • 경의·중앙선의 문산행은 대부분이 상행열차이지만 문산↔도라산 셔틀열차 운행 기준으로 문산행은 하행이다. 이는 상하행 구분 기준이 동서남북 방위가 아니라 서울로 들어가느냐 나가느냐에 있기 때문이다. 물론 기종점지가 둘 다 서울이 아닌 운행 계통의 경우는 북쪽 방향이 상행선, 남쪽 방향이 하행선이다.



3. 분류[편집]


도입 연식에 따라 3차로 분류된다.
분류
제어방식
도입
1세대
1차분
VVVF
IGBT

도시바
2009년(8량 13편성)
2차분
2012년(4량 14개 편성 + 6량 1개 편성)
2014년 8량화에 따라 도입된 부수 객차 (4량 4편성 + 2량 1편성)
2세대
3차분
VVVF
IPM

현대로템
2025년(1편성)


3.1. 1차분 (2009)[편집]


파일:Korail_EMU_Class_331000.jpg
331C06편성
수도권 전철 경의선 서울역~디지털미디어시티~문산역 복선 전철 개통으로 도입된 차량이다.

기존의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와는 다르게 스테인리스 차체가 아닌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와 똑같은 알루미늄 압출재 차체이며, 기존 운전실의 시야 확보 문제로 인해 운전실의 창문을 조금 더 넓게 개량했다. 또한 차량 간 정면 충돌 시 타오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안티클라임을 설치했다.

승객이 머무르는 객실은 의자 중앙에 봉을 설치하고 객실 내장재도 기존의 곡선 형상에서 LCD가 위치한 출입문 제어장치 부분과 동일한 모습의 부품으로 변경하여 도입됐다. 2019년부터 차량에 출입문 쪽의 LCD 안내판을 철거하고 객실 천장형 LCD로 교체했으며, 2020년 말 모든 편성의 LCD 안내기가 천장형으로 교체됐다.

331C01~09, 11편성은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어 있다.

LED 행선기에서 회송, 급행, 시운전 행선지는 빨간색이 아닌 주황색이다.

초반에 도입했을 때엔 지금은 없어진 여성, 노약자 전용 표시가 있으며 선반도 노약자석에만 설치되어 있으나 이후 모든 열차에 선반이 설치됐다.

외부 측면 행선기의 글꼴이 후기형 3세대 열차들과 유사하나 표출 방식이 초창기 LED 방식인데, 글꼴은 같지만 위로 스크롤되지 않고 단순하게 바뀐다. 그리고 2글자 역명 송출 시 다른 차량들과 달리 띄어쓰기가 되지 않은 채로 송출된다.

개통 초기엔 "출입문 닫습니다" 멘트가 서울메트로(현재 서울교통공사) 버전이었다.


3.2. 2차분 (2012, 2014)[편집]


파일:IMG_5520.jpg
파일:IMG_5530.jpg
331G20편성
내부 모습
수도권 전철 경의선용산선 구간인 디지털미디어시티역~공덕~용산역중앙선 직결 개통에 대비하여 도입된 차량이다.

알루미늄 합금 대형 합출형태의 무도장 차체에서 스테인리스 차체로 환원됐으며 객실 LCD가 출입문 부에서 객실 천정 부분으로 이동배치된 것과 객실 조명이 다른 것을 제외하면 별다른 특징은 없다.

2012년 도입분인 331G14~22편성은 4량으로, 331C27편성은 6량으로 도입됐으며, 4량 편성들은 현재 서울역행 전용으로 운행중에 있다. 331C23~26편성은 8량으로 도입됐으며, 경의·중앙선 직결 당시에 맞추어 도입된 차량이다. 그리고 이때 331C27편성의 중간차 2량이 반입되면서 331C27편성도 8량으로 증결되면서 구 331427호(M')가 331627호(M')로 변경되었고 331427호는 2014년에 무동력객차(T)로 신규 도입됐다.

2차분 8량 전동차는 2012년식과 2014년식이 섞여있는데, 이는 회로가 조금씩 달라 정비할 때 지장이 제법 있다고 한다.

측면 LED 행선기에서 회송 행선지 송출 시 한글로만 빨간색으로 표출되고 영문으로는 주황색으로 송출된다. 이때 영문 행선지는 "Forward"로 송출된다.

331C23~27편성은 열차 출입문의 주의 스티커 2개가 서로 겹쳐서 붙어있다. 2012년에 도입된 4량 열차들은 그렇지 않다.

2차분 운행 중인 차량 조성(8량)
신규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

5호차
(T)

6호차
(M)

7호차
(M')

8호차
(Tc)

비고
331C23편성
331023
331123
331223
331323
331423
331523
331623
331923

331C24편성
331024
331124
331224
331324
331424
331524
331624
331924

331C25편성
331025
331125
331225
331325
331425
331525
331625
331925

331C26편성
331026
331126
331226
331326
331426
331526
331626
331926

331C27편성
331027
331127
331227
331327
331427
331527
331627
331927



3.3. 3차분 (2025 예정)[편집]


경기 고양 창릉신도시의 입주에 따른 차량 증비용으로 도입될 차량이다. 전동차 발주 보도에 따르면 해당 전동차 구매 사업의 성격상 차량 구매비는 한국토지주택공사경기주택도시공사가 부담할 예정이다.[1] 최근 제작된 1호선, 3호선, 4호선, 수인·분당선 차량이 기존 차량들과 도색 패턴이 달라진 것을 감안하면 본 차량 역시 자석도색이 아닌 다른 도색으로 도입될 가능성이 있다. 낙찰 결과 현대로템이 최종적으로 낙찰됐다. 집전장치는 기존 더블암에서 싱글암이 적용될 예정이다. 차체는 스테인리스로 제작된다. 디자인은 미정이나 현대로템이 제작사인 걸로 보아 1호선,3호선,4호선,수인분당선,대구권 광역철도 신주둥이 차량과 비슷한 디자인 일 가능성이 크다.

편성
갑종회송일자
운행개시일
출발지
경유지
도착지
비고
331C28
2025년 예정
도입 예정
미정
미정
미정



3.4. 4차분 (2031 예정)[편집]


  • 문산차량사업소 소속 (지선): 331G29편성(총 4량 1편성)
  • 제작사: 미정
  • 제어방식: 미정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6석-6석-6석-3석
2006년에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8차분 311G05편성을 대체할 목적으로 총 4량이 도입된다. 2028년에 발주할 예정이며 2031년에 도입될 예정이다.

편성
갑종회송일자
운행개시일
출발지
경유지
도착지
지선 (4량 1편성)
311G29
2031년 예정
도입 예정
미정
미정
미정


4. 기타[편집]


1차분은 한국철도공사에서 인버터 제어 열차가 도입되기 시작한 이래 최초로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차량이다 보니 특유의 매끈한 차체 때문에 '뱀저항'이라는 별명도 갖고 있다. 왜냐하면 저항차량은 마일드스틸로 만들어져 있어 차체가 평평하기 때문이다.

차량 운행의 효율화를 위해 2012년 1월에 6량으로 감축시킬 예정이었다. 여기서 빠진 2량은 개조하여 공덕역 연장에 따른 새 편성으로 반입할 계획이었지만 실제로 6량으로 제조 및 재조합되어 공덕역 연장 개통 당시 331C27편성만 들어왔고 용산까지 연장되면 중앙선 직결용으로 추가로 들어오기 위한 차량의 일부가 이미 제조가 끝나있다. 중간차를 재활용하기 위해 새로 3~4량씩만 제작되어 신창원역에 유치되어 편성을 위해 준비되어 있다. 이미 331C23편성부터 331C26편성까지 이미 제조가 끝나 있어서 중간차만 들여와서 조합 후 시운전만 거치면 바로 투입이 가능했었다.

단, 이들 차량은 기존의 알루미늄 차체를 사용한 331000호대 1차분들과 별개로 타 노선의 차량들과 동일한 스테인리스 차체를 사용했다.

그러나 앞서서 6량화된 중앙선에 발생한 대혼잡과 쏟아진 민원을 보고 6량 계획은 그대로 취소됐다는 것은 정확한 정보였다. 백성운 일산동구 국회의원이 직접 국정감사 때 6량 계획 백지화 확약을 받았고, 한국철도공사에서도 동의한 사항이다. 6량을 상정하고 만든 차량들은 일정기간 8-6량 혼용체제로 간 뒤 8량으로 재조립된다. 즉, 차량 수가 줄어들게 된다. 신조차량은 내부사양에서의 차이점은 별로 없으나 서울메트로 3000호대 VVVF 전동차 301~315, 321~333, 336~340, 349편성에 쓰던 것과 비슷한 LCD TV가 채용됐다. 현재 수인선의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1개 편성[2]과, 광명셔틀용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2개 편성이 임시로 차출되어 운행되고 있으나, 중간차 차출에 문제가 생긴 듯 도입이 마저 되지 않은 나머지 편성(331C23~26편성)이 들어온 대로 본래 소속으로 다시 되돌아가게 된다. 2013년 7월에 331C14~15편성이 같이 반입됐는데, 9월에 영업운전에 들어가 보조로 운행했던 321C15~16편성[3]이 본래 소속인 중앙선으로 되돌아갔다. 그리고 8월은 331C16~17편성이 반입됐고 나머지 331G18~22편성이 반입되며 그 과정에서 운행 편수가 늘어날 수가 있는데, 2014년은 331C23~26편성이 경의·중앙선 직결 증결용으로 반입되는 데 계약에 맞춰서 8량으로 반입됐으며, 331C27편성도 동시에 중간차 2량이 신조 제작되면서 8량으로 운행하게 됐다. 나머지 331G14~22편성도 2010년에 발주했던 계약분도 2013년에 다시 계약하여 반입이 완료됐지만 하반기부터 추가로 부수차를 반입하고, 동시에 6량과 8량으로 혼용 편입해서 운행할 예정이었다.
파일:attachment/코레일 331000호대 전동차/P5261390.jpg
신창원역에 유치 중이었던 331C14~26편성의 신조 차량

현재는 기존 4량 편성으로 도입됐던 331C14~22편성은 서울역 지선 및 문산 ~ 용산 간 운행 전용으로 투입 중에 있다. 견습 시운전을 위해 중앙선 구간에서도 가끔씩 목격할 수 있다.

331C26편성은 2016년부터 독서바람열차로 운행 중이다. 331926호, 331026호 차량 내부에 랩핑이 장식되어 있고 일부 좌석에 책꽂이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독서바람열차는 원래 2018년 3월까지 운행할 예정이었지만 왠지 모르게 2023년 현재도 계속 운행되고 있는 중이다. 다만 일부 칸은 랩핑이 떼어져 본래의 자석도색으로 환원됐다.

해당 열차번호가 독서바람열차 전용 열차 번호로 운행되는 경우가 꽤 많다. 물론 차량의 정비 및 운용 상황에 따라 무조건 해당 열차번호로 운행되는 것은 아니다.
  • 평일 기준: K5017 (문산발 용문행) → K5050 (용문발 용산행) → K5059 (용산발 용문행) → K5082 (용문발 문산행) → K5707 (문산발 용문급행) → K5152 (용문발 문산행)
  • 토요일, 공휴일 기준: K5015 (문산발 덕소행) → K5028 (덕소발 문산행) → K5051 (문산발 팔당행) → K5064 (팔당발 문산행) → K5087 (문산발 팔당행) → K5100 (팔당발 문산행)
원래 문산 방면으로 8호차(3319xx호)가 앞이었지만 경의·중앙선 직결과 동시에 전 차량의 방향이 당시 중앙선과 동일하게 반대로 바뀌었다. 현재는 문산 방면으로 1호차(3310xx호)가 앞이다. 이는 서울 지하철 4호선과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서울 지하철 4호선 개통 당시에는 정방향 기준으로 사당 방면 앞칸이 6호차 혹은 10호차(40YY호)였는데 1994년과천선이 4호선과 직결되면서 서울지하철 4000호대 광폭형 GEC 초퍼제어 전동차가 2~3호선으로 이적되고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가 도입되면서 사당·안산 방면 앞칸이 1호차(49xx호)로 바뀌었다.

출입문 경고음이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와 비슷한 경고음이었으나 2019년 8월 경부터 1호선, 경강선, 동해선, 서해선 전동차와 동일하게 바뀌었다. 하지만 2021년 1월 경부터 다시 서울교통공사 2~4호선 전동차, 경춘선 전동차와 비슷한 경고음으로 환원되고 있거나 경고음이 울리지 않고 있다. 이는 331C01~13, 23~27편성이 해당된다. 다만 331G14~22편성은 1호선 전동차와 비슷한 경고음 그대로이다.

신호장비는 321000호대과 동일하게 ATS-S1과 S2에 대응한다. 도라산~문산 구간은 S1, 나머지는 S2를 사용한다.

321000호대와 마찬가지로 경의·중앙선의 노선 색상은 연옥색이지만 전동차는 새로 도색을 하지 않고 기존 1호선의 빨간색+남색의 자석도색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5. 사건사고[편집]


  • 2019년 10월 6일 오후 10시 50분경 백마교 사거리 건널목 에서 서울역행 K2233열차를 운행하던 331C17편성이 080번 버스 3641호를 들이받는 사고가 났다. 사고 원인은 버스 고장으로 인한 시동 꺼짐이었다. 다행히 시민들이 빨리 창문으로 대피했고, 고장난 버스를 본 기관사가 전동차 속도를 낮추고 경적과 기적을 울려서 열차가 오는 것을 알려 인명피해는 없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버스 기사는 중상을 입었다. 전복됐다면 대참사가 일어날 뻔했다.[4][5]


6.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2:48:37에 나무위키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Pick] 창릉ㆍ왕숙 신도시 대비 전동차 발주경춘선 셔틀열차 개통 연기되나」, 철도경제, 2021-11-16[2] 351F61편성으로, 수인선 개통 직전에 중앙선에서 임시로 운행한 적이 있다.[3] 이 편성들은 당시 6량이었다. 그 해 가을에 전부 8량으로 환원됐다.[4] 「전동차, 멈춰선 시내버스 충돌..."인명피해 없어"」, YTN, 2019-10-07[5] 「버스와 기차가 부딪힌 아찔한 순간...대형사고 날 뻔」, 비디오머그, 2019-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