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야구/1983년/신인드래프트

덤프버전 :




1. 개요
2. 1차 지명
3. 2차 지명
4. 이모저모


1. 개요[편집]


사실상 KBO 최초의 신인 드래프트[1]로 이 해부터 본격적으로 1차 지명과 2차 지명이 시작되었다.


2. 1차 지명[편집]


1차 지명은 각 팀에서 팀 별 연고지 내 고교 출신 선수를 뽑았다. 지명 수에 제한은 없었다.

OB는 임시로 대전을 연고지로 쓰고 있었지만 원 연고지는 서울로 MBC와 겹치기에, 대전 및 충청 지역 선수 외에 서울 지역 선수들을 상대로 MBC와 지명을 했다. 양팀 지명 선수들 중 10명의 선수가 겹쳐, 10명을 대상으로 드래프트를 했다. 이후로 두 팀은 1차 지명을 앞두고 동전 던지기나 주사위 굴리기 등으로 지명 순번을 정했다. 10명의 선수는 지명 순번대로고 그외에는 가나다 순이다. ※표시가 붙은 선수는 지명권 포기 등으로 지명팀에 입단하지 않았다.


1차 지명자
파일:MBC 청룡 엠블럼(1982-1985).gif
오영일(배명고-인하대, 투수)
김용수(동대문상고-중앙대, 투수)※[2]
기세봉(충암고-포철-경리단, 투수)※[3]
신계석(경기고-경희대, 투수)
김정수(신일고-고려대, 외야수)
박철영(배명고-연세대, 포수)
김문영(선린상고-연세대, 외야수)
유성용(경기고-중앙대, 내야수)
이성수(충암고-동아대, 외야수)
이승희(서울고-한양대, 내야수)※[4]
최홍석(신일고-고려대, 외야수)[삼미]
편기철(부산고-건국대-농협-성무, 투수)
MBC 청룡
파일:OB 베어스 엠블럼.svg
(서울)
장호연(충암고-동국대, 투수)
정선두(장충고-실업롯데-경리단, 투수)
박종훈(신일고-고려대-상업은행, 외야수)
이선웅(선린상고-인하대, 내야수)[삼미]
-
(대전·충청)
송일섭(청주고-농협,성무, 외야수)[5]
정구선(대전고-동국대-한국화장품-경리단, 내야수)[삼미]
한대화(대전고-동국대, 내야수)
OB 베어스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
김석일(경남고-중앙대, 외야수)
김성호(부산고-건국대, 내야수)
김종근(경남고-중앙대, 내야수)
김호근(부산고-고려대, 포수)
박영태(마산상고-동아대, 내야수)
박정후(경남고-동아대, 투수)
배경환(경남고-연세대-포철-경리단, 투수)
심재원(부산고-성균관대-한국화장품, 포수)
양상문(부산고-고려대, 투수)※[6]
우경하(경남고-고려대-실업롯데-경리단, 외야수)
유두열(마산상고-한국전력, 외야수)
장상철(부산고-고려대, 내야수)※
최동원(경남고-연세대-실업롯데-한국전력, 투수)
한문연(마산상고-동아대, 포수)
롯데 자이언츠
파일:삼미 슈퍼스타즈 엠블럼.png
김상기(인천고-인하대, 투수)
김진우(인천고-인하대, 포수)
박명운(인천고-중앙대, 포수)
유응삼(동산고-농협, 외야수)※
임호균(인천고-철도청-동아대-한국전력, 투수)
최광묵(인천고-인하대, 외야수)※
삼미 슈퍼스타즈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1982~1988).svg
김근석(경북고-고려대, 내야수)
김동재(경북고-연세대, 내야수)
김시진(대구상고-한양대-경리단, 투수)
박승호(대건고-건국대-실업롯데-성무, 내야수)
양일환(대구상고-건국대, 투수)
장효조(대구상고-한양대-포철-경리단, 외야수)
정진호(경북고-연세대-한국전력-경리단, 내야수)
홍승규(대구상고-성균관대, 외야수)
황병일(경북고-건국대, 외야수)
삼성 라이온즈
파일:해태 타이거즈 엠블럼(1982~1995).svg
장진범(진흥고-영남대, 내야수)
조종규(군산상고-건국대-한국화장품-경리단, 포수)
해태 타이거즈

3. 2차 지명[편집]


2차 지명은 롯데, 삼미, 삼성, 해태 4팀만 했다. ※표시가 붙은 선수는 지명권 포기 등으로 지명팀에 입단하지 않았다.

RD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
파일:삼미 슈퍼스타즈 엠블럼.png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1982~1988).svg
파일:해태 타이거즈 엠블럼(1982~1995).svg
롯데
삼미
삼성
해태
1

이석규
(마산상고-동아대-한일은행,
내야수)

김대진
(경북고-연세대-포철-경리단,
외야수)
구영석
(경북고-상업은행,
내야수)
[7]
김현재
(휘문고-제일은행-고려대-경리단,
투수)
2

정윤돈
(경남고-경희대-한일은행,
내야수)

유종천
(배문고-성균관대-포철-성무,
투수)
조규식
(대구상고-영남대-제일은행-상무,
투수)

박동경
(서울고-상업은행,
투수)[8]
3

패스
이광길
(대전고-인하대,
내야수)
패스
양승호
(신일고-고려대-상업은행,
내야수)
4

-
패스
-
이원일
(청주고-제일은행,
포수)


4. 이모저모[편집]


  • 이 해 드래프트에서 가장 큰 수확을 거둔 팀은 롯데 자이언츠와 삼성 라이온즈로, 롯데는 1984년 리그 MVP를 수상한 최동원과 최동원의 전담 포수 한문연, 1984년 한국시리즈 MVP 유두열을 모두 이 해 뽑아 그 다음 해 한국시리즈에서 첫 우승을 차지한다. 삼성은 에이스 김시진과 타격의 달인 장효조를 지명했고, 나머지 선수들도 대부분 나쁘지 않은 성적을 기록하며 드래프트의 승자로 남았다. 그 외에도 장호연과 박종훈을 지명한 OB, 김진우와 임호균을 지명하고 이선웅과 정구선을 얻은 삼미도 쏠쏠한 이득을 얻었다. MBC는 오영일이 좋은 성적을 기록했지만 나머지 선수는 영 시원찮았고, 가능성을 보여주던 차에 요절한 김정수나 기대만큼 성장하지 못한 박철영은 아쉽게 됐다. 반면, 해태는 뽑은 선수 자체가 적어 큰 성과를 얻지 못했다. 그나마 트레이드로 OB에서 영입한 한대화가 주전 3루수 자리에서 활약한 것이 위안거리.

  • 박동경과 양승호는 1982년 실업야구에서 각각 최우수 신인투수상과 최우수 신인타격상을 수상했는데, 그런 둘을 해태가 지명하면서 대한야구협회는 프로야구에서 실업야구의 유망주들을 빼간다며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그러나 정작 이 둘은 프로 야구에서 기대만큼 활약을 보이지는 못했다.

  • 해태에 1차 지명된 조종규는 선수 생활 동안 큰 활약을 보이지 못하고 은퇴한 후 심판위원으로 전향해 심판위원장과 경기감독관을 지냈다.

  • 해태에서 1차 지명된 또다른 선수인 장진범 역시 프로에서 크게 이름을 날리지 못하고 은퇴한후 심판위원으로 전향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1:01:29에 나무위키 한국프로야구/1983년/신인드래프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82년 드래프트도 있지만, 이 드래프트는 전력 불균형 해소를 위해 시즌 직전에 일부 팀들만 참여하여 진행되었다.[2] 지명된 후 한일은행 야구단에 입단하지만, 이 때 지명 때문에 1985년 신인지명 때 MBC에 그대로 지명됐다.[3] 1년 뒤, 1984년 신인 드래프트 때 OB에 지명되어 프로에 입단했다.[4] 2년 뒤 1985년 신인 드래프트 때 OB 베어스에 지명되어 프로에 입단했다.[삼미] A B C 지명권 양도 계약으로 삼미 슈퍼스타즈에 입단하였다.[5] 지명권 양도 계약으로 해태 타이거즈에 입단하였다.[6] 지명된 후 한국화장품 야구단에 입단하고 2년 뒤 다시 지명받았다.[7] 1년 뒤 롯데에 재지명되어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8] 지명권 양도 계약으로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