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야구/2003년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KBO 리그

}}} ||





1. 개요
2. FA
3. 중계 방송
3.1. 정규시즌 중 지상파 방송 경기
4. 정규시즌 최종순위
5. 신인드래프트
6. 포스트시즌
7. 이야깃거리



1. 개요[편집]


2003년에 열린 프로야구 시즌.

전년도와 같이 팀당 133경기씩 총 532경기가 열렸다. 이해부터 승률제 대신 다승제가 사용되었다.[1] 그리고 밤 10시 30분이 넘으면 새 이닝에 들어갈 수 없다는 병맛 규정이 이 해 잠시 사라지고[2][3] 시간제한 없이 12회로만 제한하는 규정이 실시되었다.

삼성 라이온즈이승엽이 56홈런으로 아시아 최다기록을 세운 해로 유명하다. 10월 2일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롯데 자이언츠이정민을 상대로 56번째 홈런을 때리며 오 사다하루의 55개 기록을 깼다.

이 해 현대와 삼성은 역대급 핵타선을 구축하였고, LG와 롯데는 역대급 물타선을 선보였다. wrc+ 기준 03삼성 역대 7위, 03현대는 역대 12위인데, 03LG는 뒤에서 13위이고 03롯데는 무려 뒤에서 4위에 해당한다.

그리고 정규시즌 성적은 현대>KIA>삼성 순이었지만 피타고리안 승률로는 오히려 삼성>KIA>현대 순이었다.

초보감독 조범현이 이끌던 SK 와이번스가 창단 3년만에 4위로 포스트시즌에 진출, 한국시리즈까지 올랐다. 한국시리즈에서도 당대 최강팀인 현대를 상대로 6차전까지 3승 3패를 기록하며 최종 7차전까지 몰아가는 저력을 발휘했다.

2. FA[편집]


자격 취득 선수 15명중 5명이 신청을 하였다

잔류

롯데 박정태 : 2년 6억 원 (옵션 1억 원 포함)
롯데 강상수 : 3년 4억 원 (옵션 6천만 원 포함)

두산 안경현 : 4년 15억 원 (옵션 2억 원 포함)

LG 이종열 : 4년 13억 (옵션 2억 원 포함)

이적

현대 박경완 → SK : 3년 19억원 / 보상선수 조규제


3. 중계 방송[편집]



3.1. 정규시즌 중 지상파 방송 경기[편집]


  • 4월
    • 4월 5일 (토, 개막전) | 잠실 - SK VS LG (KBS1)
    • 4월 20일 (일) | 광주 - LG VS KIA (KBS2)[우취]
    • 4월 27일 (일) | 잠실 - 삼성 VS LG (KBS1)
  • 5월
    • 5월 1일 (목) | 대전 - KIA VS 한화 (KBS2) / 대구 - 현대 VS 삼성 (SBS)
    • 5월 5일 (월) | 잠실 - LG VS 두산 (KBS2)
    • 5월 17일 (토) | 잠실 - KIA VS LG (SBS)
    • 5월 18일 (일) | 대구 - SK VS 삼성 (KBS2)
    • 5월 24일 (목) | 문학 - 현대 VS SK (KBS1)[우취]
    • 5월 31일 (토) | 문학 - 삼성 VS SK[DH1] (KBS2)
  • 6월
    • 6월 4일 (수) | 대구 - KIA VS 삼성[DH1] (KBS1)
    • 6월 6일 (금) | 문학 - 현대 VS SK (KBS2)[우취]
    • 6월 20일 (금) | 대구 - SK VS 삼성 (KBS2)
    • 6월 22일 (일) | 잠실 - KIA VS 두산 (KBS1)
    • 6월 25일 (수) | 잠실 - 한화 VS LG[DH1] (SBS)
  • 7월
    • 7월 12일 (토) | 대전 - 삼성 VS 한화 (KBS2)
  • 8월
  • 9월
    • 9월 24일 (수) | 광주 - 삼성 VS KIA[DH1] (KBS1)
    • 9월 27일 (토) | 사직 - 삼성 VS 롯데 (KBS2)
    • 9월 28일 (일) | 대구 - SK VS 삼성 (KBS1)


4. 정규시즌 최종순위[편집]


순위

경기수



게임차
승률
1
현대 유니콘스
133
80
2
51
0.0
0.611
2
KIA 타이거즈
133
78
5
50
2.0
0.609
3
삼성 라이온즈
133
76
4
53
4.0
0.589
4
SK 와이번스
133
66
3
64
14.0
0.508
5
한화 이글스
133
63
5
65
17.0
0.492
6
LG 트윈스
133
60
2
71
20.0
0.458
7
두산 베어스
133
57
2
74
23.0
0.435
8
롯데 자이언츠
133
39
3
91
41.0
0.300

시즌 시작 전에는 KIA 타이거즈가 우승 후보로 꼽혔다. 전 시즌에 정규리그 2위를 기록한 뒤 박재홍과 진필중을 영입했기 때문. 여러 언론에서도 우승 후보로 꼽혔다.#

그러나 시즌 초반에는 현대, SK, 삼성의 3파전으로 가는 듯 했지만, SK가 신생팀의 한계 때문에 DTD를 기록하여 4위로 내려가게 되었고, 큰 수의 법칙을 앞세워 전반기 5위였던 KIA가 탄탄한 전력으로 후반기에 무려 12연승을 내달리며 막판까지 치열한 경쟁을 했지만, KIA와의 19차전에 현대 유니콘스가 KIA에 승리하여 결국 정규시즌에 우승을 확정지었다. KIA 타이거즈는 전년도에 이어 6할 승률을 찍고도 정규시즌 우승에 실패하는 불운을 또 겪었다.

단일리그제에서 6할 승률을 기록하고도 정규리그 우승에 실패한 팀은 1995년 LG 트윈스, 2002년, 2003년 KIA 타이거즈 이쪽은 한 팀먹여 살린 덕이 크다., 2009년 SK 와이번스, 2014년 넥센 히어로즈, 2019년SK 와이번스키움 히어로즈, 2022년 LG 트윈스가 있다.

게다가 KIA는 이 시즌부터 적용된 다승제(전체 경기 중의 이긴 경기의 비율, 즉 무승부=패배)의 제일 큰 피해자가 되었다. 원래 승률제도(무승부를 제외한 경기 중 이긴 경기의 비율)대로라면 마지막 경기에 총력전 승부를 해서 이겨서 정규시즌 우승할 수 있었지만 이미 2위가 확정된 상황이라 가비지 게임이 되어 SK에 패했다. 물론 9점차를 역전당한 경기를 이겼으면 다승제 탓 할 것 없이 1위 확정이었지만. 이 불운은 정확히 6년 뒤인 2009년 정규시즌 우승과 2009년 한국시리즈 통합우승이라는 행운으로 돌려받게 된다.

SK 와이번스는 전년도부터 이어진 두산전 15연승을 기록했고 한때 승패마진 +21을 기록하기도 하고 7월까지 삼성과 현대와 치열한 선두 싸움을 펼치기도 했으나, 8월에만 7연패, 8연패를 해버리는 등[4] 극심한 부진의 늪에 빠지며 KIA한테 순위가 역전당하고 9월에는 한때 승패마진 -1까지 떨어지면서 시즌 종료까지 단 3경기 남기고 5위로 추락, 가을야구 진출까지도 실패할 위기까지 몰리기도 했다. 다행히 한화와의 4강 단두대매치에서 승리하며 4위에 턱걸이했고 기세를 모아 2003년 준플레이오프에서 디펜딩 챔피언 삼성 라이온즈를, 2003년 플레이오프에서 KIA 타이거즈를 연달아 꺾고 창단 4년 차만에 2003년 한국시리즈까지 올라가 현대 유니콘스 왕조에게 3승 4패까지 맞서는 기염을 토했다. 만약 이해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면 30승과 40승에 선착하고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한 첫 번째 팀이 될 뻔했다.

한화 이글스는 구단의 미비한 투자로 제주도 스프링캠프라는 병크를 저질러서인지, 시즌 초반에는 부진했다. 그러나 승패마진 -10으로 추락한 9월에 시즌 최후반 LG를 밀어내고 5위 자리를 뺏더니 5할 승률을 돌파해 아예 극심한 부진에 빠진 SK를 꺾고 단 이틀동안 4위에 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두산한테 고춧가루를 얻어맞고 3일 천하로 다시 5위로 복귀했고, 다음 날 열린 SK와의 마지막 맞대결에서 패해 5위가 확정되었다. 최종전 LG전도 패배하며 1999년 이후 4년만의 5할 승률에도 실패했다.

한편 전년도 준우승팀 LG 트윈스는 부상 등 악재를 맞고 역대급 물방망이에 오로지 3점대 팀방어율로 전체 방어율 2위에 오른 마운드의 힘으로만 버티다가 6월에 급추락, 7월과 8월초 4위에 오르기도 했지만 다시 추락하며 6위로 마무리했다.[5] SK의 DTD를 틈타 9월초 잠시나마 4강 희망이 보였지만 대전에서 열린 한화와의 4연전에서 싹쓸이 패배를 당하면서 그대로 경쟁에서 낙오됐다. 그런데 이것이 끔찍한 악몽시작일 줄은 누구도 몰랐을 것이다. 하지만 2014년 시즌까지 옆집을 앞선 마지막 해기도 했다.

두산 베어스는 2년 전 한국시리즈 우승팀의 위용은 온데간데없었다. 개막 직후 8연패를 기록했고, 부진은 끝을 모르고 지속되어 백골퍼의 롯데한테도 한 때 순위가 밀리는 참사를 맛보게 되었다. 이 해 두산의 첫 50경기 성적은 무려 11승 39패. 어느 정도냐면 82년 삼미와 동률이고, 당연히 역대 최악의 첫 50경기 성적이다.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고 싶다는 현수막이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에 걸린 것이 바로 이 해이다. 그래도 후반기에는 5할 이상의 승률을 기록하는 등 반등하고 5위 한화한테 고춧가루를 뿌리는 등 사람다운 성적으로 시즌을 마무리 했다.

롯데 자이언츠는 시즌을 12연패[6]로 시작했다. 그나마 두산이 심하게 무너져서 잠시 두산에 앞서 7위였던 적이 있었고, 전반기 종료 시점에는 두산에 단 3경기차인 8위였다. 그러나 전반기 마지막 세 경기를 패하고 생긴 연패가 후반기 시작에도 끊어지지 않고 15연패까지 다다랐고, 결국 사상 최초 3연속 꼴찌 및 KIA전 18연패를 기록했다. 그나마 백인천이 짤리고 김용철 대행이 맡으며 경기력이 나아지면서 정확히 승률 3할을 기록했다. 롯데는 기어코 이 시즌에 현대 유니콘스를 제치고 프로야구 정규시즌 통산 패배수 1위에 등극하였으며, 2023년 말 현재까지 부동의 1위를 고수하고 있다.

롯데와 두산이 전부 전반기 3할 5푼도 안 되는 성적으로 마무리하자 투자를 안 하는 구단의 말로라며 대차게 비판을 받았다.

5. 신인드래프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프로야구/2004년/신인드래프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포스트시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프로야구/2003년 포스트시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이야깃거리[편집]


선동열이 코치 수업을 받고 귀국했다. 이 때 수도권 팀인 LG 트윈스두산 베어스는 선동열 모시기를 했다가 결국 선동열이 삼성 라이온즈의 수석코치를 가면서 물거품이 되었다. 안 그래도 2003년에 부진했던 두산은 김인식이 물러나 당시로서는 뜬금없었던 배터리코치 김경문을 감독으로 승격했다. 한편 LG는 선동열과 같은 해태 출신 스타플레이어이자,선동열의 절친으로 유명한 이순철 주루코치를 감독으로 승격했는데, 이 두 팀의 결과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야구 사상 최초로 200이닝+ 소화 투수가 나오지 않은 시즌이다. 이해 최다 이닝은 LG 트윈스 이승호의 191.2이닝.[7]

또한 역대급 신인 흉년의 시즌이다. 이 해 신인왕이 이동학인데 이 해 ERA가 5점대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1:08:52에 나무위키 한국프로야구/2003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무승부=패로 인식되나 실제 승률 계산에서 무승부는 승률 집계에서 제외됐다. 그러나 승률에 상관없이 다승이 순위를 결정하는 기준이 됐고, 그 다음이 승률이었다.[2] 사실 이 규정이 있던 이유가 조명 시설 등의 미비 때문이었다. 2000년대 들어서는 그게 무의미해져서 이 규정이 없어져도 상관 없었다.[3] 그런데 이 규정이 이듬해 10시로 앞당겨 슬쩍 부활했고 그 결과는... [우취] A B C 우천 순연[DH1] A B C D 더블헤더 1차전[4] 이들 중에는 8월 10일 경기에서 최약체 롯데를 상대로 한 이닝 10실점 참사를 당한 경기도 있었다.[5] 게다가 6월 첫째주에 롯데전 스윕패, 두산전 스윕패를 당하며 충공깽을 선사하기도 했다. 저 시점에서 롯데는 승률 3할대, 두산은 11승 39패 승률 0.220이었기에 그야말로 충격과 공포. 거기다가 8월 셋째주 주말 시리즈부터 넷째주 주중 시리즈까지 각각 두산전 스윕패와 롯데전 루징 시리즈를 당하며 4위 경쟁에 빨간불이 켜지고 말았다.[6] 1무승부가 껴 있기는 했다.[7] 포스트시즌 기록 포함 시 최다 이닝은 정민태의 198.1이닝으로 역시 200이닝을 소화하지 못했다. 포스트시즌 기록을 포함하고도 200이닝+ 투수가 나오지 않은 시즌은 2003년, 2008년, 2011년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