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

덤프버전 :

분류

파일:attachment/부산항/busanport.jpg
대한민국 최대 항만이자, 세계 3대 항만에 들기도 했던 부산항

1. 개요
2. 구분 및 지정
2.1. 무역항
2.2. 연안항
3. 대한민국의 항만
4. 북한의 항만
5. 외국의 항만
7. 기타



1. 개요[편집]


항만(, Harbo(u)r, Haven)은 선박의 출입, 사람의 승선·하선, 화물의 하역·보관 및 처리, 해양친수활동을 위한 시설, 화물의 조립·가공·포장·제조 등 부가가치 시설이 갖추어진 곳(항만법 제2조 제1호)을 의미한다.

항구와 가장 큰 차이점은, 항만에는 선박을 통한 부가가치를 뽑아낼 수 있는 시설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쉽게 말하면 항구에 이것저것 옵션을 달아 강화했다고 보면 된다.

이것을 관리하는 곳이 해양수산부와 시,도지사이며, 대한민국에는 지역별로 지방해양수산청이 나뉘어져 있다. 종전에는 "지방해양항만청"이라 하였으나, 2015년 1월 6일 "지방해양수산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법령에 "지방해양항만청"이라고 표현된 곳이 많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2. 구분 및 지정[편집]


항만법 제3조(항만의 구분 및 지정) ① 해양수산부장관은 항만을 다음 각 호의 항(港)으로 구분하여 지정하되, 그 명칭·위치 및 구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1. 무역항
2. 연안항
② 해양수산부장관은 무역항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운영하기 위하여 수출입 화물량, 개발계획 및 지역균형발전 등을 고려하여 다음 각 호에 따라 대통령령으로 세분할 수 있다.
1. 국가관리무역항 : 국내외 육·해상운송망의 거점으로서 광역권의 배후화물을 처리하거나 주요 기간산업 지원 등으로 국가의 이해에 중대한 관계를 가지는 항만
2. 지방관리무역항 : 지역별 육·해상운송망의 거점으로서 지역산업에 필요한 화물처리를 주목적으로 하는 항만
③ 해양수산부장관은 연안항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운영하기 위하여 지역의 여건 및 특성, 항만기능 등을 고려하여 다음 각 호에 따라 대통령령으로 세분할 수 있다.
1. 국가관리연안항: 국가안보 또는 영해관리에 중요하거나 기상악화 등 유사시 선박의 대피를 주목적으로 하는 항만
2. 지방관리연안항: 지역산업에 필요한 화물의 처리, 여객의 수송 등 편익 도모, 관광 활성화 지원을 주목적으로 하는 항만
④ 국가는 국가관리연안항의 개발을 우선적으로 지원하여야 한다.


2.1. 무역항[편집]


국민경제와 공공의 이해(利害)에 밀접한 관계가 있고 주로 외항선이 입항·출항하는 항구(항만법 제2조 제2호)를 이른다.

광역권의 배후 화물을 처리하거나 주요기간산업지원 등으로 국가 혹은 각 지방의 이해에 중대한 이익을 가진다.

쉽게 말하면 항구 중에서 중요한 게 항만이고, 이 항만 중에서도 매우 중요한 항만이면서 외국과 교역하면 무역항이다.

관리주체에 따라 국가관리무역항과 지방관리무역항으로 분류된다.



2.2. 연안항[편집]


주로 국내항 간을 운항하는 선박이 입항·출항하는 항구(항만법 제2조 제3호).

쉽게 말하면 국내용으로만 쓰이는 항만을 연안항으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국가관리연안항은 안보나 영해 관리, 기상악화 등 긴급상황시 대피에 주로 쓰인다.

지방관리연안항은 지역산업에 필요한 화물, 여객의 처리에 주로 쓰인다.



3. 대한민국의 항만[편집]







4. 북한의 항만[편집]






서해갑문 · 남포항 · 원산항 · 청진항 · 해주항 · 흥남항 · 라진항이 알려져있다.


5. 외국의 항만[편집]



6. 감시 체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항만감시체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기타[편집]


  • 울산항만공사에서 잘 정리한 글이 있다. 본문보다 상세하고 정확하니 유의할 것. 정리글

  • 중국 회사가 전세계 항만 크레인과 장비 시장의 70% 차지하고 있다.#

[각주]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6:07:48에 나무위키 항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