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군수사령부

덤프버전 :





해군군수사령부
海軍軍需司令部
Naval Logistics Command
파일:해군군수사.png
전승을 보장하는 완벽한 군수지원
창설일
1974년 7월 1일 (49주년)
상징명칭
해군사, 군수사
소속
대한민국 해군
상급부대
해군본부
종류
기능사령부
역할
해군의 군수 지원 및 관리 관장
사령관
안상민 소장 (해사 46기)
참모장
정동석 대령 (학사사관 87기)
위치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진해기지





1. 개요
2. 연혁
4. 조직
4.1. 정비창
4.2. 보급창
4.3. 병기탄약창
4.4. 정보통신전대
4.5. 함정기술연구소
5. 출신 인물
6. 기타



1. 개요[편집]


해군군수사령부령

제1조(설치와 임무) ①해군에 해군군수사령부(이하 "군수사령부"라 한다)를 둔다.

②군수사령부는 해군의 군수의 지원 및 관리에 관한 사항을 관장한다.


해군 군수사령부는 수상함·잠수함 및 항공기 정비에서부터 탄약·유류·군수물자의 조달 및 지원 등 군수 업무를 총괄 하는 해군본부 예하 사령부이다.

예하 부대로는 정비창, 보급창, 병기탄약창, 함정기술연구소 등이 있다. 사령부와 예하부대 모두 창원시 진해구 진해기지에 위치해 있다.


2. 연혁[편집]




3. 사령관[편집]



파일:해군군수사.png
대한민국 해군
해군군수사령부 사령관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3399> 파일:external/flagspot.net/kr~n2.gif ||
||<width=20%> 초대
김형진 ||<width=20%> 2대
정진석 ||<width=20%> 3대
정병예 ||<width=20%> 4대
최득림 ||<width=20%> 5대
민병섭 ||
|| 6대
박연용 || 7대
김무웅 || 8대
김태일 || 9대
최낙성 || 10대
박광용 ||
|| 11대
한인호 || 12대
한광수 || 13대
박정성 || 14대
이상필 || 15대
정병철 ||
|| 16대
송정목 || 17대
이성식 || 18대
우상준 || 19대
윤재갑 || 20대
임종철 ||
|| 21대
박찬석 || 22대
김진형 || 23대
이병권 || 24대
박성배 || 25대
박헌수 ||
|| 26대
박노천 || || || || ||
||<-5><bgcolor=#000080>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사령관은 함정병과 소장으로, 보통 퇴역을 2년정도 앞둔 소장이 임명된다.[1]

역대 해군군수사령관[2][3]

이름
계급
임관
재임기간
비고
초대
김형진
예) 중장
해사 00기
1986.2.1~1987.9.7
사령관
2대
정진석
예) 소장
해사 00기
1987.9.8~1989.1.11
사령관
3대
정병예
예) 소장
해사 00기
1989.1.12~1990.1.7
사령관
4대
최득림
예) 소장
해사 00기
1990.1.7~1991.12.20
사령관
5대
민병섭
예) 소장
해사 00기
1991.12.20~1993.6.7
사령관
6대
박연용
예) 소장
해사 00기
1993.6.7~1993.9.7
사령관
7대
김철웅
예) 소장
해사 19기
1993.11.1~1996.4.19
사령관
8대
김태일
예) 소장
해사 22기
1996.4.19~1997.4.24
사령관
9대
최낙성
예) 소장
해사 20기
1997.4.24~1999.1.29
사령관
10대
박광용
예) 소장
해사 00기
1999.4.8~1999.11.24
사령관
11대
한인호
예) 소장
해사 00기
1999.11.25~2001.4.25
사령관
12대
한광수
예) 소장
해사 24기
2001.4.25~2003.1.29
사령관
13대
박정성
예) 소장
해사 00기
2003.4.21~2004.4.30
사령관
14대
이상필
예) 소장
해사 00기
2004.7.5~2005.4.13
사령관
15대
정병칠
예) 소장
해사 28기
2005.5.6~2006.12.28
前 2함대사령관
16대
손정목[4]
예) 중장
해사 32기
2006.12.28~2008.4.7
40대 해군참모차장
17대
이성식
예) 소장
해사 30기
2008.4.7~2009.11.27
사령관
18대
우상준
예) 소장
해사 31기
2010.12.21~2011.6.28
사령관
19대
윤재갑
예) 소장
해사 32기
2010.12.21~2011.6.28
국회의원(21대)
20대
임종철
예) 소장
해사 00기
2011.6.28~2013.11.14
사령관
21대
박찬석
예) 소장
해사 35기
2013.11.15~2015.4.14
사령관
22대
김진형
예) 소장
해사 36기
2015.4.14~2016.4.29
사령관
23대
이병권
예) 소장
해사 37기
2016.4.29~2018.1.3
사령관
24대
박성배
예) 소장
해사 38기
2018.1.3~2018.9.3
사령관
25대
박헌수
예) 소장
해사 39기
2018.12.4~2019.5.31
사령관
26대
박노천
예) 소장
해사 41기
2019.5.31~2021.11.30
사령관
27대
이상훈
소장
해사 42기
2021.12.1~2022.6
사령관
28대
정일식
소장
해사 43기
2022.6~2023.11
사령관
29대
안상민
소장
해사 46기
2023.11~
사령관

4. 조직[편집]


파일:img_organ_chart.jpg

한때 경기도 지역에 제2보급창(분창)을 두고 있었으나, 2008년 제2함대에 줘버려서 현재는 2함대 보급창으로 바뀌어 군수사 소속이 아니다.


4.1. 정비창[편집]


파일:external/2274fc649032118c7ba03e55eb4b97d49e75a130b37d1c1e22cf722013c49e2e.jpg
해군 정비창 추진체계공장에서 함정 장비를 정비하고 있는 전기 군무원(서지정 주무관)

파일:faa75d60c01737cc9d50f69a1b132202.jpg
파일:39cb00c21d9f4d2e6f3ce863a06dba42.jpg
창본부 공무처에서 근무하는 군무원, 신형 정비복을 착용하고 있다.
현재는 노란색 안전모가 모두 흰색으로 교체됐다.

주로 함정의 수리를 담당하는 부대(군 책임운영기관)이다. 정비창장은 2급 군무원(임기제)이 보임된다. 23년 2월 1일부로 최헌식 군무이사관이 제42대 정비창장을 역임하고 있다. 해군사관학교 45기로 군수사령부 참모장을 끝으로 예비역 대령으로 예편하면서, 군무원으로 군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인원이 많은 부대인 만큼 고위직 군무원이 많다. 4급(서기관) 이상은 대부분 7급(공채/특채) 출신이며, 특히 3급(부이사관) 군무원은 머릿수가 많은 함정기관과 전기 군무원이 자리하고 있다.

군무원이 현역 군인보다 더 많은 부대인데, 함정을 수리하기 위해서는 전문지식을 알아야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근무지 이동이 잦은 현역보다 군무원이 더 많다. 2022년 기준 정비창 인원 1200여명 중 현역은 20명도 채 되지 않는다. 현재 정비창 내의 현역 편제를 군무원으로 변경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어 향후에는 더 줄어들 전망이다.

정비창의 기술직 군무원 중 4명을 선발하여 청해부대(소말리아 해역 호송전대)에 파병을 보낸다. 주요 기술직렬인 함정기관과 전기, 그리고 전자, 유도무기 군무원이 약 6개월간 청해부대에 지원요원으로 파병을 가고 있다. 보통 7급 이상의 숙련자를 선발한다. 청해부대 외에도 RIMPAC(환태평양군사훈련) 등의 훈련에도 정비창 군무원이 동행하기도 한다.

해양경찰 함정도 정비창 군무원들이 수리를 한다. 정비창 건선거나 부두에 수리를 들어온 해경 함정이 자주 보인다.

정비창의 차량직 군무원은 차량 정비와 전혀 동떨어진 업무를 하기도 한다. 운송직장의 크레인운용팀이 대표적이다. 각 건선거의 대형 크레인은 현재 차량직 군무원이 운용 중이다. 고소공포증이 없어야하며 함정 상/하가 시에는 이른 새벽이나 야간, 주말 근무도 잦은 편이다.

정비창의 선거직 군무원은 건선거 업무 외에도 운송, 의장 업무를 하는 팀도 있다.

정비창에는 군무원의 직무 교육을 담당하는 창정비연수원이 있다. 기술직렬 군무원(함정기관, 전기, 유도무기 등)들이 교관을 맡고 있다. 자체 제작한 교재도 있다. 9급 신규 임용자들의 초급 교육과 8급 군무원의 중급 교육, 그리고 7급 이상 군무원들의 고급 교육을 하고 있다. 공군이나 해양경찰 등 해군 외의 인원들도 가끔 교육을 들으러 온다. 이외에도 정비팀장 과정, 기술행정 직무과정 등 다양한 과정이 개설되어있다.


정비창의 건선거(dry dock)


4.2. 보급창[편집]


파일:external/www.shipbuilding.or.kr/Navy1.gif

해군의 모든 피복, 수리물자, 급식, 유류 등등을 보급하는 부대이다. 보급창장은 보급병과 대령이 임명된다. [5]

수병들 중 대다수가 1차로 발령 온 운전병들과 1차 혹은 2차로 발령을 온 보급병들로, 일부 갑판병들이 행정병 및 보급병 역할을, 조리병들이 식품 가공 등의 일을 하러 2차 발령을 오기도 한다(조리병은 운전병 생활관에 거주하며 자기 생활관 밥만 하지 급양대의 반가공공장일은 전적으로 군무원 이모들이 하고 어쩌다 일이 바쁘면 급양대 소속 보급병들이 도와줬지 평소엔 급양대에 갈일도 없는 조리병이 할리가 없다) 물자를 이송할 수 없는 부대에 보급창 택배[6]로 물자이송을 한다. 진기사 소속 경계헌병들이 파견 형식으로 부대에 배정되어 타직별 수병들과 같은 생활관에서 함께 생활하고 전역 또한 보급창에서 한다.

보급병들은 피복, 급양, 택배, 유류 등등 다양한 곳에서 근무할 수 있는데, 급양와 택배에서는 무거운 물자들을 관리하고 수송을 위해 적재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노가다성이 짖고, 유류에서는 기름을 관리하고 수불을 해야하기 때문에 항시 몸에 기름 냄새가 가득이다. 유류 쪽은 함정에서 추기나 갑판 등에서 근무하던 수병들이 2차발령을 많이 온다.

부대 특성 상 관할하는 창고와 장비들이 진해기지 전체에 나누어져 있다. 따라서 자신이 근무하는 부서의 위치에 따라 수병들의 생활관이 3개로 나누어져 있는데 , 그 사이의 거리가 만만치 않아 부대 내 공식행사가 아니면 타 생활관 수병들 간 교류가 적어 같은 부대 수병임에도 불구하고 얼굴도 잘 모를 수 있다.

운전병들은 물자를 다루는 부대 특성 상 대형, 일반, 중장비 직별 상관없이 대형 화물차량을 몰아야 될 확률이 매우 높다. 1톤 포터와 2.5톤 마이티에서 시작하여 5톤 메가트럭, 노부스 9.5톤 트라고, 14톤 엑시언트 등등 갖가지 화물차들이 기다리고 있다. 어느 정도 운전실력이 검증되고 위험물운송자 교육을 받으면 유조차를 몰 수도 있는데 최대 16,000리터 유조차를 몰 수도 있다. 폐물자 관리를 위한 집게차도 있어 인형뽑기의 달인이 될 수도 있다.

보급창 물자지원대 소속 피복판매병은 보급창 건물 내 피복판매소에서 근무한다. 피복판매소의 편제는 피복판매소장(상,원사급)과 5명의 수병으로 구성된다. 피복판매소에서는 간부 피복의 판매 뿐만이 아니라, 수병 보충피복 및 전역자 피복의 지급도 담당하고 있다.


4.3. 병기탄약창[편집]


파일:external/kookbang.dema.mil.kr/YA_NP_20140304_00808701.jpg
SM-2를 함정에 적재하고 있는 해군 군수사령부 병기탄약창 적·하역 팀원들
해군의 유도탄, 어뢰를 포함한 탄약 보급 및 병기 수리, 함정에 적하역, 폭발물 처리, 함정 소자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부대이다. 병탄창장은 병기병과 대령이 임명된다.

진해병탄창 같은 경우에는 탄약병기, 유도탄(미사일) 및 어뢰 등을 입고받거나 해군해병대 전 부대에 탄약, 병기, 유도탄(미사일), 어뢰 등을 불출하는 것이 주 업무인데, 특히 탄약같은 경우에는 5인치(127mm)용 대형포탄부터 해서 5.56mm 소형탄 외 다가이(함정기만탄) 및 조명탄 등도 취급을 한다. 대형 포탄들은 지게차가 들고 내리고 하지만 5.56mm 같은 소형탄 및 '사람이 들 수 있겠다 싶은 소형탄(근데 이러한 부류의 탄약들이 탄약창 재고의 70%이상을 차지하며, 5.56mm 및 7.62mm 같은 소형탄들은 낱개로 되어 있는 게 아니라 박스에 담겨있는데 이게 30kg 이상이라는 게 함정이다.) 및 특수탄(다가이 등 조명탄)들은 사람의 힘으로 들어야 하므로 탄약 적재 작업 및 하역 작업이 노가다이다. 유도탄(미사일)이나 어뢰 적, 하역 작업도 역시 크레인이 알아서 적재 및 하역을 하지만 자칫하면 들어올리다 떨구게 되면 폭발하게 되는 인명사고가 일어나는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항상 긴장을 해야한다.

해군 병기병이 2차 발령지로 많이 오는 부대이지만, 위처럼 업무가 워낙 많은 곳이라 병기병들이 많이 기피하는 부대이기도 하다. 00년대에서 10년대 초반에는 '병기병들의 무덤' 및 '지옥창'으로 악명이 높았다. 일도 일대로 힘들지만, '지옥창'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09년 ~ 10년 기준으로 해서 말하면, 해군 타 부대에 비해 수병들 간에 군기가 쎈 축에 속하며, '츄라이'[7]이하 일,이,상병들은 열외 병장들이나 츄라이들의 눈치를 보며 항상 빵꾸내지 않도록 긴장하며 생활해야했으며, 똘끼충만(?)한 열외병장들에게 사소한 점이라도 찍히는 순간 열외병장들은 츄라이를 닦는 데 이 때 츄라이는 밑의 일,이, 상병들을 닦는 식으로 내리갈굼도 있다. 보통 상병 말호봉에 츄라이를 달고 병장 1호봉 초반이 지나면 차기수에게 츄라이 업무 인계하고 열외를 하게된다.

츄라이가 되는 순간 생활관 내 사역[8]에서 열외에다 권력이 생기고, 집합을 걸 수 있는 권한이 생긴다. 다만 열외병장들이 츄라이들과 얘기를 하거나 요구하는 것이 많다보니 츄라이 때가 몸은 편하지만 정신적으로 가장 고달플 때이다. 열외는 보통 4기수(4달) 윗 선임이 열외병장들끼리 회의를 열어 다른 열외병장들의 동의가 있어야 열외를 시켜주는 데 츄라이 때 열외를 시켜줄 기수에게 얼마나 잘 보이는 가에 따라 병장 달자마자 얼마 안 돼서 열외하는 경우가 있고 열외 기수(4기수 윗 선임)에게 잘 못 찍히거나 열외 기수가 똘기충만일 경우 병장 2호봉 되기 직전에 열외하는 경우가 있다. 열외하는 날짜는 생활반장이 열외하기 몇 일 전에 생활관 수병들에게 공지를 하며, 공지하고 난 후 다음 날부터 차기수에게 츄라이 업무를 인계하기 시작한다. 이 때 열외 기수(4기수 윗 선임)에게 열외를 시켜줘 감사하다는 의미로 통닭을 사주는 전통이 있다.[9] 진짜 열외를 하게 되면 생활관 수병들 앞에서 열외 신고를 하게 되는데, 열외 신고하는 순간 정말 기분이 째진다. 열외를 하는 순간 생활관 내에서의 모든 갈굼사역에서 완전히 열외이며, 제대할 때까지 안락한 생활이 보장이된다. 선임들도 후임이 열외가 되면 인정하고 존중해주기에 병탄창 수병들에게 있어 제대하기 이 전의 중간 목표(?)가 열외이기도 하다.

2014년 기준으로 명예생활반 선정 등 대대적인 개혁으로 인하여 많이 개선이 되었다고 하며, 출처 육군 제22보병사단 총기난사 사건제28보병사단 의무병 살인사건을 거치며 혁신차 병영문화 혁신을 시작했으며 2016년 들어 위에 언급한 문화는 사라졌다고 한다.

운전병이 병기탄약창으로 가게 되면 9.5톤 이상 카고 화물차에 폭발물 표지를 달고 무기들을 운송하거나, 지게차로 무기들을 이동, 적재하게 된다.



4.4. 정보통신전대[편집]


파일:external/www.knnews.co.kr/20100517.01010110000003.01L.jpg
해군 재진지역(진해 내의 해군부대)의 전산망과 지휘통제·전투체계 및 자원관리를 담당하는 부대로, 국방개혁 2020 계획에 따라 2007년 12월 1일 진해 지역 안의 모든 해군 정보통신 부대를 모아 군수사령부 예하 "정보통신전대"로 통합하였다. 2022년 초 정통전대 일부를 진기사 예하로 보내고 정보통신대로 축소할 예정.


4.5. 함정기술연구소[편집]


함정 및 해상 무기체계의 군직 정비능력 확충을 위해 정비창 기술연구소로 1999년 창설된 함정기술연구소는, 2014년 군수사령부 예하부대로 격상되어 함정의 수명주기 동안 발생하는 다양한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함정에 적용 가능한 신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 연구 업무를 하는 보직에 함정기관이나 전기, 전자 등의 기술직 군무원들이 배치된다.
출처


5. 출신 인물[편집]


예비역 복무자만 작성.


6. 기타[편집]


  • 부대 특성상 보급, 병기, 조리 등의 인원이 많다.
  • 보급창 브랜드 치킨 파도닭이 있다.[10][11]
  • 정비창 내에는 GS25국군복지단에서 운영하는 WA마트가 있다. WA마트는 항상 사람이 많아서 늦게 가면 살 게 없을 정도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8:19:14에 나무위키 해군군수사령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6대 사령관 손정목 제독처럼 예외도 있다.[2] 볼드로 강조된 이름은 대장 진급이 된 사령관[3] 소장 전역자 명단[4] 해군군수사령관중장진급이 안되어 전역을 앞둔 소장제독이 군 생활의 종착점으로 보임되는 보직인데 이 분은 특이하게 해군사관학교 생도대장 역임 후 소장으로 진급하여 바로 군수사령관을 역임하였다. 이후 해군전력기획참모부장을 거쳐 역대 해군군수사령관들 중에서 유이하게 중장으로 진급하였다. 중장 진급 후 해군교육사령관해군사관학교장, 해군참모차장 등의 보직을 역임한 후 예편하였다.[5] 딱 한번 대령으로 예편한 보급창장 출신 전문계약'가'급 군무원이 창장을 역임한 적이 있었다. 두번이나 보급창장직을 역임한 셈.[6] 1,5,14톤 트럭에 가득 실어 물자를 배송한다.[7] 해군에서는 '식판'을 '츄라이'라고 부르는 데 츄라이라고 불리는 이유가 츄라이가 되는 순간 '중간관리티오'로서 열외 선임들에게 너무 닦이기 때문에 '츄라이'라고 불린다. 뷰티풀 군바리의 '챙이+받데기'라고 보면된다.[8] 하지만 츄라이들도 생활반장이나 열외병장에게 찍히면, 화장실 청소 및 식사 뒷처리 당번 등 사역에 나가는 경우도 있다.[9] 부대 외부에서 통닭을 시키는 데 이 통닭 집은 09년 ~ 10년 기준으로 병탄창 수병들이 단골로 배달을 시키는 곳이다.[10] 큰 통에 많은 양이 들어있다.[11] 후라이드부터 치킨 바베큐, 돼지바비큐등 다양한 메뉴가 있으며, 파도닭 전용 이동식 조리차량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