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모수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부여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모수왕
부루왕
금와왕
대소왕
해두국
갈사국
말대
초대
제2대
제3대
해두왕
갈사왕 1세
갈사왕 2세
도두왕
중국사서
초대
시조
계보 미상
칭왕 초대
영품리왕
동명왕
부여왕
계보 미상
초대
제2대
제3대
시왕
부태왕
위구태왕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간위거왕
마여왕
의려왕
의라왕
제8대
제9대
계보 미상
말대
현왕
울왕
잔왕
졸본부여
말대
말대
연타발
추모성왕
남부여
문헌상 언급
두막루
초대
왕족
수령
성왕
위거
낙개제






해모수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부여 초대 군주
모수왕 | 慕漱王


파일:해모수.png

동명왕릉 능문 제당에 그려진 해모수 벽화.
출생
연대 미상
부여
사망
연대 미상
북부여
능묘
미상
재위기간
초대 군주
기원전 59년 ~ ?[1]

[ 펼치기 · 접기 ]
성씨
해(解)

모수(慕漱)
부왕
천제 / 상제
왕후
유화부인
자녀
해부루, 고주몽
별호
태자(太子)
천왕랑(天王郞)
천제(天帝)
황천(皇天)
시조(始祖)
단군(壇君)


1. 개요
2. 관련 기록
3. 대중매체에서
3.1. DC코믹스
4. 여담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漢神雀三年 孟夏斗立巳

한나라 신작 3년, 첫여름 북두가 사방(巳方)을 향해 비추고

海東解慕漱 眞是天之子

해동의 해모수가 오셨으니 진실로 천제의 아드님이시로다

동국이상국집 동명왕편

한국 신화의 등장인물. 그러나 당대의 기록인 위서(魏書)나 광개토왕릉비, 모두루 묘지명 등에서는 해모수라는 이름이 나오지 않는다.

북부여를 건국한 부여의 시조이며 동시에 동부여의 시조인 해부루고구려의 시조인 동명성왕의 아버지라고 한다.

일각에서는 백제의 대성팔족 중 하나인 해씨 가문에서 부여계인 가문의 정통성과 권위를 확보하기 위해 가공한 인물이라는 주장도 있다.

2. 관련 기록[편집]


옛 기록(古記)에 이르기를 “≪전한서≫에 선제(宣帝) 신작(神爵) 3년 임술(壬戌) 4월 8일 천제(天帝)[2]

가 다섯 마리 용이 끄는 수레(五龍車)를 타고 흘승골성(訖升骨城) 요나라(大遼) 의주(醫州) 지역에 있다.에 내려와서 도읍을 정하고 왕을 일컬어 나라 이름을 북부여(北扶餘)라 하고 자칭 이름을 해모수(解慕漱)라 하였다. 아들을 낳아 이름을 부루(扶婁)라 하고 해(解)로써 씨를 삼았다. 그 후 왕은 상제의 명령에 따라 동부여로 도읍을 옮기게 되고 동명제(東明帝)가 북부여를 이어 일어나 졸본주(卒本州)에 도읍을 세우고 졸본부여가 되었으니 곧 고구려(高句麗)의 시조이다. 아래에 나타난다”라고 하였다.

삼국유사권 제1 <기이(紀異)> 북부여조

그러나 실제 《한서》에는 저런 내용이 없다. 추가적으로 《삼국사기》에서 동명성왕의 탄생년도는 기원전 58년으로, 해모수가 강림한 기원전 59년의 이듬해이기 때문에 이를 동명성왕이 수태된 년도로 해석하는 경향도 있다.


북부여왕 해부루(解夫婁)의 재상 아란불(阿蘭弗)의 꿈에 천제(天帝)가 내려와서 이르기를, 장차 내 자손을 시켜 이곳에 나라를 세우려 하니, 너는 이 곳을 피해가거라, 동명(東明)이 장차 일어날 조짐을 이른다,, 동해의 물가에 가섭원(迦葉原)이란 곳이 있는데, 땅이 기름지니 왕도를 세울 만하다고 하였다. 아란불은 왕에게 권하여 그곳으로 도읍을 옮기니, 국호를 동부여(東扶餘)라 하였다.

《삼국유사》 권 제1 <기이(紀異)> 동부여조


《단군기(檀君記)》에는 "단군(檀君)이 서하(西河)의 하백(河伯)의 딸과 친하여 아들을 낳아서 부루(夫婁)라고 이름했다"고 했다. 지금 이 기록을 상고해 보면 해모수(解慕漱)가 하백(河伯)의 딸과 사사로이 통해서 주몽(朱蒙)을 낳았다고 했다. 《단군기(檀君記)》에는, "아들을 낳아 이름을 부루(夫婁)라고 했다" 했으니 그렇다면, 부루(夫婁)와 주몽(朱蒙)은 배다른 형제일 것이다.

북부여왕 해부루가 먼저 피해 간 땅이 동부여이다.

《삼국유사》 권 제1 <기이(紀異)> 고구려조


천제(天帝)가 태자를 보내어 부여(扶餘) 고도(古都)에 내리어 놀게 하니, 이름이 해모수(解慕漱)이다. (해모수가) 하늘로부터 내려오는데 오룡거(五龍車, 5마리의 용이 끄는 수레)를 타고, 종자(從者) 100여 인은 모두 백곡(白鵠, 흰 고니)을 탔는데, 채색 구름이 그 위에 뜨고 음악 소리가 구름 가운데에서 울렸다. 웅심산(熊心山)에서 머물러 10여 일을 지내고 비로소 내려왔다. 머리에는 오우(烏羽)의 관(冠)을 쓰고, 허리에는 용광검(龍光劍)을 찼는데, 아침이면 일을 보고 저녁이면 하늘로 올라가니, 세상에서 이르기를 '천왕랑(天王郞)'이라 하였다.

조선왕조실록》 <평양부>편

이후에 하백의 세 딸 중 유화정을 통해 결혼하고자 했으며, 하백과 재주를 겨루어 승리했다. 하백이 잉어로 변하자 수달로 변해잡고, 사슴에는 승냥이로, 에는 가 되어 내리쳤다고 <동명왕>편에 묘사되었다. 그런데 해모수가 혼자 승천해버려서 가문을 욕되게 하였다고 화가 난 하백유화를 추방한다.

어떤 기록에서는 천제(天帝) 본인이기도 하고 어떤 기록에서는 천제(天帝)의 아들이라고 되어 있는데 대부분의 기록에서는 천제의 아들이라고 되어 있다. 어느 쪽이든 신적인 존재로 여겨진 듯하며, 고구려부여 일대에서 시조신으로 모셔진 것으로 보인다. 고려 말기나 조선 초기의 기록에서는 단군과 동일시되어서 《삼국유사》 <왕력>편에는 해부루를 단군의 장남, 동명성왕단군의 차남이라고 기록했다. 보통 이 부분은 별로 신경 안 쓰고 있다.

아침에 왔다가 저녁에 간다든가, 유화부인이 햇빛으로 임신 / 혹은 임신 중에 햇빛이 배를 비추는 상황, 오룡거를 몰고 다닌다든가 하는 것에서 태양신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사실 《속일본기》 엔랴쿠 8년에 백제인들이 직접 전한 백제 부여씨 왕실의 출자에 "백제의 원조(遠祖)인 도모왕(都慕王)은 하백의 딸이 해의 정기에 감응하여 태어났는데, 황태후는 곧 그의 후손이다."라는 대목으로 적혀있는데 이건 빼도 박도 못한다. 《위서》에서도 子, 河伯外孫이라고 명확하게 나와있다.[3][4]

다산 정약용은 《아방강역고》에서 해모수를 부여의 시조인 동명왕과 동일 인물로 보았다. 해모수는 신화적 존재에 가까우므로 부여의 동명왕을 모델로 만들어진 가공의 인물일 가능성이 있다.

3. 대중매체에서[편집]




3.1. DC코믹스[편집]


파일:haemusu dc.png

New52 슈퍼맨 #45에서 첫등장. 한국의 태양신으로 나온다. 힘을 잃은 슈퍼맨이 돈을 벌기 위해 마이너한 신들과 싸우는 검투장에서 만나게 된다. 슈퍼맨이 관전하는 가운데 필리핀 신화의 태양신 아포라키와 붙어서 이긴다

파일:haemosu dc2.jpg

검투장에서 만난 이후에는 같이 바에 들어가 소주를 마신다. 슈퍼맨 #45, 46, 47, 49와 액션 코믹스 #50에서 등장한 것 말고는 크게 비중이 없는 신이다. 첫번째 컷 벽을 보면 정지라는 한글이 보인다.


4. 여담[편집]


  • KG모빌리티가 쌍용자동차 시절 1세대 렉스턴을 개발할 때 출시 직전까지 렉스턴하고 이 인물의 이름과 경쟁을 벌였으나, 마지막에 차량의 이미지와 맞지 않다는 이유로 제외되었다고 한다.


5. 관련 문서[편집]



6.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천제

하백






























해모수

유화






























부여/왕사

1대
추모성왕
































2대
유리명왕

비류

온조
백제/왕사


























고도절

고해명

왕녀

3대
대무신왕

4대
민중왕

고여진


























고호동

5대
모본왕

고재사


























고익





6대
태조대왕


























7대
차대왕

고막근

고막덕

8대
신대왕

고인고
























고추안

9대
고국천왕

고발기

10대
산상왕

고계수




























고박위거

11대
동천왕




























12대
중천왕

고예물

고사구
























13대
서천왕

고달가

고일우

고소발

공주
























14대
봉상왕

고돌고
































15대
미천왕
































16대
고국원왕

고무

고림




























17대
소수림왕

18대
고국양왕






























고강

19대
광개토태왕
































20대
장수태왕





고익


























고조다

고승우

공주

고승천


























21대
문자명태왕
































22대
안장태왕

23대
안원태왕

고안학






























24대
양원태왕

왕자






























25대
평원태왕






























26대
영양태왕

27대
영류태왕

평강공주

대양왕




























고환권



28대
보장태왕
























고복남

고임무

고덕남

고덕무

공주
































부흥
보덕왕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23:36:40에 나무위키 해모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삼국유사[2] 고구려조에서는 제(帝) 뒤에 자(子) 자가 있다.[3] 심지어 일각에서는 부여인들의 대표 성씨인 해씨(解)가 순우리말 (태양)을 음차한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한자 解(해)의 상고한어 재구음 /*kreːʔ/로 발음되었고 후기 상고음에선 *kai, *ke로 발음되었고 전기 중고음으로는 *kai, *ke, *hai, *he 등으로 발음되었다. 상고음이 아닌 후기 상고음과 전기 중고음으로 대응시 '해[日\]'의 중세 어형 'ᄒᆡ'는 음운적 유사성이 없지는 않다. 상고음만을 기준으로 해(태양)의 중세 한국어의 어형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견해는 단견일 수가 있다. 삼국사기 등에 나오는 표기 등이 실제 상고음으로만 적혔다는 보장은 없고 후기 상고음이나 전기 중고음으로 적혔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4] 고구려/부여에 관련해서 해(解)씨 표기가 처음 등장한 것은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이므로, 고려시대 당시 발음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동국정운》에 따르면 조선 초 '해(解)'의 발음은 'ᅘᅢᆼ〯'로, '해(日)'의 중세 한국어 형태인 'ᄒᆡ〮'와는 발음과 성조에 다소 차이가 있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