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서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황해도에 대한 내용은 황해도 문서
황해도번 문단을
황해도# 부분을
, 다음 만화속세상 웹툰에 대한 내용은 해서(만화) 문서
해서(만화)번 문단을
#s-번 문단을
해서(만화)# 부분을
# 부분을
, 명나라의 인물에 대한 내용은 해서(명나라) 문서
해서(명나라)번 문단을
#s-번 문단을
해서(명나라)#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자
[ 펼치기 · 닫기 ]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표준자형) · 간체자 · 신자체(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 학년별한자배당표 · 통용규범한자표) ·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인명용 한자표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 한어병음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일본 한자음 · 상고음 · 중고음 · 양안 간의 독음 · 광동어 정음 운동 · 문백이독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나라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한한대사전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가나(히라가나 · 가타카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방언자 · 쯔놈 · 고장자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입력 · 검색
중국어/입력기 · 창힐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한자




1. 개요
2. 여담


1. 개요[편집]


왕희지 - 황정경(黃庭經)

파일:attachment/해서/example1.jpg


해서()는 한자 서체의 일종이다. 사람들에게 가장 익숙한 한자의 모양이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서체이기 때문에 정체(正體)라고도 한다. 이 서체를 구사한 유명한 서예가로는 당나라 때의 구양순, 안진경 등이 있다.

우리가 아는 한자의 모양이 시작된 것은 해서 그 이전에 쓰인 진나라(秦) 서체 예서(隸書)부터이다. 진나라 때 만들어진 예서가 널리 사용된 것은 한나라(전한) 때부터다. 예서가 발생한 것은 진시황 때의 정막이라는 사람에 의해서라고 알려져있기는 하나 당대에는 진시황의 명령으로 전서, 그중에서도 대전을 간략화 시킨 소전(小篆), 즉 전서를 국가의 통일 서체로 삼고 있었다. 예서 항목에도 쓰여있지만 정막이 감옥에 간 이유가 국가 통일서체인 소전을 안 쓰고 자기가 만든 예서를 써서라는 설이 있을 정도.

예서는 지금 기준으로 보면 상당히 옆으로 퍼져있다. 달리 말하면 해서는 그냥 예서가 세로로 퍼진 형태라고도 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들어가면 명확하게 차이가 있다. 가령 역입-장봉의 원칙은 유지하되 운필과 형태에는 차이가 있는 식이다. 가로로 납작한 예서가 표준이고 예서를 세로로 길게 늘린 게 해서라는 표현이 맞는데 이는 예서가 개발된 시기의 상황때문이다. 예서가 나타난 전한 시대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나무에서 추출한 섬유로 만든 종이 자체가 없었고 기록물은 아주 중요한 기록은 비단에, 그렇지 않은 일반 기록은 죽간에 글씨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당시엔 비단은 당연히 고가품이고, 죽간이라 하더라도 대량생산이 쉽지 않기 때문에[1]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 정보를 수록하려면 좁은 공간에 글자를 구겨넣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당시는 세로쓰기가 표준이라 당연히 글자의 높이를 찌그러트려서 많은 글자를 기록할 공간을 확보해야 했던 것. 현대의 가로쓰기에서 한줄에 최대한 글자를 욱여넣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장평을 세로로 길쭉하게 조정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보면 된다.

그러다가 종이가 발명되어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고 기록용지의 생산단가가 비약적으로 내려가면서 균형잡힌 글자체인 행서, 해서가 나오게 됐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해서는 예서와 완전히 동떨어진 새로운 서체라기보단 이전부터 사용해오던 예서를 세월이 지나며 발전하고 변형시킨 거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측(점), 늑(가로획), 노(세로획), 즉(갈고리), 책(오른 삐침), 양(긴 왼 삐침), 탁(짧은 삐침), 책(파임)이 기본글자이다. 길 영(永)자에 이 8가지가 전부 나와있다 해서 이것을 영자팔법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해서의 시조는 삼국지연의를 읽어봤거나 코에이 삼국지 게임을 좋아한다면 아주 익숙할 삼국시대 위나라의 관료인 종요로 본다. 이 사람은 종회의 아버지다. 종요의 서체에서 예서가 해서로 변해가는 과도적인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오늘날 우리에게 잘 알려진 정체로서의 해서는 동진시대 왕희지에 의해 정리된 후 육조시대를 거쳐 당나라에 와서 확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육조시대의 해서와 당나라 이후의 해서는 서체의 모양에 차이가 있다. 그래서 당나라 이전의 해서체를 '육조체', 혹은 고형 해서로 유명한 '장맹룡비'를 세운 북위의 이름을 따 '북위체'라고 일컫는 경우도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인 모습의 한자 모양은 당나라 이후의 것이다.


2. 여담[편집]


대한민국에서 널리 알려진 해서체 폰트로 HY해서가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00:33:10에 나무위키 해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죽간에 쓴 글씨가 필요없어지면 긁어서 지우고 재활용하려고 지우개 용도로 칼을 가지고 다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