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닝 폰 트레슈코프

덤프버전 :

파일:나치 독일 국장(화이트).svg 독일 국방군의 장성급 장교

[ 펼치기 · 접기 ]
{#fff 상급대장 ^^OF-9^^[br]{{{-1 ''Generaloberst / General admiral''[br][[파일:Si_4a.png / [[파일:130px-WMacht_Lw_OF9_GenOberst_1945.png
육군
상급대장
한스 폰 젝트 | 쿠르트 폰하머슈타인에크보르트 | 게오르크 린데만 | 베르너 폰 프리치 | 루트비히 베크 |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 | 프리드리히 프롬 | 하인츠 구데리안 | 오이겐 리터 폰 쇼베르트 | 쿠르트 하제 | 에리히 회프너 | 프란츠 할더 | 헤르만 호트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 고트하르트 하인리치 | 알프레트 요들 | 로타르 렌둘릭 | 에르하르트 라우스 | 에버하르트 폰 마켄젠 | 요하네스 프리스너 | 한스 위르겐 폰 아르님 | 에두아르트 디틀 | 카를 힐페르트 | 니콜라우스 폰 팔켄호르스트
공군
상급대장
쿠르트 슈투덴트 | 에른스트 우데트
해군
상급대장
알프레트 잘베히터 | 오스카 쿠메츠 | 한스 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 | 빌헬름 마르샬 | 발터 빌헬름 율리우스 바르체하
병과대장 OF-8
General der Waffengattung / Admiral
파일:Si_4b.png / 파일:200px-WMacht_Lw_OF8_GenWaGtg_h_1945.svg.png / 파일:AA-3A.png

육군
병과대장

보병대장
프란츠 마텐클로트 | 안톤 도슈틀러 | 프리드리히-빌헬름 뮐러 | 쿠르트 폰 티펠슈키르히 | 테오도어 부세 | -한스 크렙스 | 빌헬름 부르크도르프 | 알렉산더 폰 팔켄하우젠 | 디트리히 폰 콜티츠 | 카를 에두아르트 | 카를-하인리히 폰 슈튈프나겔

명예 파울 폰 레토포어베크
기갑대장
핫소 폰 만토이펠 | 발터 벵크 | 빌헬름 리터 폰 토마 | 발터 네링
포병대장
발터 폰 자이틀리츠-쿠르츠바흐 | 헬무트 바이틀링 | 에두아르트 바그너 | 에리히 마르크스 | 에른스트에버하르트 헬
통신대장
에리히 펠기벨 | 알베르트 프라운
산악대장
카를 에글제어 | 프란츠 뵈메
공병대장
발터 쿤체
공군
병과대장
브루노 브로이어공수 | 오이겐 마인들공수 | 울리히 케슬러조종
해군
대장
빌헬름 카나리스 | 오토 칠리악스 | 귄터 뤼첸스
중장 OF-7
Generalleutnant / Vizeadmiral
파일:Si_5a.png / 파일:1256px-WMacht_Lw_OF7_GenLt_h_1945.svg.png / 파일:AA-4A.png

육군
중장
히아친트 그라프 슈트라흐비츠 | 헬무트 폰 판비츠 | 한스 슈파이델 | 오스카 폰 힌덴부르크 | 아돌프 호이징거
아구스틴 무뇨스 그란데스 | 에밀리오 에스테반 인판테스
안드레이 블라소프 | 보리스 시테이폰
공군
중장
발터 베버 | 아돌프 갈란트 | 테오도어 오스터캄프
해군
중장
-
소장 OF-6
Generalmajor / Konteradmiral
파일:Si_6a.png / 파일:200px-WMacht_Lw_OF6_GenMaj01_h_1945.svg.png / 파일:AA-5A.png

육군
소장
발터 도른베르거 | 카를 게프하르트 | 카를 브란트 | 헤닝 폰 트레슈코프 | 하인리히 크라이페 | 한스 오스터 | 오토 에른스트 레머
미하일 스코로두모프 | 이반 코노노프 | 세르게이 부냐첸코
공군
소장
디트리히 펠츠
해군
소장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독일 국방군의 상급대장과 대장, 중장, 소장은 각각 미군의 대장, 중장, 소장, 준장에 상응.
※ 독일 국방군 해군, 즉 크릭스마리네에만 있는 준장 계급은 미군의 대령에 상응
※ 윗 첨자 : 전사

※ 둘러보기
파일:슈츠슈타펠 문장.svg 슈츠슈타펠의 장성급 지휘관







헤닝 폰 트레슈코프
Henning von Tresckow


파일:425px-Bundesarchiv_Bild_146-1976-130-53,_Henning_v._Tresckow.jpg

본명
헤르만 헤닝 카를 로베르트 폰 트레슈코프[1]
Hermann Henning Karl Robert von Tresckow
출생
1901년 1월 10일
프로이센 왕국 마그데부르크
(現 독일 작센안할트 주 마그데부르크)
사망
1944년 7월 21일 (향년 43세)
나치 독일 점령하 폴란드
복무
나치 독일 육군
최종 계급
소장
주요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프랑스 침공
주요 활동
발키리 작전
주요 서훈
철십자 훈장 2등급

1. 개요
2. 생애
5. 각종 매체에서의 등장



1. 개요[편집]



파일:3782170716060334g.jpg

대령 시절의 모습

히틀러춤추는 이슬람 탁발승이다. 그를 제거해야 한다.

- 헤닝 폰 트레슈코프

독일 제국, 나치 독일의 군인.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의 주요 인물.


2. 생애[편집]


아돌프 히틀러에 대해 반감을 품은 인물들이 대부분 귀족 출신이듯 트레슈코프 또한 프로이센의 브란덴부르크에서 태어난 귀족가문의 자제였다. 아버지는 빌헬름 1세의 대관식에도 참여한 프로이센 육군 기병 장군이었으며, 어머니는 프로이센 교육부서의 관료였다.그의 아내는 독일 제국군의 육군 보병대장이었던 에리히 폰 팔켄하인의 딸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는 2차 마른 전투(Battle of the Marne)에서 독일은 패배했지만 공훈을 인정받아 2등급 철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 이후 육군을 잠시 떠났다가 힌덴부르크 원수의 추천으로 다시 복귀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에는 A집단군의 룬트슈테트 (당시)상급대장과 만슈타인 중장의 참모장교로 배속받아 낫질 작전 입안 및 건의, 실행 등을 보좌하였다. 만슈타인 장군의 낫질 작전이 육군최고사령부(OKH)에 의해서 거절되었지만 트레슈코프가 세계 1차대전 시절 9보병연대 동료였던 루돌프 슈문트 대령이 히틀러의 군사고문으로 근무하고 있었기 때문에 트레슈코프가 직접 슈문트에게 작계 내용을 전달하여서 지휘체계를 무시하고 히틀러에게 보고될 수 있었고 결국 승인을 받게 될 수 있었다.

1941~1943년 동안 바르바로사 작전에 투입되어 중부집단군 사령관 보크[2] 육군 원수(이후 클루게 육군 원수로 교체됨)의 참모진에 배속되었다. 나중에는 우크라이나드네프르 강의 수비를 맡는 육군 제442척탄병연대으로 발령받았고 1943년에 육군 제2군단참모장으로 근무하였다.


3.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편집]


트레슈코프는 원래 베르사유 조약을 점점 파기해 나가던 나치당을 열렬히 지지하였다. 하지만 장검의 밤, 블롬베르크-프리치 사건 등을 목도하면서 점차 나치당에 대해 환멸을 느끼기 시작하였다. 이를 알아챈 에르빈 폰 비츨레벤은 트레슈코프가 군대에서 퇴직하려는 것을 말리고 히틀러 암살 계획의 일원으로 초대하였다. 특히나 유대인 대량 학살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았을 때는 히틀러로부터 완전히 마음이 돌아섰으며 당시 중부집단군 사령관이었던 보크에게 중부집단군이 반 히틀러 운동을 주도하자고 권하기도 하였다. 보크 또한 유대인 대량학살과 같은 인종차별적 학살 및 관련 명령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했던 인물로 유명하다. 중부집단군의 참모진들이 트레슈코프를 중심으로 대부분이 반 히틀러 성향을 보이게 되면서 에르빈 폰 비츨레벤, 프리드리히 울브리히트 장군 등의 베를린에 있었던 인물들과 결탁하게 되고 이후의 쿠데타 및 암살작전에 중부집단군 사령부가 주도적인 작전기지가 된다. 대부분이 검은 오케스트라의 멤버이기도 하였다.

동부전선 중부집단군의 보크, 클루게 두 사령관들이 완전한 친-히틀러 성향도 아니고 반-히틀러 성향의 성향도 아닌 중립적인 입장을 항상 견지했기 때문에 트레슈코프 이하의 중부집단군 소속 지휘부 장교들이 히틀러 암살과 관련된 작전을 수행하는 데에는 큰 문제가 없었다.[3] 물론 두 사령관들의 성향 때문에 히틀러의 의심을 강하게 받기는 했고 클루게는 의심을 받은 끝에 베를린 소환 직전 자살한다.

이후 트레슈코프와 올브리히트 장군이 이끄는 중부집단군의 반 히틀러 성향의 장교들이 불꽃 작전(Operation Spark)이라는 이름 아래에 무수한 히틀러 암살 시도를 주관하였다. 특히 트레슈코프 본인도 작전명 발키리에서 나오는 것처럼 코앵트로로 위장한 폭탄으로 히틀러를 암살하려고 한 바 있다. 히틀러가 중부집단군을 시찰 차 방문하였을 때, 트레슈코프는 베를린으로 복귀하는 비행기에 히틀러와 동승하는 중령에게 접근하여 자신의 친구인 헬무트 스티프[4] 소장에게 줄 것이라고 속인 뒤 코앵트로 두 박스로 위장된 폭탄을 건네 준다. 하지만 기폭제는 작동했지만 폭탄이 폭발하지 않았고 실패로 돌아가자 다시 그 중령에게 찾아가서 자신의 암살시도가 걸리지 않도록 회수하고자 하는데 애를 먹는다.[5]

트레슈코프와 올브리히트 장군의 여러 시도들은 실패로 끝났었고 이 때문에 히틀러는 늑대굴과 자신의 별장에서만 주로 활동하였고 그 외부로 나가야 할 때는 더더욱 불규칙적인 동선으로 움직였다. 따라서 나중에 본격적인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때는 늑대굴에 슈타우펜베르크 대령이 직접 폭탄을 가져다 두는 방식을 선택해야 했다.

이때의 실패 이후에 2군단의 참모장이 되었기 때문에 히틀러 암살계획에 적극적으로 임할 수 없게 되었다. 자신의 동료였었던 루돌프 슈문트가 여전히 히틀러의 군사 참모였기 때문에 그에게 히틀러에게 직접 보고할 수 있는 부서 신설에 대해서 건의하였으나 슈문트는 트레슈코프의 히틀러에 대한 충성심을 의심하였던 터라 실패하였다. 이 밖에도 아돌프 호이징거[6][7] 장군에게도 부탁했으나 같은 이유로 실패하였다.

이후 부상으로 예비군사령부의 참모장으로 배속받은 슈타우펜베르크 대령을 만나게 되면서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을 준비하게 되고 트레슈코프는 발키리 작전을 수정하여 히틀러 사망 이후의 베를린 장악 작전을 구상한다. 하지만 늑대굴에서의 슈타우펜베르크 대령의 암살은 실패로 돌아갔고[8] 2군단으로 돌아가있었던 트레슈코프는 주둔지였던 폴란드 비아위스토크(Białystok)의 한 마을에서 관용차 운전병전속부관만 대동한 채 숲으로 들어가 수류탄으로 자살한다.


4. 전쟁 범죄[편집]


아이러니하게도 그 또한 전쟁 범죄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는 인물이다. 그는 제2군단 참모장으로 재직하던 1944년에 알프레트 로젠베르크가 입안한 폴란드 청소년 유괴 계획인 건초 작전(Heuaktion)의 세부 사항을 직접 실행하고 감독했다. 그가 유괴한 5만 명의 아이들은 10세에서 14세 전후의 나이였으며, 독일화 교육을 받는다는 명목으로 독일 영내로 보내져 융커스 사 공장에서 강제노동에 종사하였다. 심지어 일부는 아우슈비츠 수용소로 보내져 살해당하기도 했다.

5. 각종 매체에서의 등장[편집]


영화 작전명 발키리에선 케네스 브래너가 맡았다. 군복 고증이 완벽에 가까운 영화이니만큼, 장군들이 잘 입지 않던 M40 전투복에 장군용 부착물을 단 모습 등을 완벽하게 재현했다.

게임 Hearts of Iron IV의 나치승리 대체역사모드인 The New Order: Last Days of Europe에서는 독일을 민주화시키려는 개혁파의 주축 4인방중 한명으로, 독일군의 군제개혁을 주도적으로 맡는다. 만약 슈페어가 4인방의 숙청을 진행한다면 폭탄테러를 일으켜 본인은 사망하고 슈페어는 이름 모를 부하의 희생으로 죽지는 않고 중상을 입는다.

대체역사소설내 독일에 나치는 필요없다의 주인공인 디트리히 샤흐트의 조력자로 등장하며 원 역사와는 다르게 히틀러를 몰아내는데 성공한다.
또한, 폴란드 해방 작전에서 공을 세워 원수가 된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와 함께 그의 참모장으로 유고슬라비아 내전에 개입, 내전의 피해를 최소화한 점을 인정받아 만슈타인의 후임으로 육군참모총장이 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1:49:16에 나무위키 헤닝 폰 트레슈코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용례대로는 '폰트레슈코프'로 표기한다. 게르만어권 인명의 전치사 및 관사는 뒤 요소와 붙여 적도록 하고 있다.[2] 트레슈코프는 보크의 조카였다.[3] 만슈타인도 마찬가지로 히틀러 암살에 참여하진 않았지만 중립적 입장을 취했다. 모두 반 히틀러 세력의 권유를 받았지만 거절하는 대신에 그 사실을 SS나 게슈타포에 알리지는 않았다.[4] 검은 오케스트라 일원은 아니었지만 반 나치 성향의 인물이었다. 나중에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이후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받고 처형된다.[5] 직전명 발키리에서도 "총통이 금주가인데 술 가지고 있는거 걸리면 퍽이나 좋아하시겠다"라고 압박하여 간신히 회수한다.[6] 나중에 전후 독일 연방군의 재창설, 재무장에 기여하고 연방군의 첫번째 대장에 오른다. 호이징거와 함께 연방군의 대장이 되는 인물이 마찬가지로 독일 국방군 출신인 한스 슈파이델 장군이다.[7] 그리고 호이징거 장군은 후에 암살 시도에 휘말려 경상을 입는다. 폭탄 바로 앞에 있던 브란트 대령과 달리 본인에겐 다행히도 책상의 다리가 폭탄을 어느정도 막아준 덕택에 살았다.[8] 늑대굴에서의 폭탄 암살시도로 히틀러는 경상을 입었다. 하지만 트레슈코프를 옛날에 도와줬던 슈문트 장군이 중상을 입고 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