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도네

덤프버전 :

쾌락의 신
헤도네 (Hedone)
그리스어
Ἡδονή[1]
라틴어
VOLVPTAS[2]
그리스어 라틴문자 표기
Hedone

1. 개요
2. 행적
3. 의문점
4. 여담



1. 개요[편집]


그리스 신화여신. 헤도네(Hedone). 헤돈이라고도 불린다. 에로스프쉬케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기쁨과 쾌락을 관장한다.

영단어 hedonic(쾌락의)와 hedonism(쾌락주의) 등의 어원이 된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영어 sweet과 어원이 같다!

로마 신화의 볼룹타스(Voluptas)와 동일시된다. 헤도네나 볼룹타스나 모두 '쾌락'이라는 의미.


2. 행적[편집]


일단 탄생 이후의 이야기는 아예 없고 올림포스 가디언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선 아예 잘려버린 탓에[3][4] 아이들 사이에선 굉장히 생소할 수밖에 없는 여신이다.

애초에 행적이 만들어지기 힘들다는 주장이 있다. '에로스와 프쉬케 이야기'는 서기 2세기에 쓰여진 '황금당나귀'라는 책에 실려 있는데, 일단 이 시기는 신화가 만들어지기엔 늦은 시기라서 후일담을 풀어나갈 여유는 없었다는 주장이다.

3. 의문점[편집]


간단히 표현하자면, "태어났고, 그리고 그걸로 끝났다."

일단 출생에 다른 버전이 많아서 애초에 여신인지부터가 미스터리. 프쉬케와 에로스의 파경 이전에 임신했다는 버전과, 파경 이후 다시 만났을 때 임신했다는 버전이 있기 때문이다. 만약 전자라면 헤도네는 인간일 수도 있다. 왜냐하면 프쉬케가 여신이 된 것이 재회했을 때였기 때문으로, 그렇다면 인간이었을 때 프쉬케가 임신한 셈이니, 반신일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 물론 이에 대한 반박도 존재한다. 디오뉘소스 역시 인간인 세멜레가 배었지만 제우스가 자신의 넓적다리에 넣고 4달을 채우자 그 아이가 신으로 태어났으니, 헤도네 역시 그렇다는 것이다.

  • "하지만 이것은 옮겨 간 것이 아니지 않은가?"라는 재반론도 있다. 가령 히드라 같은 경우에는 신과 신의 사이에서 태어났음에도 헤라클레스에게 죽었고, 오르페우스 같은 경우에도 뮤즈 여신 칼리오페아폴론 사이의 아들인데도 한낱 인간 여자들에게 찢겨져 죽었다.[5] 이런 사례를 보면 꼭 신과 신 사이의 자식이라고 해서 신은 아니다. 하물며 완벽한 여신도 아닌 프쉬케가 밴 것이니 오죽하겠는가?

4. 여담[편집]


"태어났다. 살았다. 죽었다."로 전개되는 것이 전형적인 신화의 이야기인데, 이 쪽은 "태어났다."만 전승되었다.

그리스 로마 신화가 계속 만들어졌다면 베로에, 키르케, 제우스의 자식들과 함께 제 5세대 신(1세대 가이아 - 2세대 우라노스 - 3세대 크로노스 - 4세대 제우스)의 이야기를 짊어질 수도 있었을 지도 모른다.

그런 점에서 아도니스아프로디테 사이에서 태어난 베로에와 유사하다. 태어났으나 그 이후 이야기가 없고, 신과 인간 사이에서 태어났고, 아프로디테와 관련이 있고, 심지어 똑같은 매체들에서 씹히기까지 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1:51:41에 나무위키 헤도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대 그리스어로는 '이도니' 정도의 발음을 가진다.[2] 중세 이후 표기로 VOLUPTAS[3] 그래도 홍은영의 그리스 로마 신화에선 에로스와 프쉬케가 어린 헤도네를 안고 있는 장면이 나온다.[4] 사실 올림포스 가디언 오르페우스 에피소드에서 결혼한 에로스와 프쉬케의 이후 모습이 나오기에, 그 때 헤도네가 나오는 거 아니냐고 기대한 시청자들도 있었고 실제 당시 제작진들도 그녀의 등장을 고려해 보았지만 결국 빼기로 결정했다고 한다.[5] 다만 오르페우스는 아버지가 트라키아의 왕 오이아그로스, 즉 인간이란 판본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