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크 입센

덤프버전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
노르웨이
관련 문서

<^|1><height=34><color=#ba0c2f><bgcolor=#fff,#1f2023>
[ 펼치기 · 접기 ]

}}}

파일:Henrik-Ibsen-1901.jpg
본명
헨리크 요한 입센
Henrik Johan Ibsen
출생
1828년 3월 20일
시엔
사망
1906년 5월 23일 (향년 78세)
국적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직업
극작가, 시인
신체
157cm
배우자
수잔나 입센
자녀
시구르 입센[1], 한스 야코브 헨릭센[2]
서명
파일:Henrik_Ibsen_signature.png

1. 개요
2. 생애
3. 작품
4. 기타



1. 개요[편집]


노르웨이극작가, 시인이다. 안톤 체호프와 더불어 현대 연극계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작가다.


2. 생애[편집]


1828년 스웨덴-노르웨이 연합 왕국 노르웨이의 항구 도시 시엔(Skien)에서 태어났다. 어렸을 때는 집이 부유해 유복한 삶을 살았지만 7살 되던 해 아버지의 사업이 망해 집안이 몰락하면서 15살 때 그림스터라는 조그마한 읍의 약제사 조수가 되어 생계를 근근히 유지했다. 그리고 이 시기 동안인 18세에 약국 하인이었던 엘제 소피 옌스다터 비르케달렌(Else Sophie Jensdatter Birkedalen)과의 사이에서 아들을 두기도 했다. 이 아이가 14살이 될 때까지 입센이 양육비를 지원했지만 한 번도 만난 적은 없다고 한다

그러나 그 와중에도 작문에 흥미가 있어 신문의 문예란에 몇 편의 시를 발표했다. 22세에 데뷔작인 희곡 <카틸리나>를 발표했다. 그 후 1막극 <전사의 무덤>이 수도 크리스티아니아[3]에서 상연되자 대학 진학의 꿈을 버리고 전업작가로 전향한다. 30세에 베르겐 시의 목사 한스 콘라드 토레센의 딸인 수잔나 토레센(Suzannah Daae Thoresen)[4]과 결혼해 가정을 꾸렸다. 35세에 사극 <왕위를 노리는 자>를 썼으나 인정받지 못하자 외유에 나서기로 한다. 36세에 로마로 떠났고 그 후 28년 동안 고국으로 돌아오지 않고 유랑생활을 한다. 39세에 극시 페르 귄트(Peer Gynt)를 발표했다. 당시에 문단은 난해함에 대해서 비판했으나 입센은 노르웨이 시의 한 기준이 될 것이라고 반박했고 그것은 그대로 되었다. 페르 귄트는 이후 역시 노르웨이 출신인 음악가 그리그동명의 모음곡으로 작곡했으며, 지금은 이쪽이 더 유명하다.

1879년 51세 때 인형의 집(Et dukkehjem)을 발표했는데 이 작품은 여성에 대한 해방적인 메시지와 더불어 사실주의 연극의 초기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그 후에도 꾸준히 작품활동을 하다가 1891년 28년만에 고국으로 돌아왔는데 그의 나이 63세였다. 1906년 동맥 경화증으로 인해 78세의 나이로 사망했는데 노르웨이 정부는 국장의 예로 작가의 공로에 보답하였다.


3. 작품[편집]


  • 카틸리나
  • 인형의 집
  • 민중의 적
  • 바다에서 온 여인
  • 들오리
  • 유령
  • 페르 귄트
  • 욘 가브리엘 보르크만
  • 로스메르스홀름
  • 건축가 솔네스
  • 헤다 가블레르
  • 우리 죽은 자들이 깨어날 때
  • 아기 에욜프
  • 성 요한의 전야
  • 올라프 실예크란스
  • 헬겔란트의 바이킹
  • 브랜드
  • 황제와 갈릴레이


4. 기타[편집]


  • 현대 희곡에 많은 영향을 끼친 인물로 대학 연극과에서도 안톤 체호프와 함께 자주 언급되는 극작가이다.

  • 노르웨이를 대표하는 작가이나 노르웨이어가 아닌 덴마크어로 작품을 집필했다. 그가 태어날 무렵 노르웨이는 덴마크오랜 지배 때문에 정체성을 거의 잃어 노르웨이어도 거의 덴마크어화 되었기 때문. 실제로 오늘날의 표준 노르웨이어는 보크몰(Bokmål)과 뉘노르스크(Nynorsk)로 나뉘는데 보크몰은 노르웨이어가 덴마크어화된 릭스몰(riksmål)에서 유래했다.

  • 북유럽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노벨문학상을 끝내 받지 못했다. 왜냐하면 초창기 노벨문학상은 '낙천적인 작품'이라는 기준을 가지고 있었고, 이 때문에 사회 문제를 다루는 작품을 쓰던 입센이 제외되었다. 마찬가지로 사회 문제를 다룬 소설을 쓴 에밀 졸라도 노벨문학상을 받지 못했다.

  • 근현대 희곡과 세계 문학에 끼친 영향이 큰 작가인만큼 세계 여러 언어로 책이 번역되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노르웨이어를 할 수 있는 번역가가 적은 탓에 시중에파는 입센의 희곡 대부분은 독일어프랑스어에서 중역한 것이다. 그래도 읽는데 크게 지장이 가는 정도는 아니다. 유일한 노르웨이어 원전 번역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48번의 <인형의 집>이다. 소설가 안정효의 딸인 안미란 교수의 번역으로, 안 교수는 드물게 북유럽 언어를 모두 통달한 번역가이다. 그러나 인형의 집 단 한 편만 수록되어 있다.

  • 2022년 6월, 한국어판 헨리크 입센 전집이 출간되었다. 번역자는 한국연극학회 회장을 지낸 김미혜 한양대학교 명예교수로, 노르웨이어를 직접 공부하여 번역했다고 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3:30:56에 나무위키 헨리크 입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노르웨이 왕정 수립에 공헌했다.[2] 결혼 전에 낳은 아이이다.[3] 지금의 오슬로. 덴마크 국왕 크리스티안 4세를 기념하여 20세기까지 크리스티아니아로 불렸다.[4] 수잔나는 적극적인 페미니스트였으며 토레센 가의 가정교사였다가 새어머니가 된 안나 막달렌 토레센(Anna Magdalene Thoresen, 결혼 전 성은 Kragh) 또한 작가인 동시에 여러 배우, 문학가들과 교류하여 영향을 끼치는 등으로 당대 기준 매우 진보적인 여성이었다고 한다. 입센의 아내와 장모는 그의 작품의 여성 인물들의 모델이 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