혀기형 증기기관차

덤프버전 :

파일:혀기형 증기기관차.jpg
혀기 11-13호 증기기관차
대한민국의 증기기관차

[ 펼치기 · 접기 ]

표준궤
모가 · 소리 · 4륜 · 터우 · 아메 · 푸러 · 발틱 · 미카 · 파시 · 고로 · 사타 · 마터 · 901호
협궤
630호대 · 660호대 · 700호대 · 810호대 · 900호대혀기11 · 혀기
한국철도공사 소속 디젤동차 · 전동차 · 디젤 및 전기기관차
혀기11: 6.25 전쟁 이후 혀기11형으로 개번



1. 개요
2. 제원
2.1. 혀기 1형(Hokeyi)
2.2. 혀기 2형(Hokeye)
2.3. 혀기 3형(Hokeyu)
2.4. 혀기 4형(Hokeyo)
2.5. 혀기 5형(Hokeylo)
2.6. 혀기 6형(Hokeyro)
2.7. 혀기 7형(Hokeyna)
2.8. 혀기 8형(Hokeyha)
2.9. 혀기 9형(Hokeyahn)
2.10. 혀기 10형(Hokey10)
2.11. 혀기 11형(Hokey11)
3. 보존현황


1. 개요[편집]


수인선, 수려선 등지에서 운행했던 협궤 전용 증기 기관차의 한 종류이다. 허기형의 오기로 착각하기 쉽지만 일제강점기에 들어온 것으로, 이름은 협궤의 일본어 발음인 '교키'(きょうき)에서 나왔다.

해방 이후에도 한동안 운행되었으나, 출력 부족과 노후화로 1977년에 전량 퇴역했다.


2. 제원[편집]


현재 남아있는 자료가 별로 없어서 제원은 알 수 없다.


2.1. 혀기 1형(Hokeyi)[편집]


파일:철도청 응용로고 (한글 좌우).png

대한민국 철도청 혀기1형 증기기관차
KORAIL Hokeyi Class locomotive


파일:8334295_LgHjDtruSZIiQkV6DEWgyz9y9-w1df3H2zYW5FxQ0Qo.jpg
차량 정보
구분
탱크식 증기기관차
용도
-
도입량
-
차륜배치
2-6-2T
도입시기
1952년
운행기간
1950~1970년대 초반
제작사
미쓰비시 중공업
차량 제원
전장
19,730㎜
전폭
-㎜
전고
-㎜
중량
-
최고속도
-㎞/h
밸브장치
-

6.25전쟁 당시에 미 육군에서 전시에 충당할 기관차가 부족해지자 미쓰비시에 주문하여 도입한 것으로 종전 이후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운행하였다.


2.2. 혀기 2형(Hokeye)[편집]




2.3. 혀기 3형(Hokeyu)[편집]




2.4. 혀기 4형(Hokeyo)[편집]




2.5. 혀기 5형(Hokeylo)[편집]




2.6. 혀기 6형(Hokeyro)[편집]


파일:khk6-12.jpg
차륜배치
2-6-2T
제작사
히타치
제작년도
1926년


2.7. 혀기 7형(Hokeyna)[편집]


파일:철도청 응용로고 (한글 좌우).png

대한민국 철도청 혀기 7형 증기기관차
KORAIL Hokeyna Class locomotive


파일:hokey7-7.jpg
1927년 도입분
파일:Soraepogu_1920s_Locomotive.jpg
1952년 도입분
차량 정보
구분
탱크식 증기기관차 (1927년 도입분)
텐더식 증기기관차 (1952년 도입분)
용도
전시용 증기기관차
도입량
-
차륜배치
0-8-0T (1927년 도입분)
2-8-2 (1952년 도입분)
도입시기
1927, 1952년
운행기간
1927~19??년
제작사
히타치, 니혼사료[1]
차량 제원
전장
14,600㎜
전폭
2,300㎜
전고
3,200㎜
중량
42.94t


2.8. 혀기 8형(Hokeyha)[편집]


일제강점기 도입분
1952년 미 육군 도입분
파일:a0048039_5c258cfd8ac32.png
파일:usa8.jpg
차륜배치
2-8-2T
제작사
히타치, 니혼사료, 미쓰비시
제작년도
1934~1936, 1952년

일제강점기인 1934년부터 2년간 탱크식으로 도입하여 1952년에 미 육군에서 충당할 기관차가 부족해지자 미쓰비시에 주문 제작한 텐더식을 추가로 도입하였다.


2.9. 혀기 9형(Hokeyahn)[편집]




2.10. 혀기 10형(Hokey10)[편집]



차륜배치
2-8-0
제작사
기샤세이죠
도입년도
1936년


2.11. 혀기 11형(Hokey11)[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900호대 증기기관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보존현황[편집]


현재 6량이 보존 중이다.
  • 혀기 1형(1952년 도입분): 경춘선 화랑대역
  • 혀기 7형(1952년 도입분): 소래역사관 앞
  • 혀기 8형(1952년 도입분):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도[2]
  • 혀기 8형 28호: 국립어린이과학관
  • 혀기 11형 12호: 삼성화재교통박물관[3]
  • 혀기 11형 13호: 철도박물관
  • 혀기 11형 14호: 평창군 용평리조트 주차장 한 켠에 전시중[4]

[1] 1952년 도입분 제작사[2] 1978년에 박정희가 어린이날 선물로 기증한 증기 기관차 두 대중 하나로(나머지 한 대는 미카 3형 304호로 제주도 삼무공원에 전시중) 흑산도 예리항 인근에 협궤객차 한 대랑 같이 전시되었으나 1996년에 한진중공업에 매각된 이후로 행방불명된 상태이다. 매각당시 부식이 심했던 걸 보면 매각 직후에 폐차된 것으로 추정된다.[3] 차호불명의 비둘기호 객차와 함께 전시되어 있다.[4] 현재 보존중인 혀기형 증기기관차 중에서 유일하게 디플렉터(제연판)가 달려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5:10:03에 나무위키 혀기형 증기기관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