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곡의 전령

덤프버전 :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가로형 로고_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기본 모드
소환사의 협곡 · 무작위 총력전 · 전략적 팀 전투 · 격전 · 랭크 게임 · AI 상대 대전
이벤트 모드
U.R.F 모드 · 돌격! 넥서스 · 궁극기 주문서 · 아레나 · 기타
챔피언 관련
역할군 · 능력치 · 스킬 · 특수 능력 · 군중제어기(CC) · 소환사 주문 · 스킨
유닛
챔피언 · 구조물 · 포탑 · 미니언
정글
몬스터 · 협곡 바위 게 · 협곡의 전령 · 내셔 남작(바론) · 식물
드래곤
바람 · 대지 · 화염 · 바다 · 마법공학 · 화학공학 · 장로 · 시즌 6 이전

정밀 · 지배 · 마법 · 결의 · 영감 · 시즌 8 이전
아이템
시작 · 기본 · 서사 · 전설 · 신화 · 소모품 · 장화 · 특수 · 삭제된 아이템
전략
· 정글 · 미드 · 바텀 · 서포터
세계관
챔피언 관계 · 룬테라 · 종족 · 스토리 · 멀티버스 · 유니버스 이전 · 영상 · 음악 · 타임라인 · 지역 · 등장인물 · 세력
월드 챔피언십 · MSI · 시즌 킥오프 · 올스타전 · LCK · LCS · LEC · LPL · 세체 · 역체 논쟁 · 골든로드 · Silver Scrapes · 우리는 틀리지 않았다
문제점
비매너 게임 · 밸런스 · 대리 게임/어뷰징 · 버그 · 스토리 · 팬 문화 · 서포터 혐오
사건 사고
2011~2015 · 2016~2020 · 2021~2025 · 틀:개별 문서가 있는 논란 및 사건 사고
업데이트
패치 내역 · 시즌 · 프리시즌

1557 · 가붕이 · 럼자오자레 · 야 꿀벌 · 전국 우르곳 협회 · 정글차이
기타
시스템 · 서버 · 클라이언트 UI · 인게임 · 도전과제 · 용어 · PBE · 개발자 · 흥행 · 패러디 · 영상 · 감시단의 비상

1. 개요
1.1. 전령의 눈
2. 7.9 패치 이전
3. 기타


1. 개요[편집]


Rift_Herald
파일:Rift_Herald_Icon.png
초상화 이미지
파일:2024협곡의전령.png
위치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BaronNashorLocation.png
능력치
체력
7125~14250[1][2]
사정거리
250
공격력
100~250
공격 속도
0.4
방어력
60
마법 저항력
50
최초 등장
8:00
부활 시간
6:00[3]
골드
200[4]
경험치
206~220

특징
* 후방의 눈을 기본 공격당하면 최대 체력의 12%에 해당하는 고정 피해를 입습니다. 전령의 눈을 공격당하면 10초 동안 눈을 감습니다. 챔피언의 기본 공격은 눈을 감는 시간을 2.5초만큼 줄입니다. 3초 이내에 눈을 떴거나 체력이 15% 이하면 눈을 뜨지 않습니다.
* 체력이 65.75% 그리고 32.75%일 때 공격력의 300%만큼 물리 피해를 주는 휘두르기 공격을 합니다.
* 협곡의 전령은 모든 군중 제어기에 면역입니다.

통칭 전령. 시즌 6 프리시즌 당시 처음 등장했다. 출몰 시간은 게임 시작 후 8분 뒤이며, 처치 시 6분 후 재생성된다. 19:45가 되면 완전히 사라지고[5] 그 이후로 재출몰하지 않는다. 한 게임에서 협곡의 전령은 최대 두 번까지 처치할 수 있다.[6]

협곡의 전령은 적에게 공격받을 경우, 괴성을 지르는 모션이 출력된 후 전방으로 돌진한다. 돌진하는 협곡의 전령에 부딪힐 경우 피해를 받고 밀려나게 된다.[7] 해당 패턴은 처음으로 공격받은 직후에만 출력되며, 인내심이 0이 되어 다시 둥지로 돌아가 체력을 전부 회복한 경우에만 재출력될 수 있다.

가끔씩 등의 눈이 뜨일 때 뒤를 공격하면 최대 체력의 12%에 해당하는 고정 피해를 가할 수 있다. 체력이 1500 미만으로 떨어지면 눈을 뜨지 않는다.[8] 때문에 드래곤에 비해 체력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눈을 뜨는 모션을 잘 이용하면 대다수의 정글러가 8분 타이밍부터 혼자 전령을 챙기는 것이 가능하다.[9] 등의 눈의 판정은 후방 180도 정도로, 상당히 넉넉한 편이다. 전령 앞에서 이리저리 움직일 경우 전령이 방향을 바꾸는 데에는 약간의 시간이 걸리기에 혼자서 전령을 먹을 때에도 적절하게 전령의 뒤로 이동해 눈을 공격할 수 있다.[10]

또한 체력이 약 3분의 2, 3분의 1 남을 경우[11] 잠시 왼팔을 드는 모션이 출력되며, 이후 범위 내의 적에게 공격력의 300%만큼 피해를 주는 휘두르기 공격을 한다. 공격 판정은 전방의 부채꼴 모양 짧은 범위 정도로, 초반에는 부담스러울 정도의 피해량이 들어오기 때문에 뒤로 살짝 이동해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휘두르기 공격이 끝난 후에는 전령이 잠시 동안 뒤돌아 서 있기에, 이 때가 등의 눈을 공격하기 가장 좋은 타이밍이다.


1.1. 전령의 눈[편집]


처치 보상 : 전령의 눈
파일:롤아이템-전령의 눈.png
* 보유 시: 귀환이 강화되며 사용 전이나 전령의 눈의 지속 시간이 끝나기 전까지 지속됩니다.
* 사용 시: 1초 동안 정신 집중 후 전령의 눈을 소비하여 협곡의 전령을 소환합니다. 소환된 전령은 근처 공격로로 이동하여 적 포탑을 공격합니다.

협곡의 전령이 게임 초반 스노우볼링의 핵심이다. 전령이 처치될 경우 둥지 입구에 전령의 눈이 생성되는데, 전령을 처치한 팀 중 전령의 눈과 가장 먼저 닿은 챔피언[12]은 전령의 눈 획득과 동시에 장신구가 전령의 눈으로 교체된다. 전령의 눈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내셔 남작과 동일한 귀환 강화 버프를 얻어 귀환 시간이 4초로 단축된다. 장신구 키를 눌러 전령의 눈을 사용할 경우 1초의 정신 집중 후 사용한 위치에 협곡의 전령을 소환한다.[13]

소환된 전령은 미니언처럼 소환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공격로를 따라가며 라인을 미는데,[14] 포탑이나 억제기, 넥서스에 가까이 접근하면[15] 괴성을 지르며 잠시 동안 멈추어 섰다가 돌진하여 자신의 현재 체력의 66%를 소모해 레벨에 따라 구조물에 2000~2750의 매우 높은 고정 피해를 입힌다.[16] 덕분에 건물 철거 속도가 어마어마하고 챔피언이 직접 약점인 눈을 공격하지 않으면[17] 내구력도 엄청나기에, 상대 팀이 대처하러 오지 않으면 순식간에 억제기까지 고속도로를 개통할 수 있다.[18] 보통 아군이 킬을 따거나 하여 막으러 올 사람이 없을 때 포탑을 철거하는 데 쓰거나, 상대가 오브젝트를 챙기는 게 확실할 때 반대쪽 라인을 미는 용도로 이지선다를 걸거나, 상황이 잘 안 받쳐주면 그냥 포탑 하나와 교환하는 용으로 쓸 수 있다. 보통 포탑 1개와 교환하면 본전이며, 포탑 2개 이상과 교환하면 큰 이득으로 취급된다.

특히 포탑 방패가 생긴 후 14분 이전 첫 번째 전령은 엄청나게 중요해진 오브젝트가 되었다. 포탑 방패는 깨질수록 방어력과 마법 저항력이 늘어나기 때문에 어지간히 잘 크지 않은 이상 5칸 모두 채굴하는 건 힘든데, 전령은 무조건 네 자릿수의 고정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방어력이 세 자릿수를 찍는 포탑도 그냥 박아서 한방에 3칸가량을 날려버리기 때문.[19] 그리고 협곡의 전령을 소환한 사람은 전령의 공격이 해당 챔피언의 공격으로 취급되므로 전령이 포탑 방패를 깰 때 포탑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포탑 방패 골드를 온전히 획득할 수가 있다. 이는 멀리 떨어져 있는 전령이 먹은 CS가 그대로 전령을 소환한 사람의 골드로 수급되는 것과 같은 이치.

전령의 눈은 장신구 슬롯을 대신해서 차지하기 때문에 전령의 눈을 사용하기 전까진 장신구를 사용할 수 없다. 드물긴 하지만 이 때문에 자신이 전령의 눈을 가지고 있던 것을 잊어버리고 와드를 박거나[20] 렌즈를 돌리려다가 엉뚱한 곳에서 전령의 눈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엉뚱한 데 날아가는 전령도 문제이지만 한창 전투 중에 이런 실수를 한다면 전령 소환에 필요한 정신 집중을 하는 동안 적의 공격에 노출될 수도 있다. 초기에는 전령 소환에 필요한 정신 집중 시간이 무려 3초라서 중간에 정신 집중이 끊길 경우 전령의 눈이 생으로 날아갔지만 현재는 정신 집중 시간이 짧아짐에 따라, 판정상 전령 소환을 끊을 수 없게 변경되었다.

협곡의 전령을 처치했을 때 땅에 드랍되는 전령의 눈은 전령을 처치하지 않은 팀의 챔피언이 습득할 수는 없으며, 20초 동안 아무도 습득하지 않으면 사라진다.[21] 의외로 프로 씬에서도 이런 실수가 터지는데 2017년 7월 16일 LCK 서머 스플릿 KT vs EVER 8 3세트 에서 KT가 협곡의 전령을 처치했지만 실수로 팀원 중 아무도 전령의 눈을 습득하지 않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경기 종료 후 인터뷰에서 스멥스코어가 챙긴 줄 알고 안 챙겼다고 한다.

일단 소환된 전령은 미니언이나 타워가 아닌 챔피언을 상대로는 공격을 하지 않지만, 미니언을 정리하기 위한 광역 공격에 휩쓸려서 피해를 받아 죽는 것은 가능하다. 참고 1 이렇게 죽으면 전령을 소환한 플레이어의 킬로 취급된다. 또한 타워에 돌진할 때 경로 상의 모든 적 유닛을 밀쳐내며, 충돌한 순간 타워 주변에 있는 모든 적 유닛에게 소량의 물리 피해를 입힌다. 참고 2 2022 LCK CL Match 105 DRX vs T1의 경기에서 전령이 타워 박치기를 하면서 DRX의 원딜 Plata 의 아펠리오스를 잡아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링크 소환된 협곡의 전령을 막타로 처치한 사람은 25골드와 경험치를 획득한다.

상대 팀에 아지르가 있을 때는 주의해야 하는데, 1차 타워가 깨진 상태에서 2차에 돌격시키려다 돌진 직전 타이밍까지 아지르가 포탑을 잘 세우면 그 포탑을 때리기 때문. 문워크를 추면서 엉덩이로 들이받는 모션 버그는 덤. 또한 상대 팀에 바드가 있을 때에도 주의해야 하는데, 전령이 돌격하려는 타워를 바드가 궁극기를 통해서 얼려버리면 전령은 그대로 돌진하지만 포탑에 데미지를 전혀 주지 못한다. 물론 포탑에 가한 대미지가 없기 때문에 전령의 체력 역시 깎이지 않지만 한번 돌진했던 타워에는 다시 돌진하지 않기 때문에, 수비하는 팀에서는 멀쩡한 아군 타워의 비호를 받으면서 안전하게 전령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아지르의 패시브인 태양 포탑은 타워가 하나 밀려 있어야 사용이 가능하다는 조건까지 감안하면 바드가 더욱 강력한 카운터라고 할 수 있다.

타워 바로 앞에서 소환하면 박치기를 하는 모션만 뜨고 포탑에 데미지를 주지 않는 버그가 있다. 전령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

전령을 돌거북 사이에 소환하면 전령이 돌거북 사이에 끼여서 탈출하지 못하고 가만히 있는 버그가 있었다. 이때는 돌거북을 처치하거나 공격해서 위치를 바꿔주면 전령을 나가게 할 수 있다. 이 덕분에 전령의 눈 지속 시간이 다 됐는데도 딱히 쓸 곳이 없을 때 돌거북 둥지에 가둬뒀다가 꺼내서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22] 13.3 패치 현재 기준 전령이 돌거북을 무시하고 그냥 나가는 것으로 보아 패치된 것으로 보인다.

8.9 버전에서 소환된 협곡의 전령이 입는 피해량과 포탑에 입히는 피해량이 약간 변경되었다. 포탑 돌진 시 협곡의 전령이 입는 피해량은 현재 체력의 25%로 약간 줄어들었다. 그리고 포탑 돌진 시 포탑에 입히는 피해량은 현재 체력의 40%와 1500 중 큰 값으로 변경되었다. 소환된 협곡의 전령의 눈을 공격하였을 경우에는 최대 체력의 40%에 해당하는 추가 피해를 입게 된다. 따라서 전령이 타워에 입히는 피해량은 이전보다 훨씬 증가한 대신, 약점을 공격 당했을 경우에 전령이 잃는 체력 또한 두 배 증가하였다.

12.22 패치

600 유닛 범위 내 챔피언에게 부여하는 경험치: 200 ⇒ 300
처음 소환된 협곡의 전령 돌진 피해량: 2,000 ⇒ 1,500 (참고: 실제로 입히는 피해량은 이 수치보다 높습니다.)

협곡의 전령은 그 자체로 미니언 판정을 받기 때문에 주변에 미니언이 없더라도 전령만 있으면 포탑의 이중 갑옷[23] 효과가 발동하지 않는다.[24] 에픽 몬스터 특유의 군중제어 면역 효과도 상실하여 각종 CC기에 걸릴 수 있으나, 돌진은 CC기로 끊을 수 없다.

13.20 패치에서 전령 처치 시 주변 챔피언이 얻는 골드가 200에서 100으로 감소했다. 총 골드는 300에서 200으로 감소.

2. 7.9 패치 이전[편집]


파일:구 협곡의 전령.jpg

이전에는 마지막 일격을 날려 처치한 플레이어에게만 내셔 남작 버프와 동일한 귀환 강화 및 미니언 강화 버프[25]를 주는 몬스터였다. 주위에 아군 챔피언이 없을 경우 중첩이 쌓이고, 중첩이 100이 되면 스태틱의 단검이나 루덴의 메아리처럼 적 챔피언 공격 시 추가 마법 피해를 가하던 시절도 있었다. 덕분에 이 시절에는 렝가를 필두로 한 암살자들이 정글러와 함께 전령을 먹는 일이 대다수였다. 또한 골드를 그렇게 많이 주지도 않았다. 이 시절에는 잡는 수고나 위험부담에 비해 리턴이 별로라 큰 인기는 없었으나 7.9 미드시즌 업데이트로 외관은 물론 제공하는 효과까지 대폭 변경되었다. 잡을 경우 전령의 눈을 드랍하며, 이를 습득한 플레이어는 장신구가 '전령의 눈'으로 변경된다. 전령의 눈을 가지고 있는 동안은 바론 버프처럼 귀환이 강화되고, 사용하면 챔피언이 바라보고 있던 방향으로 1초 동안 정신을 집중하여 전령의 눈을 파괴하고 3초 뒤 그 자리에 협곡의 전령을 소환한다[26][27] 전령의 눈의 유효 시간은 3분이며, 3분이 지나면 저절로 사라진다.[28]

당시의 전령 모델링은 푸른 파수꾼(블루 골렘)과 같은 뼈대를 썼기 때문에 앞에 가서 춤을 추면 푸른 파수꾼과 같이 임창정의 문을 여시오 춤을 추었다.[29]


3. 기타[편집]


설정상 협곡 바위 게가 공허에 오염되면 나타나는 존재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위치도 바론 둥지 안이고 모델링이나 초상화도 바위 게와 닮았다.

협곡의 전령 앞에서 Ctrl+3 (춤) 을 추면 전령도 같이 춤을 춘다. # 그리고 넥서스까지 미는 동안 전령이 생존하면 넥서스가 파괴될 때 춤을 추는 이스터 에그가 있다. 일명 '전령 댄스'.[30] 방송 경기에서는 2017 롤드컵 조별예선 1주차 롱주 vs 프나틱의 경기에서 처음으로 나와 퍼펙트 게임의 대미를 장식했다.

특별한 게임 모드 중 하나인 불의 축제 모드에서는 이름이 악마 전령으로 변경되며, 뿔과 등의 눈이 붉은색이고 오니 가면을 쓰고 있다. 드래곤 둥지에도 드래곤을 대신해 들어가 있으며 잡으면 전령의 눈 대신 25점을 준다.

침공 모드에서는 드래곤이나 내셔 남작 등을 제치고 최종보스로 선정되는 영광을 얻었다.[31]

협곡의 령으로 오타가 나는 경우가 많다. 아무래도 아이템 중 정령의 형상이 있어서 생기는 혼동으로 보인다. 심지어 유명 유튜버들의 자막에서도 심심치 않게 발견된다. 협곡의 령이다. 영문명도 Herald로 전령이라는 뜻이다.
[1] 내셔 남작 둥지에 생성된 협곡의 전령 기준이다. 전령의 눈으로 소환된 협곡의 전령의 체력은 소환자의 레벨에 비례해 3180에서 두 배인 6360까지이다.[2] 전령의 눈 으로 소환된 두 번째 전령은 75% 증가된 체력을 가진다[3] 전령을 두번 잡으면 두번째 전령 이후 리젠시간 안에 무조건 내셔 남작이 출현하므로 사실상 단 한번만 리젠된다. 마찬가지로 첫번째 전령을 14분 이후에 잡게 되면 전령의 리젠시간 안에 내셔 남작이 출현하기 때문에 두번째 전령이 리젠되지 않는다.[4] 막타 100, 주변 100[5] 전투 중일 경우 19:55까지 유지된다. 만일 19:55 이후에 전령을 처치하지 못했을 경우 잡지 못한 채로 그대로 사라진다.[6] 전령이 추가된 초기에는 한 번이였다.[7] 전령에게 밀려나는 경우 에어본 판정을 받기에, 적 야스오의 궁극기 발동 조건을 충족시켜 주는 참사가 발생할 수도 있다.[8] 따라서 체력 1700 즈음에서 눈이 뜨이는 모션이 보이면 공격을 멈추고 눈을 뜨기를 기다리는 것이 이득이다.[9] 오브젝트를 처치하는 속도 및 안정성이 가장 낮은 아이번도 궁극기를 사용하면 안정적인 솔전령이 가능하다.[10] 몇몇 예외를 제외하면 혼자서는 뒤를 치는 것이 불가능했던 업데이트 이전 전령과 달리, 미드시즌 업데이트 이후의 전령은 공격 중에 바라보는 방향이 고정되고 회전 속도도 느려져서 혼자서 뒤의 눈을 칠 수 있다. 거기에 공격 패턴 중에는 무빙만으로 피할 수 있는 패턴도 있기에 라이너의 도움 없이 정글러 혼자서 보다 이른 타이밍에 잡는 것이 가능하다.[11] 정확한 수치는 65.75%, 32.75%.[12] 일반적으로 누가 먹던 트롤러가 아닌 이상 상관은 없으나, 맵 전체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쉬운 정글러나 미드 라이너가 먹는 것이 좋다.[13] 와일드 리프트에서는 사용 즉시 소환되고 ~에 협곡의 전령이 소환 되었습니다. 라는 멘트가 뜨며 전령의 이동 방향이 미니맵에 표시된다. 상대팀이 소환한 경우 적이 ~에 협곡의 전령을 소환했습니다. 라는 멘트가 뜨며 전령의 이동 방향이 미니맵에 표시된다.또한 귀환 시간이 롤보다 좀더 빠르게 변한다.[14] 다른 소환수나 지휘관의 깃발 미니언처럼 전령이 잡은 미니언이 주는 골드는 전령을 소환한 사람이 얻는다.[15] 포탑이나 억제기를 인식하는 범위가 꽤 넓어 포탑의 공격 사거리 약간 밖에서 돌진을 준비한다.[16] 모션은 전령을 사냥할 때 전령이 처음으로 하는 돌진 공격과 완전히 똑같다. 피해량은 전령을 소환한 챔피언의 레벨에 비례해 강해진다.[17] 포탑이나 미니언, 소환수가 뒤돌아 있는 전령을 공격해도 눈을 공격한 판정을 받지 않는다. 챔피언 판정을 받는 분신으로는 가능하다.[18] 전령을 안쪽의 포탑에 쓸수록 효과가 좋다. 안쪽에 있는 포탑일수록 최대 체력이 적기 때문인데, 체력이 충분한 전령이 넥서스 포탑에 돌진할 경우 포탑의 체력이 얼마나 되든 전령의 돌진만으로 포탑 하나를 그냥 날려버린다.[19] 만약 여유 있게 타워를 밀 수 있는 상황이라면 포탑 방패를 어느 정도 쳐서 깬 뒤 뒤늦게 전령을 소환하면 방어력과 상관없이 고정 피해가 들어가므로 훨씬 빠르게 포탑 방패를 채굴할 수 있다.[20] 특히 와드-방호를 달고 사는 리 신 플레이어가 자주 저지른다.[21] 40초였을 때는 한타를 지더라도 40초나 유지되어 슬쩍 다시 가서 먹기 쉬웠으나, 9.23 패치로 시간이 줄어들어 눈이 금방 사라진다. 샤코의 분신으로 전령을 처치할 시 전령의 눈이 사라지는 시간이 빨라지는 버그가 있다.[22] 하지만 단점이 명확하다. 일단 소환하면 적에게 위치가 표시되므로 적이 가서 돌거북을 건드리기만 해도 풀려나고, 돌거북 사이에 소환되기 때문에 가까운 라인인 탑/바텀으로 루트가 고정된다. 그렇긴 해도 보통은 전령 시간이 지나 쓸 곳이 없을 때 이용하는 방법이기에 그냥 소환해두고 쓸데없이 날리는 것보단 낫긴 하다.[23] 근처에 적 미니언이 없으면 입는 피해량이 66.66% 감소하고 고정 피해를 입지 않는다.[24] 미니언 취급과는 별개로 에픽 몬스터 취급은 그대로 남아 있다. 때문에 소환된 전령을 처치하도 '처치한 에픽 몬스터' 영원석 스택을 쌓을 수 있다.[25] 그래서 처음 등장했을 때의 별명은 미니 바론이었다.[26] 정신 집중 도중에 피해나 CC기를 받아 정신 집중이 끊기면 전령을 소환하지 못하고 눈이 날아간다. 케인의 경우 E-그림자의 길 사용 중에도 전령을 소환할 수 있다. 두꺼운 벽 안에 틀어박혀서 끊길 걱정 없이 안전하게 전령을 소환할 수 있다는 뜻. 다만 소환 도중에 E가 끝나면 그대로 전령이 깨질 수도 있다.[27] 초기에는 정신 집중이 4초였고, 정신 집중이 끝나는 즉시 전령이 소환되었다. 이 시기에는 cc기를 맞고 전령이 허무하게 날아가는 일이 종종 발생했다.[28] 지속 시간이 다 되기까지 15초가 남았을 경우 화면이 보랏빛으로 한 번 깜빡인다.[29] 이쪽은 팝스타 아리 이외에도 모든 챔피언이 가능하다.[30] 발동 조건이 단순히 '넥서스가 파괴될 때'라서 아군 넥서스가 터졌는데도 춤을 추는 아군 전령을 볼 수 있다.[31] 침공 모드의 줄거리는 공허를 무찌르는 것인데, 공허태생 중 가장 강한 내셔 남작은 움직이지 못하므로 두 번째로 강하면서 움직일 수 있는 전령이 선택된 듯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9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3.3.2;"
, 3.3.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9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3.3.2;"
, 3.3.2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5:44:09에 나무위키 협곡의 전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