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체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편집]


한자:
영어: Narrow-body aircraft
독일어: Standardrumpfflugzeug

비행기 기체의 지름이 3~4m이고 객실 내부의 통로가 1열, 가로 한 줄당 좌석 수가 2~6석인 여객기[1]의 동체를 지칭하는 용어로 광동체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쉽게 말해서, 장거리 국제선 비행이 가능한 대형 비행기를 제외한 모든 작은 비행기가 여기 해당된다.


2. 연원[편집]


협동체라는 용어는 원래부터 있던 개념은 아니고, 1970년 최초의 양산형 광동체 여객기인 보잉 747이 취역하면서 상대적으로 만들어진 개념이다. 영어에서는 광동체/협동체의 개념으로 나누지만 독일어에서는 표준동체/광동체의 개념으로 나누는 것이 조금 다르다.

협동체로 정의되는 기종은 비즈니스 제트기같은 소형 기종도 원론적으로는 해당되지만, 대체로 일반적인 항공사에서 일정 규모 이상의 노선에 상업적 목적으로 투입되는 기종을 협동체기로 보고 있다. 다시 말해 제트기가 아니어도 소형 민항기라면 협동체로 보는 것이다.


3. 엔진 개수[편집]


종종 4발 협동체기가 등장하긴 하지만 운용 비용 문제로 쌍발 협동체기에 시장 점유율을 내주고 퇴역하는 편이다. 이는 광동체기도 예외는 아니여서 A340A380이 각각 보잉 777A350 등에게 시장 점유율을 내주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거나, 조금씩 밀려나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 게다가 광동체스러운 중형 쌍발기의 시대에 접어들면서 4발 광동체 여객기에 적용되었던 기술이 일부 이식되기도 한다.


4. 협동체기의 영역[편집]


협동체기는 1970년 보잉 747의 대성공 및 잇따른 광동체 여객기의 등장에도 계속 명맥을 이어나가고 있으며 신제기가 활발하게 제작, 판매되고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수송능력이 적어서 유리한 노선도 있다. 즉 1회 100~150명 정도의 여객수요가 꾸준히 있는 노선에 300석 규모의 광동체 여객기를 투입하는 것은 공기수송밖에 되지 않고 비효율적이니, 이 경우에는 협동체 여객기를 투입하여 탑승률을 100%에 가깝게 유지시키는 것이 운영 코스트 절감과 수입증대에 더욱 유리하다.

  • 대체로 협동체는 광동체보다 기체가 작고 총중량이 적어서 보다 많은 공항에서 운용 가능하다. 그래서 새로운 직항노선 개척에 유리하다.


5. 제작업체 및 해당기종[편집]


광동체기가 항공운송의 주력이 되어도 공략할 만한 틈새시장이 많기 때문에 업체의 진퇴가 활발하며, 또한 업체의 국적 또한 다양하다.

B747이 최초 광동체이므로, B747 이전에 만들어진 비행기는 모두 협동체이다.


5.1. 다쏘[편집]



5.2. 드 해빌랜드[편집]



5.3. 맥도넬 더글라스[편집]




5.4. 미쓰비시[편집]




5.5. 보잉[편집]




5.6. 봉바르디에[편집]




5.7. 빅커스[편집]




5.8. 수호이[편집]




5.9. 에어버스[편집]



5.9.1. ATR[편집]



5.10. 엠브라에르[편집]



5.11. 일류신[편집]




5.12. 컨베어[편집]




5.13. 투폴레프[편집]




5.14. 포커[편집]




5.15. COMAC[편집]




5.16. NAMC[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5:47:02에 나무위키 협동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협동체를 많이 쓰는 국내 LCC의 경우 주로 가운데에 통로가 하나 있고 통로 양쪽으로 좌석이 3석씩(가로 한 줄에 6석) 배치되는 3-3 형태가 가장 보편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