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위함/배수량별 목록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호위함



1. 개요
2.1.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
2.2. 5,000톤 이상 ~ 8,000톤 미만
2.3. 8,000톤 이상 ~ 1만톤 미만
3.1. 1,500톤 이상 ~ 2,000톤 미만
3.2. 2,000톤 이상 ~ 3,000톤 미만
4. 1950년 ~ 현대 호위함
4.1. 1,500톤 이상 ~ 2,000톤 미만
4.2. 2,000톤 이상 ~ 3,000톤 미만
4.3.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
4.4. 5,000톤 이상 ~ 8,000톤 미만
4.5. 8,000톤 이상 ~ 12,000톤 미만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이 항목은 호위함 또는 프리깃을 배수량 순으로 기입하는 항목이다. 일본의 군함들은 한문으로는 호위함이라 칭하지만 영문 분류에서는 구축함(DD/DDG/DDH)으로 분류하고 있기에 구축함 항목에 기입한다.

제1차 세계대전 이전에 호위함은 전열함 바로 아래 단계였다. 1980년대, 미국에서는 배수량이 매우 큰 대형 호위함들이 존재했다. 이후 1980년대 후반기에는 장갑호위함이란 물건도 등장한다.

제1차 세계대전 ~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전세계적으로 호위함은 구축함 아래 단계로 정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미국만은 선도구축함(DL)이란 고유한 등급을 만들고 그것들을 등급과는 별개로 프리깃이라고 칭한다. 그러나 미국에서 1975년 순양함 격차 논쟁이 벌어지면서 선도구축함(DL)이란 등급은 사라지고 기존의 선도구축함들은 방공순양함(CG)으로 이동한다. 거기에 보통 구축함 보다 낮은 단계로 인식되고 초계함, 호위함과 동급으로 인식되던 호위구축함(DE)을 호위함(FF)으로 전량 이동시킨다.

1970년대 ~ 2000년대까지 호위함은 구축함 보다 배수량이 낮은 단계의 배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유럽(특히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스페인캐나다)을 중심으로 과거 구축함으로 인식되던 물건들도 호위함으로 칭하기 시작한다. 이것은 구축함에도 벌어지는 현상이었다. 2007년 3월, 일본은 전세계에서 처음으로 1만톤이 넘어가는 순양함급에 해당하는 함정을 구축함으로 부른다. 여기에 자극을 받았는지 미국, 한국도 1만톤이 넘어가는 전투수상함을 구축함으로 명명하며 동참한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일본은 2009년 3월 18일에는 2만톤 달하는 헬기항모2015년 8월 7일에는 3만톤에 달하는 경항모 또는 헬기항모를 구축함(DDH)으로 취역시키며 분류하고 있다.

한편 일본은 이것을 아시아권 한정으로 호위함으로 발표하지만 함번을 구분하는 영문에서는 구축함으로 분류된다. 국내 언론 등에서는 일부 일본의 이런 표기를 그대로 사용하여 이것들은 호위함으로 부르고 있다.[1] 하지만 정확하게 분류하자면 이 물건들은 국제적으로 영문의 표기를 따르는 구축함(DD/DDG/DDH)[2]이기에 이 항목에서 제외된다. 물론 이것들 중 상위체급의 것들은 국제적인 표준[3]에서 정확하게 비교하자면 항공모함[4], 헬기항모나 순양함이 맞다.

전체적으로 구축함은 호위함의 상위체급이란 인식이 강하게 정착되어 있다. 때문에 각국의 군함등급을 보면 대략적으로 구축함 보다는 호위함이 배수량 면에서 하위체급에 분포한다.

독일에서 2028년을 목표로 계획 중인 F126급 호위함이 처음으로 만재 배수량 1만톤을 넘어갔다. 점점 대형화 되어가는 군함 분류의 추세에 따라, 순수한 호위함으로서 순양함 체급의 호위함이 등장한 것이다.[5]

2. 1860년 ~ 제1차세계대전 이전(1913년): 철갑선 출현[편집]




2.1.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편집]



제조/운용국
함급
만재(전투)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영국
이스터급 스크류 호위함[6](5등급 함포 36문 호위함)
3,300톤
1866년
영국
브리스톨급 스크류 호위함[7]
4,080톤
1874년 9월


2.2. 5,000톤 이상 ~ 8,000톤 미만[편집]




제조/운용국
함급
만재(전투)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영국
HMS 랄레이 스크류 호위함(1873년)[8]
5,283톤
1874년 7월 11일
영국
HMS 인칸스턴트 스크류 호위함(1868년)[9]
5,875톤
1869년 8월 14일
영국
HMS 샤 스크류 호위함(1873년)[10]
6,350톤
1876년 9월 14일
독일
작센급 장갑호위함[11](장갑함)
7,635톤
1878년 10월 20일


2.3. 8,000톤 이상 ~ 1만톤 미만[편집]



제조/운용국
함급
만재(전투)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독일
카이저급 장갑호위함[12](장갑함)
8,940톤
7,645톤
1875년 2월 13일
영국
워리어급 장갑호위함[13](철갑선)
9,284톤
1861년


3. 제1차세계대전(1914년) ~ 1949년[편집]



3.1. 1,500톤 이상 ~ 2,000톤 미만[편집]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영국/아르헨티나
콜로니급 호위함[14]
1,284톤
1943년 10월 15일
영국
캡틴급 호위함[15]
1,158톤 ~ 1,422톤
1943년 10월 15일
영국/영국의 식민지 국가들
로크급 호위함[16]
1,435톤
1944년 4월 10일
영국/기타 국가
리버급 호위함 RN group I
1,860톤[17]
1,390톤
1942년


3.2. 2,000톤 이상 ~ 3,000톤 미만[편집]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영국
라크급 호위함[18]
2,260 톤
1,435톤
1944년
미국/기타 국가
타코마급 호위함[19]
2,227 ~ 2,415톤[20]
1,264 ~ 1,430톤
1943년 ~ 1953년
영국/기타 국가
베이급 호위함
2,571톤[21]
1,626톤
1945년 ~ 1971년


4. 1950년 ~ 현대 호위함[편집]



4.1. 1,500톤 이상 ~ 2,000톤 미만[편집]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최대 방공망
취역
영국/이란
알반드급
1,540톤
1,100톤

1971년[22]
소련
콜라급 호위함
1,679톤 ~ 1,900톤
1,339톤

1951년


4.2. 2,000톤 이상 ~ 3,000톤 미만[편집]


파일:Fl6aMbL.jpg
호주 시드니항을 방문한 FFK-958 울산급 제주함 (2005년 12월)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최대 방공망
취역
중화인민공화국
장웨이급
2,393톤
2,250톤
8km ~ 15km
2009년 9월 19일
대한민국
울산급
2,180톤 ~ 2,350톤
1,500톤
5km
1981년 1월 1일
벨기에/불가리아
윌루에겐급
2,350톤[23]
1,850톤
20km
1976년 ~ 2005년
영국
16형 호위함
2,300톤
1,800톤

1951년
대한민국/방글라데시
BNS 방가반두
2,370톤
12km
2001년 6월 20일
영국
61형 호위함
2,400톤
2,170톤

1957년 2월 27일
영국/방글라데시/인도
41형 호위함
2,560톤
2,337톤

1957년 ~ 1978년
영국/뉴질랜드/인도
12형 호위함
2,600톤
2,185톤

1956년 5월 10일
영국/남아프리카 공화국
15형 호위함
2,743톤
2,337톤

1951년
터키/독일
쾰른급
2,750톤


1961년 4월 15일
프랑스
프로레알급
2,950톤
2,600톤

1992년 5월 27일
인도
닐기리급
2,962톤

3km
1972년 6월 23일
이탈리아
루포급
2,986톤

20km
1977년7월 20일
일본
아부쿠마급
3,000톤~

5km 미만
1989년12월 12일
대한민국
인천급 Batch-1
2,800톤 ~ 3,000톤

10km 미만
2013년
대한민국
대구급(인천급 Batch-2)
2,800톤 ~ 3,000톤

20km
2017년


4.3.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편집]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최대 방공망
취역
이탈리아
마에스트랄레급
3,040톤

20km ~ 40km
1982년 3월 7일
싱가포르/프랑스
포미더블급
3,200톤

30km ~ 120km
2007년 5월 5일
프랑스
라파예트급
3,600톤
3,200톤
11km ~ 16km
1996년 3월 22일
대만
캉딩급
3,600톤
3,200톤
11km ~ 16km
1996년 6월
호주/뉴질랜드
안작급
3,600톤

20km ~ 50km
1996년 5월 18일
브라질
니테로이급[24]
3,707톤
3,355톤
20km ~ 40km
1976년 11월 20일
네덜란드/칠레
야콥 반 헴스케르크급[25]
3,750톤
3,000톤
38km 미만
1986년 ~ 2009년
독일
브레멘급
3,750톤[26]
2,900톤
20km
1982년 5월 7일
독일/그리스
히드라급
4,000톤[27]
3,360톤
50km
1992년 11월 12일
러시아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4,035톤

30km
2013년 10월
인도
탈와르급
4,035톤

30km
2003년 6월 18일
호주
애들레이드급[28]
4,100톤

38km
1980년 11월 15일
미국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4,200톤

38km
1977년
중화인민공화국
장카이급
4,300톤

50km
2005년 2월
프랑스
조르쥬 레그급
4,500톤
3,550톤
11km ~ 16km
1979년 12월 10일
캐나다
핼리팩스급
4,770톤

50km
1992년 6월 29일
영국
23형 호위함
4,900톤

10km
1990년 6월 1일
프랑스
카사드급
4,950톤

38km
1988년


4.4. 5,000톤 이상 ~ 8,000톤 미만[편집]



여기부터는 사실상 구축함이라고 볼 수 있지만 작명만 호위함이라고 한다고 보면 된다.

제조 국가/운용국
함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최대 방공망
취역
러시아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5,400톤

50km
2013년
프랑스/모로코
아키텐급
5,800톤

30km ~ 120km
2012년 11월 23일
인도/러시아
시발릭급
6,200톤[29]
5,300톤
30km
2010년 4월 29일
이탈리아
베르가미니급
6,500톤

30km ~ 120km
2013년 12월
영국
31형 호위함
7,000톤

30km ~ 150km

이탈리아/프랑스
호라이즌급
7,050톤
5,600톤
30km ~ 120km
2007년 12월 22일
미국
컨스텔레이션급
7,400톤

30km ~ 324km[30]

영국
26형 호위함
8,000톤

30km ~ 240km

중국
054B형 호위함
6000톤




4.5. 8,000톤 이상 ~ 12,000톤 미만[편집]


제조 국가/운용국
함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최대 방공망
취역
호주
헌터급
10,000톤



독일
F126급
10,550톤


2028년 예정
독일
F127급
12,000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7:05:27에 나무위키 호위함/배수량별 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6415959[2]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773414[3] 여기서 말하는 국제적인 표준은 가장 많이 선호하거나 분포되어 있는 기준을 말한다. 물론 이것들은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다. 하지만 암묵적이거나 통상적으로 구분되는 기준에서 그렇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의 헬기구축함의 경우 타국에서는 100% 항공모함이나 헬기모함으로 분류되는 물건이다. 그것은 웰도크도 없어서 강습상륙함도 절대 구분할 수 없는 물건이다. 통상 헬기나 항공기가 착륙할 수 있는 갑판에 웰도크가 추가돼야 강습상륙함으로 분류된다. 웰도크가 제외된다면 좋게 봐야 헬기항모나 LHA이다. 자세한 내용은 헬기항모 항목 참조.[4]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009&aid=0003027623[5] 체급만 거대하고 무장 자체는 통상적인 호위함과 유사하다.[6] http://en.wikipedia.org/wiki/Ister_class_frigate[7] 브리스톨급 스크류 호위함[8] HMS 랄레이 스크류 호위함(1873년)[9] HMS 인칸스턴트 스크류 호위함(1868년)[10] HMS 샤급 스크류 호위함(1873년)[11] http://en.wikipedia.org/wiki/Sachsen-class_ironclad[12] http://en.wikipedia.org/wiki/Kaiser-class_ironclad[13] http://en.wikipedia.org/wiki/Warrior-class_ironclad[14] http://en.wikipedia.org/wiki/Colony_class_frigate[15] http://en.wikipedia.org/wiki/Captain_class_frigate[16] http://en.wikipedia.org/wiki/Loch_class_frigate[17] http://en.wikipedia.org/wiki/Asheville-class_frigate[18] http://cs.wikipedia.org/wiki/T%C5%99%C3%ADda_Loch[19] http://en.wikipedia.org/wiki/Tacoma_class_frigate[20] http://blog.daum.net/our-21c-park/13057708[21] http://en.wikipedia.org/wiki/Bay-class_frigate[22] http://fa.wikipedia.org/wiki/%D9%86%D8%A7%D9%88%DA%86%D9%87_%DA%A9%D9%84%D8%A7%D8%B3_%D8%A7%D9%84%D9%88%D9%86%D8%AF[23] http://nl.wikipedia.org/wiki/Wielingenklasse[24] http://en.wikipedia.org/wiki/Niteroi_class_frigate[25] http://en.wikipedia.org/wiki/Jacob_van_Heemskerck_class_frigate[26] http://it.wikipedia.org/wiki/Classe_Bremen_(fregata)[27] http://en.wikipedia.org/wiki/Hydra_class_frigate[28] http://en.wikipedia.org/wiki/Adelaide_class_frigate[29] http://en.wikipedia.org/wiki/Shivalik_class_frigate[30] https://www.quora.com/What-is-the-range-of-the-an-spy-6-radar-How-many-targets-can-it-tr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