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제천

덤프버전 :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강

[ 한반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아시아 ]
아시아
중국
황하 · 장강 · 회하 · 황푸강 · 주강 · 송화강 · 요하 · 한수 · 위수 · 타림강 · 펀허강 · 하이허 · 호타하 · 목단강
일본
도톤보리강 · 요도가와강 · 아라카와강 · 시나노강 · 도네강 · 덴류강 · 모가미강 · 기타카미강 · 테시오가와 · 이시카리가와 · 쿠즈류가와
대만
아이허
동남아시아
다강 · 카강 · 마강 · 홍강 · 메콩강 · 바싹강 · 세콩강 · 세레뽁강 · 살윈강 · 이라와디강 · 똔레쌉 · 카푸아스강 · 뱅완솔로 강 · 마하캄강 · 무시 강 · 맘베라모강 · 바리토강 · 칠리웅 강 · 바탕하리강 · 캄파르강 · 미미카강 · 타리쿠강 · 모요강 · 모마츠강 · 와아포강
남아시아
갠지스강 · 인더스강 · 그레이트자브강 · 베이루트강 · 바라다강 · 카베리강 · 브라마푸트라강 · 고다바리강 · 나르마다강 · 크리슈나강 · 마하나디강 · 크시프라강 · 만잘라르강 · 야무나강 · 참발강 · 간다키강 · 비야스강 · 코시강 · 페니강 · 바나스강 · 바그마티강 ·
서아시아
요르단강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자얀데강 · 자이루드강 · 카르케흐강 · 세피드강 · 아라스강 · 톤레산강 · 무라트강 · 크즐으르막강 · 예실으르막강 · 하부르강 · 리타니강 · 오론테스강 · 디얄라강 · 카지르강 · 헬만드강
중앙아시아
추 강 · 일리 강
북아시아 · 몽골
예니세이강 · 아무다리야 강 · 시르다리야 강 · 출림강 · 포로나이강 · 투라강 · 토볼강 · 타즈강 · 콜리마강 · 캄차카강 · 칸강 · 오논강 · 레나강 · 카툰강 · 아무르강 · 제야강 · 뉴야강 · 니즈나야퉁구스카강 · 바르구진강 · 실카강 · 인디기르카강 · 안가라강 · 오브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유럽 ]
유럽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라인강 · 뫼즈 강 · 마른 강 · 마인강 · 암스텔강 · 엠스강 · 볼가강 · 센강 · 루아르 강 · 론 강 · 가론 강 · 에브로 강 · 템스강 · 에덴강 · 테이강 · 에이번 강 · 웰랜드강 · 디강 · 스페이강 · 아디제 강 · 엘베강 · 오데르 강 · 비스와 강 · 이손초 강 · 부크 강 · 테베레강 · 돈강 · 과달키비르 강 · 다우가바 강 · 드니프로강 · 네바 강 · 모스크바 강 · 바트강 · 베저 강 · 포강 · 하펠강 · 피아그돈강 · 피사강 · 프루트 강 · 프레골랴강 · 폰탄카강 · 포노이강 · 페초라강 · 파흐라강 · 테레크강 · 클랴지마강 · 쿠반 강 · 쿠마강 · 쿠디마강 · 코토로슬 강 · 케티강 · 카마강 · 츠나강 · 쳅차강 · 나라강 · 나르바강 · 네만강 · 니바강 · 데스나강 · 라마강 · 로바티강 · 메자강 · 소지강 · 스비리 강 · 옴강 · 레크 강 · 인달스벤강 · 달라벤강 · 토르네강 · 클리어강 · 미뉴 강 · 제제레강 · 도우루강 · 할리아크몬강 · 에우로타스강 · 스트루마강 · 네스토스강 · 바르다르 강 · 남부크 강 · 사바 강 · 이르티시강 · 산강 · 우아즈강 · 엔강 · 우랄강 · 무어 강 · 블타바 강 · 빌렌 강 · 피아베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 강 · 마리차 강 · 머지 강 · 메드웨이강 · 세번 강 · 트렌트 강 · 네카어강 · 모젤 강 · 타구스 강 · 과디아나 강 · 도루 강 · 후카르 강 · 알리에 강 · 도르도뉴 강 · 샤랑트강 · 드라바강 · 비그강 · 부옥시강 · 탈리아멘토강 · 솜강 · 루비콘강 · 볼호프강 · 아켈루스강 · 라우마강 · 누메달강 · 오트라강 · 포스강 · 그레이트우즈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아프리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아메리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오세아니아 · 남극 ]


🌊 한강의 지류

[ 펼치기 · 접기 ]
정렬 가나다순 · : 현재 복개한 지류


가정천
가정천
간매천
개화천
계양천
계장천
고교천
고명천
곡수천
골지천
광천
구룡천
국사천
궁촌천
금당천
금사천
남천단양
내사천
노동천
단양천
당곡천
대장천
덕평천
덕풍천
도곡천
도촌천
동달천
동대천
매포천
법천천
보발천
복포천
봉성포천
사이곡천
사탄천
산곡천
상리천
석항천
성덕천
수산천
신내천
양근천
양택천
양화천
어곡천
어천
연양천
영덕천
오금천
오대천
오량천
옥동천
용담천
용탄천
운계천
월문천
임계천
장선천
장월평천
정암천
제천천
조동천
죽령천
지장천
창리천
척천
하일천
한포천
향금천
향동천
향리천
홍릉천
후포천
흑천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방하천
홍제천

| Hongjecheon River

위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울특별시 마포구
수계
한강수계
발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49
합수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특별시 마포구 망원동 한강
유입

유출
한강
길이
11.95km
유역면적
50.80km²
유량

하천코드
1025350
1. 개요
2. 유래
3. 이명과 지명
4. 개발
4.1. 현재 개발 및 복구
4.2. 구 홍제천의 흔적
5. 기타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 북한산에서 발원하여 서울특별시 종로구-서대문구-마포구를 거쳐 성산대교 북단 성산지하차도 근방에서 불광천과 만난 후 함께 한강에 합류하는 하천이다.


2. 유래[편집]


조선시대에 중국의 사신이 묵어 가던 홍제원(弘濟院)이 있던 점에서 유래한다. [1][2]


3. 이명과 지명[편집]


모래가 많은 하천이라고 해서 모래내 혹은 이를 한자로 바꾼 사천(沙川)으로 불린다. 서대문구 남가좌동에 위치한 모래내시장과 이 하천을 건너가는 수색로상의 교량 명칭인 사천교성산로상의 모래내고가도로에서 이 명칭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하천을 통과하는 행정구역은 남가좌동으로, 가좌라는 이름은 가재울이라는 마을 이름을 한자로 음차한 것이다.

한편으로는 위의 유래에서 홍제원천, 상류 근처에 세검정이 있다는 점에서 세검천이라고도 불린다.


4. 개발[편집]



4.1. 현재 개발 및 복구[편집]


일제강점기 당시 직강화공사를 하여 옛 성산1동과 망원동으로 굽이굽이 지나던 홍제천을 성산과 새터산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였다. 직강화된 홍제천은 현재 성산1동과 성산2동의 경계선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뚝방길로 현재의 모래내길과 성산로가 탄생한다.

1995년에는 내부순환로가 홍제천을 따라 개통하였다.

2000년대 초반에 홍제천으로 한강물을 끌어오게끔 하는 작업을 실시하여 홍제천은 사시사철 물이 흐르는 하천이 되었으며, 여름에는 서대문구청 인근에 위치한 인공폭포도 동작한다.


홍제천 자전거도로 (포방터~한강)

홍제천 (중간회차 왕복)



4.2. 구 홍제천의 흔적[편집]


하기 내용은 옛 미군정기 지도와 도보탐사를 토대로 작성되었다. 정확한 사료가 있는 경우 수정 요망.

사천교에서 옛 홍제천의 북쪽 경계는 월드컵북로12길-월드컵북로9길-성미산로-월드컵북로 23길로 이어지는 선형이며, 남쪽 경계는 성미산로15길-성미산로19길-월드컵북로7길-월드컵로16길-월드컵로15길-월드컵로11길-회우정로로 이어지는 선형이다. 즉, 성산1동을 통과하여 망원역 북쪽을 지나 망리단길 인근에서 한강에 합류하던 하천이었다. 현재는 매립되어 주택가가 형성되었다.

다만 직강화공사와 별개로 사천이라는 동명의 개천[3]으로 구.홍제천에서 분리된 개천이 존재하였는데, 경성고등학교 인근에서 갈라져서 동교로27길-월드컵북로4길-동교로22길-월드컵로8길로 이어지는 지천이 존재하였다.

한편, 세교천이라는 하천도 존재하였는데, 안산에서 발원하여 동교동과 서교동 일대를 따라 옛 홍제천에 합류하였다. 현 연희로25길-연희맛로-동교로의 선형과 완벽히 일치한다.세교라는 이름은 홍대거리 주변의 잔다리와 홍대거리를 뚫고 지나가던 철도인 당인리선세교리역에 반영되어 있다.


5. 기타[편집]


1.21 사태 당시 김신조가 자하문을 통화하려다가 세검천에서의 검문으로 발각되었는데, 여기서 세검천이 바로 홍제천이다.

홍제견인차량보관소-홍제교 구간은 복개되어 있다.

조선 중기까지의 한성부 성저십리의 서쪽 자연경계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홍제천의 직강화공사로 인해 한강의 제1지류였던 불광천은 홍제천에 합류하므로써 한강의 제2지류가 되었다. 이 밖에도 난지천이 홍제천의 제2지류이다. 인공폭포는 겨울이 되면 인공 빙벽으로 변한다.


6.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20:16:11에 나무위키 홍제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는 수도권 전철 3호선홍제역의 역명 유래와 같다.[2] 여담으로, 중국 사신이 홍제원을 떠나 지금의 통일로를 따라가 한양에 도착하면 그들을 맞았던 것이 영은문이었다. 영은문을 헐고 독립문을 세운 목적이 중국과의 사대관계를 청산하자는 것을 떠올리면 현 통일로의 길목이 중국과의 교류하는 통로였음을 알 수 있다.[3] 한강의 샛강과 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