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북
덤프버전 : r20230302

1. 개요[편집]
화베이(華北). 과거에 보통 중원이라 하면 화북에 속하는 황하 유역을 지칭했으며, 중국사 내내 정치적 중심지였다.
2. 상세[편집]
정확한 영역은 시대별로 다르고 학자별로 다르다. 화이허 이북을 화북이라 할 때도 있고, 화이허 이남을 화남, 화이허 일대를 화중이라 하고 화중 이북을 화북이라 칭하기도 한다. 여기에 동부 연해 지역이 화동, 서부 내륙 지역이 화서라는 분류도 있어서 어떤 기준을 두느냐에 따라 범위가 크게 변한다.## 화베이 평원이 위치해 있어 높은 농업 생산량을 자랑한다.
구분 방법에 따라 화북, 화남 등이 없어지기도 한다.
3. 역사[편집]
화북이라 칭하는 지역은 사람마다 다르고 시대마다 다르지만 어떤 기준으로 나누던 화북의 국력이 다른 지역보다 우세하였다. 애초에 중국 문명의 발상지인 황하 유역이 화북이며, 화남은 수풀이 우거진 밀림과 축축한 늪지대가 대부분인 미지의 땅이었다. 주나라 이래부터 한나라까지 이곳의 이민족들을 몰아내고 어느 정도 개발을 해놓긴 하지만 실질적으로 장강 주변과 몇몇 거점도시에나 확실하게 통치력이 미쳤고 나머지 화남 지역 대부분은 과장 좀 보태서 만리장성 이북의 몽골 초원이나 다름없는 미지의 땅이었다. 이는 삼국시대 당시의 오나라도 마찬가지였으며, 촉과 오가 힘을 합쳐도 위나라 군대에 못 미치는 것을 보면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5호 16국 시대부터 북방 유목민에게 화북을 빼앗긴 한족들이 대거 화남으로 이주, 한족 왕조를 이어 남북조시대를 열면서 본격적으로 개발이 시작되었고, 통일 이후 수나라의 대운하 건설, 남송시대를 거치며 장강 하류의 생산력이 급상승하여 전란으로 피폐해진 화북을 앞질렀다.
비록 화남의 생산력이 대폭 상승했더라도 인구는 화북에 비해 수배 이상 부족했기 때문에 그 차이를 메꾸기는 쉽지 않았다. 게다가 그 상승된 생산력은 화남의 인구를 늘리는데 투입된 것이 아니라 화북의 인구를 먹여살리기 위해 운송됐다. 대운하를 만든 이유도 화남의 생산물을 화북으로 옮기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여전히 두 지역 간에 군사적 대결이 발생할 경우 명나라 건국과 국민혁명의 2번을 제외하고는 늘 화북의 승리로 끝났다.[1] 또한 정난의 변 이후에는 영락제가 근거지인 베이징으로 천도하여 수도로 삼았으며, 국공내전에서 승리한 중화인민공화국도 중화민국의 수도 난징에서 베이징으로 천도하여 현재도 화북은 중국의 중추지로 남아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