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북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제주도의 법정동에 대한 내용은 화북동 문서
화북동번 문단을
화북동#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중국 국장.svg

[ 펼치기 · 접기 ]

베이징시

· 톈진시

· 허베이성

· 산시성

· 내몽골 자치구



랴오닝성

· 지린성

· 헤이룽장성



화둥 지구

상하이시

파일:1px 투명.svg
· 장쑤성

· 저장성

· 안후이성

· 푸젠성

· 장시성

· 산둥성

· 타이완성



중난 지구

허난성

· 후베이성

· 후난성

· 광둥성

· 광시 좡족 자치구

· 하이난성

· 홍콩 특별행정구

· 마카오 특별행정구



시난 지구

충칭시

· 쓰촨성

파일:1px 투명.svg
· 구이저우성

파일:1px 투명.svg
· 윈난성

파일:1px 투명.svg
· 티베트 자치구



시베이 지구

산시성

파일:1px 투명.svg
· 간쑤성

파일:1px 투명.svg
· 칭하이성

· 닝샤 후이족 자치구

· 신장 위구르 자치구


{{{-2 {{{#ffff00

한자
: 행정 약칭




1. 개요
2. 역사
3. 같이보기



1. 개요[편집]


華北/华北

중국의 지역.

정확한 영역이 없어 황하 이북, 회하 이북이라 하기도 하고 화중 이북이라 하기도 한다.[1] 화북 평야가 위치하고 있다.

친링산맥(秦嶺山脈)과 화이허(淮河)를 기준으로 화북, 화남 등으로 나누는 건 지리학적인 구분을 위해 20세기 초 중국의 지리학자 장샹웬(張相文, 1867~1933)이 1908년에 정립한 것이다.#

재배에 적합한 기후라 밀로 만든 빵이나 국수가 주식이다. 만터우꽃빵 등이 대표적.

파일:qvTDkZn.png
서기 2년 전한 인구 밀도. 화북의 인구가 많았다.


파일:중화민국 지역.png

중화민국의 구분


파일:지리 구분.png

화북(HB), 화남(HN), 장강 이북(BCH), 장강 이남(NCH)
화북/화남이 없는 구분도 있다.


파일:중국 지역 구분1.png

중화인민공화국의 현대 구분.


파일:중국 지역 구분2.png

중화인민공화국의 개발정책에 따른 구분. 화남/북 등 없이 동부, 서부, 동북, 중부 지구로 구분한다.


2. 역사[편집]


중국 문명의 발상지였으며, 중국사 내내 정치적 중심지다. 상고 주나라 이래부터 고대 한나라까지 이곳의 '오랑캐'들을 몰아내고 어느 정도 개발을 해놓긴 하지만 실질적으로 장강 주변과 몇몇 거점도시에나 확실하게 통치력이 미쳤고, 나머지 화남 지역 대부분은 과장 좀 보태서 야만족의 땅이었고 미지의 땅이었다. 이는 후한13주, 삼국시대 당시의 손오도 마찬가지였으며, 촉한오나라가 힘을 합쳐도 조위의 국력에 못 미치는 것을 보면 추측할 수 있다.

하지만 중세 5호 16국 시대부터 한족들이 북방 유목민에게 화북을 빼앗기고 대거 화남으로 이주하여 한족 왕조를 이어간 남북조시대를 열면서 본격적으로 개발이 시작되었고, 이후 천하통일을 이룩한 수나라 대운하의 건설, 결정적으로 남송 시대를 거치며 장강 하류의 생산력이 급상승하여 근세 --의 끊임없는 유목민 정복왕조로 피폐해진 화북을 앞질렀다.

단, 비록 화남이 장강 하류 개발로 생산력이 대폭 상승했더라도 인구면에서는 화북에 비해 수배 이상 부족했기 때문에 그 차이를 메꾸기는 결코 쉽지 않았다. 게다가 그 상승된 생산력은 그대로 화남의 인구를 늘리는데 투입된 것이 아니라 화북의 인구를 먹여살리기 위해 운송됐다. 애초에 대운하를 만들어 장강과 황하를 연결한 이유가 화남의 생산물을 화북으로 옮기기 위한 것이었다.

그리고 화북은 비교적 한랭한 평원지대라서 강이 가득한 온난한 화남보다 기병 양병이 수월했기에 여전히 남북 두 지역 간에 군사적 대결이 발생할 경우 명나라, 중화민국 두 번을 제외하고는 늘 화북의 승리로 끝났다. 명나라의 홍무제가 근거지 난징에 도읍을 설치했지만 정난의 변 이후 영락제가 근거지 베이징으로 천도하였다. 그리고 명나라에 이어 현대 중화민국장제스국민당의 2차 북벌북양정부를 물리치고 난징으로 환도함으로써 중국의 중추지가 화남[2]으로 이전하는듯 싶었지만 국공내전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이 승리하고 중화민국이 대만 섬으로 피신하면서 중공이 다시 베이징으로 정도하여 현재도 화북은 중국의 중추지로 남아있다.


3. 같이보기[편집]


  • 중화
  • 화동
  • 화중
  • 화남
  • 화서
  • 화하
  • 화인
  • 24절기[3]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23:09:42에 나무위키 화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 #2[2] 중화민국의 지역 구분으로는 화중지방[3] 중국 화북지방의 날씨를 기준으로 고안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