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파(무협)

덤프버전 :





화산파
華山派


파일:dsc_0099.jpg

무협 속 화산파가 위치한 산시성 화산
소속
정파
중심지
산시성(섬서성) 화산

1. 개요
2. 역사
3. 무공
4. 매체별 모습
4.1. 김용월드의 화산파
4.1.1. <의천도룡기>의 화산파
4.1.2. <소오강호>의 화산파
4.1.3. <벽혈검>의 화산파
4.2. 한백무림서의 화산파
4.3. <군림천하>에서의 화산파
4.4. 풍종호 무협소설의 화산파
4.6. 기타 화산파 인물 주연 작품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구파일방 중 하나로 정파의 대표적인 주요 문파 중 하나로 여겨진다. 섬서성 화음현의 화산 서쪽에 있는 연화봉 정상에 위치하고 있다.


2. 역사[편집]


도가 계열 중에선 무당파와 함께 소재로 은근히 자주 활용되는 문파로, 지금은 고전격 무협소설로 취급받는 소오강호, 벽혈검의 영향과 이후 부각된 매화 등 확실한 문파색 때문인지 여러 무협물에서 주인공급 문파로 등장한다. 물론 선역뿐 아니라 악역으로[1] 등장하는 작품도 있다.

실존하는 화산파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도가 문파지만, 작품에 따라서는 도교와는 크게 상관없는 속가 문파로도 나온다. 단적인 예로 김용의 《소오강호》에서도 화산파는 딱히 도문으로서의 면모를 드러내지는 않았다.[2] 다만 벽혈검에서는 현재에도 전해지는대로 도가적인 분위기가 강한 문파로 나온다. 화산파의 개파조사로 학대통이 유력한 인물 중 하나다 보니 여러 무협물에서도 그를 조사로 묘사하지만, 아예 언급을 하지 않거나 다른 인물인 경우도 있다. 김용월드에서도 학대통이 등장하긴 하지만 화산파의 개파조사라는 오피셜은 없었다.[3]

무당과 천하제일검문과 천하제일도문을 경쟁하는 경우가 많다.[4] 이것저것 많이 수련하는 다른 문파와는 달리 화산파는 닥치고 하나로 끝을 보자는 경향이 강하다.[5] 이런 성향은 같은 정파 계열인 곤륜파와 닮았으며, 화산파 제자가 검이 아닌 다른 절기를 쓰는 건 보기 힘들 정도이다. 무당파와 같은 도가 계열의 산문이긴 한데 무당이랑 이미지가 겹쳐서 그런지 이쪽은 조금 더 속세지향적인 경향을 띤다. 검법은 초식이 매우 화려하고 우아하여 강호에서 독보적인 것으로 평가받는 경우가 많고, 따라서 극한의 쾌검과 환검을 지향하는 식의 묘사가 많다.

유명한 검법으로는 이십사수매화검법이 있다. 언젠가부터 극성에 달하면 매화향이 퍼진다는 묘사가 생겼는데, 설정 자체는 90년대에도 있었다는 카더라가 있지만 대중화된 건 2000년대 국내 무협소설계의 스테디셀러인 《비뢰도》의 영향이 크다. 매화검법은 화산에 매화가 많이 펴서 그걸 보고 검술을 창안했다는 게 흔히 알려진 이야기지만[6], 실제 화산은 물론 나무들도 자라긴 하지만 바위산도 많아서 딱히 매화가 유명하지도 않은데다가, 중국 무협소설이나 한국의 구무협시대에도 화산과 매화를 연결하는 소재는 쓰인 적이 거의 없었다. '화산=매화'라는 공식은 2000년대에 들어서야 한국 신무협류 소설에서 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매화검법 역시 마찬가지.

실제로 초기 중화권 무협소설 중 화산파가 등장한 유명한 소설인 벽혈검에서는 복호장이나 파옥권 등의 권장각술을 쓰는 것으로 나왔으며, 검법으로는 소오강호에서 탈명연환삼선검같은 검법을 쓰는 것으로 나오기도 했다. 다만 2000년대 후반부터는 중화권 무협소설에서도 매화검법이 등장하고 있는데, 상술하듯 2000년대 이전 무협소설에서는 화산파와 매화를 연결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는걸 생각해보면 일종의 역수출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7] 구무협 시대가 쇠락하고 이에 대한 반성으로 1990~2000년대 신무협 시대를 거치면서, 한국 무협소설계는 기존 중화권 무협소설계의 설정을 차용하던 수준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설정이나 무공 묘사도 많이 만들어냈으니 어찌보면 당연한 소리기도 하다. 연장선상에서 초창기 한국 무협에서 무당파의 트레이드 마크 가운데 하나가 '소나무 무늬 검' 즉 송문고검(松紋古劍)이라, 도가 라이벌격인 화산파의 상징으로 매화 문양을 배치한거 아니냔 말도 있다.

김용 월드에선 의천도룡기 시대에는 약간 권법이 강조되었으나, 소오강호 시대부터는 검법이 강조되었다. 현대 화산파 무협물에선 잘 차용하는 설정은 아니지만, 소오강호 화산파만의 특이한 설정으로는 검종/기종이 있었다. 자세한건 아래 문단도 참고.

양산형 무협을 비꼴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어이기도 하다. 화산(빛날 화)를 (불 화)인 것마냥 이야기 하는 것이 주 요소.


3. 무공[편집]


무공 부분에선 한국 무협물과 중국 무협물의 묘사가 많이 다른 편인데, 예를 들어 상기되어있듯 매화검법을 비롯한 매화 관련의 무학 또는 무공은 2000년대 이후 한국 신무협물에서부터 주로 취급하기 시작한 내용이다. 애초에 화산 자체가 산세가 험한 거대한 바위산이라 매화같은 꽃이 유명한 곳도 아니다보니 중국에서는 화산과 매화를 연결한 경우가 없었고, 이 때문에 무학의 의미에서도 중국 무협지에서는 주로 바위산 특유의 기묘하고 위험한 산세를 고려해 기(奇), 험(險)을 핵심으로 삼는 것으로 묘사해왔다.

  • 응사생사박(鷹蛇生死搏): 의천도룡기에서 선우통이 사용한다.
  • 반양의도법(反兩儀刀法): 두 명이 함께 사용하는 도법. 《의천도룡기》에서 화산이로가 사용했다. 왠지 곤륜파의 정양의검법(正兩儀劍法)과 결합하면 허점이 더욱 보완된다고 한다.
  • 이십사수매화검법: 한국의 국산검법이다. 중국에는 없는 무학. 쾌, 변, 환 이 3가지의 검의를 중요시 하는 검법으로서 화산의 절학이라 할 수 있다.
  • 자하신공: 소오강호 초반부에서 악불군이 사용한다. 참고로 자하신공은 화산의 최고 무공인데, 도가계열의 무공 중 꽤 높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과 한국 무협물 모두 화산파 관련해선 자주 언급하는 내용이지만, 무공 묘사는 작품마다 다르고 자주 나타나는 공통점은 주로 장문인만 배울 수 있는 특별무공이라는 것.

그밖에 많디많은 무학이 중국 포털 바이두에 적혀져있는데, 대표로는 화산검법(華山劍法), 태악삼청봉(太岳三靑峰), 탈명연환삼선검(奪命連環三仙劍), 광풍쾌검(狂風快劍), 청풍십삼식(淸風十三式), 육합검법(六合劍法), 금룡검법(金龍劍法), 삼달검(三達劍) 등의 검법이 있고, 혼원공(混元功), 포원경(抱元功) 등의 내공심법이 있으며, 벽석파옥권(劈石破玉拳), 혼원장(混元掌), 적심수(摘心手) 등의 외공이 있다.

여담으로 많은 사람들이 김용월드의 독고구검(獨孤九劍)을 화산파의 무학으로 알고 있는데, 소오강호에서 화산파 검종(劍宗)의 제자 풍청양(風淸揚)과 후대 기종(氣宗)의 제자인 영호충(令狐冲)이 배워서 그런 인식이 있는 것일뿐, 독고구패 자체가 화산파 소속이 아닌 독고다이 기질의 인물이었기 때문에 그의 검법 역시 화산파가 주워 배운 것일뿐, 화산파의 무학이라고 할 순 없다.

4. 매체별 모습[편집]



4.1. 김용월드의 화산파[편집]



4.1.1. <의천도룡기>의 화산파[편집]


육대문파의 하나이지만 서열은 가장 아래.(…) 장문인인 선우통조차도 무공은 별 볼일 없지만 지략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역사적으로는 전진칠자의 일원이었던 학대통이 창시한 문파이지만, 작중에선 별다른 언급이 없다.

호청우는 과거에 귀주성(貴州省) 묘강(苗疆) 지역에서 금잠고독(金蠶蠱毒)에 중독된 신기자(神機子) 선우통(鮮于通)을 3일 밤낮으로 치료해서 구해주었고, 그와 친구가 되어 여동생 호청양(胡靑羊)까지 아내로 주었다. 하지만 선우통은 화산파 장문인이 되려는 야망 때문에 전대 화산파 장문인의 딸과 결혼하면서 호청우의 여동생을 저버렸고, 호청우의 여동생은 뱃속의 아기와 함께 자결하고 만다. 호청우는 복수를 위해 선우통을 몇번이나 찾아 갔지만, 선우통의 무공과 화산파의 세력을 당해내지 못해고 번번히 참패했으며 목숨을 잃을 뻔 하기도 했다. 명교의 내분 때문에 형제들의 도움도 얻을 수 없었다.

화산이로(二老):키가 큰 노인은 고로자(高老子), 키가 작은 노인은 왜로자(矮老子). 왜로자 쪽이 사형. 고로자는 낯두꺼운 성격으로, 본래 강호에서는 위진(威震)으로 시작하는 별호를 쓰고 있는 것 같다. 왜로자는 상당히 성격이 급하고 화를 잘 내는 성격이다. 화산파의 원로 장로로, 명교를 공격할 때 선우통이 장무기에게 당해 쓰러지자 자신들이 직접 나서서 장무기와 대결한다. 반양의도법(反兩儀刀法)을 쓰다가 안 먹히자, 곤륜파하태충 부부까지 힘을 합쳐서 장무기와 대결했다. 하지만 장무기는 주지약의 조언을 듣고 정반양의도법의 변화를 모두 파악한 다음, 건곤대나이로 도법을 꼬아버려서 승리하게 된다. 소림사에서 열린 도사 영웅대회에도 참가했다. 왜로자는 개방의 집법장로와 싸우다가 패배했고, 고로자는 나서려다가 도전을 해봐도 질게 뻔하니 돌아갔다.

설공원(薛公遠):금화파파에게 당해 호청우의 호접곡에 나타나서 치료를 요구하며, 호청우 대신 장무기에게 치료받는다. 하지만 얼마후 장무기가 호접곡에서 나와 양불회를 데리고 서역으로 갈 때, 기근이 든 지역을 지나게 되자 공동파의 성수가람 간첩과 함께 중간에 나타나서 장무기와 양불회를 붙잡아 식인을 하려 한다. 명문정파의 신의는 커녕, 인륜조차도 저버린 파렴치한 행각이었지만 장무기가 근처에 피어 있던 독버섯을 몰래 냄비에 넣어서 그 국물을 마시고 중독되어 사망한다.


4.1.2. <소오강호>의 화산파[편집]


김용의 소설 소오강호에서 주인공 영호충이 속해있는 중심 문파로 등장한다. 20세기 무협물에서 화산파 인지도가 높아지는데 큰 역할을 한 작품이다.

소오강호 화산파만의 설정으로 검종/기종으로 계파가 나뉘어 집안 싸움을 벌이는데, 검종은 검술 짱짱맨을, 기종은 내공 짱짱맨을 외치고 있다. 내막을 보면 영호충이 활약하기 몇십년전 소림사에서 하루 머물던 악숙와 채자봉이 비급 규화보전을 엿보다가 시간이 없어 서로 반반 보기로 하는데, 이때문에 무학의 이론에서 분기점이 일어난다. 결국 화산파는 검기이종지정(劍氣二宗之争)을 겪으면서 검종과 기종으로 나뉘어 다투다 나중엔 서로 월녀봉에서 결투하고 끝을 보기로 했는데, 이때 검종보다 약했던 기종이 일종의 사기 결혼으로 당시 검종 최고 고수인 풍청양을 강남으로 보내 결혼시킨다. 그리고 풍청양이 없는 틈을 타 검종과 기종이 격돌하고 그 결과 쌍방 합쳐서 20명 이상의 초고수가 죽어나간다.

그래도 기종이 피로스의 승리긴 하지만 이기긴 해서 후대격인 영호충도 기종 출신이지만, 대다수의 고수가 죽고 실전된 검술도 있는 탓에 소오강호 시작 시점에선 장문인 부부 외에 이렇다 할 고수가 없어서 작중 여러번 굴욕을 당한다.[8] 결국 극성에 달하면 피부색이 자색이 된다는 내공심법인 자하신공을 익힌 장문인 악불군도 뒤에서는 검종의 탈명연환삼선검이나 벽사검법 같은 초식들을 몰래 수련했다. 반대로 검종의 인물인 봉불평은 초식 싸움으로 영호충한테 밀리자 내공 싸움을 해서 구경꾼들에게 한소리 듣기도 했다.

그러다 영호충이 검종 최고수로 은거하며 지내던 풍청양을 만나 검종의 유지를 잇게 된다. 근데 곰곰이 생각해보면 좀 웃긴게 작중 풍청양은 화산파 무공도 아닌 무초승유초를 강조하는 독고구검을 수련했으니 어떻게 보면 초식의 정교함을 추구하는 검종의 이념은 버린 것이란 의견도 있다.

4.1.3. <벽혈검>의 화산파[편집]


김용의 소설 벽혈검에서도 주인공 원승지가 화산파 무공을 습득해 중심이 되는 문파로 등장한다.

소오강호의 화산파와 동일한 화산파인지는 알 수 없으나, 대체적으로 동일한 문파로 인식한다. 그 이유는 화산파에서 풍씨의 인물을 조사로 모시고 있는데 바람 풍씨가 워낙 희귀한 성씨인지라 풍청양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아마도 오악검파 합병 및 사과애 사태로 화산파가 풍비박산이 난 뒤 화산에서 은거하던 풍청양이 화산파를 재건했거나, 아니면 풍청양에게서 무예를 사사한 어떤 인물이 화산파를 재건했다고 볼 수도 있다. 당시 장문인 목인청은 선검선원으로 불리며 무림 최고수로 통하고 있다. 사실상 벽혈검 시대 최강의 문파.

그의 제자인 황진과 귀신수, 원승지 모두 천하에 내로라하는 고수들이다. 주인공인 원승지가 목인청 밑에서 10년 동안 사사받고 무림에 나온다. 그러나 엑스트라의 비운인지 끝날때까지 그 강하다는 목인청의 싸움은 한번도 안나오고 귀신수와 황진의 활약이 일부 나오는 정도이다. 그리고 주인공 원승지가 이미 무림에 나오기 전에 3개 문파(화산파, 철검문, 금사랑군의 독문무공)의 무공을 습득하고 이후에도 이 세가지를 섞어쓴다.

김용의 다른 소설 녹정기와 일부 설정을 공유하기 때문에, 벽혈검의 화산파 인물들(원승지를 제외한 엑스트라들)은 녹정기에도 (나이를 더 먹은 상태로) 등장한다. 목인청의 둘째 제자 귀신수(주인공 원승지는 셋째 제자)는 벽혈검과 녹정기 모두에서 최고 레벨의 고수로 나오는데, 녹정기에서는 왠지 포스가 약해진 느낌이다. (천룡팔부나 영웅문 3부작에 나오는 영웅들과 비교했을 시엔 겨우 청나라 근위병 수십명을 해치우고 죽고 만다.)[9]


4.2. 한백무림서의 화산파[편집]


화산파(한백무림서) 문서 참조. 구파 중 하나이며 주인공 청풍의 사문이기도 하다.

기본적으로 화산에 자리한 도문이었으나 그 험준하고 화려한 산세탓일까 강건한 기상의 인물이 많이 배출되어 도문에서 분리되듯 떨어져나와 화산검파가 창설되고 무를 추구하는 도인들이 모두다 몰려들어 생긴 문파다.

장문인 천화진인은 최고의 문파를 만들기 위해 매화검수를 중심으로 하는 계급식 체계를 도입하여 패도적인 운영을 한다.

그래서 작중 등장하는 화산의 대부분의 인물들은 극기와 절제, 그리고 비정한 모습을 보여준다. 그 성정은 제자들에게도 전해져 평검수조차 죽는 순간까지 싸움과 전진을 생각하는 정도.

십이계율이란게 있어 화산제자들은 죽는한이 있더라도 적앞에서 물러서지 않는다. 그래서 화산의 인물들은 적이 아무리 강해도 무조건 1:1, 혹은 多:1로 각개격파당해주며 상대가 자신보다 월등히 강하더라도 칼집 하나 내고 말겠다는 일념으로 달려든다.

그외에도 오용(五勇) 사현(四賢)등의 과목이 있다. 무공, 전술, 암계, 추적, 암행과 의협, 도학, 지식, 지략. 그이전의 초급단계로 운대관 합격을 위한 육력이라는것도 있는 모양. 여튼 저걸 다 합격해야 매화검수로서의 길이 열린단다.

원 화산도문의 원로원들은 이에 탐탁치 않아 화산검파와는 크게 상관치 않은 운영을 하고 있다.[10]

그리고 성혈교 및 철기맹 등과의 전쟁을 통해 이 시스템의 문제점이 드러나게 되었고 협으로 돌아가자고 주장하며 무예를 떨친 질풍대협 청풍에 의해 좀 더 온화한 방향으로 문파의 성향이 변한 듯 싶다.


4.3. <군림천하>에서의 화산파[편집]


군림천하의 등장인물 문단 참고.


4.4. 풍종호 무협소설의 화산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화산파(풍종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5. <화산귀환>의 화산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화산파(화산귀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6. 기타 화산파 인물 주연 작품[편집]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화산파 문서의 r20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화산파 문서의 r20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23:23:38에 나무위키 화산파(무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표적으로 소오강호의 화산파 장문인 악불군이 있다.[2] 일반적으로 무당파나 곤륜파, 공동파가 도가의 성격을 많이 가진다. 물론 불교는 소림파와 아미파가 가장 유명한 편. 다만 전진교 사상을 볼 수 있듯이 계파인 화산파도 불교 사상이 많이 융합되었다.[3] 굳이 연관성을 찾자면 신조협려에서 학대통이 내공을 사용할 때 얼굴이 자주빛으로 물드는 장면이 있는데 이게 소오강호에서 등장하는 자하신공의 묘사와 유사하다는 점이다. 그런데 소오강호 이전 시대인 의천도룡기에서 등장하는 화산파는 전진교의 특징을 찾아볼 수가 없다.[4] 근데 화산파의 많디많은 역사피셜 중에 화룡진인이 화산에서 장삼봉한테 가르침을 주었다라는 피셜이 중국에 떠도는데, 그러면 무당파는 화산파의 도의를 이어받은 문파가 된다. 물론 음모론 취급하면 그만이라 무당파가 인정할 확률도 낮긴 하다. 애초에 무협물은 실제 역사랑 무관하니 더 신경쓸 필요 없고.[5] 다만 화산파 남천문 장문을 지낸 요화자 곽종인의 설명에 따르면 과거에는 무당파처럼 외공도 수련했다고 한다. 물론 무협 설정일 뿐이라 현실과 꼭 연관지을 필요는 없다.[6] 2020년대 인기웹툰 화산귀환에서는 개념을 살짝 비틀어 매화가 아닌 '개화(開花)=피어남'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7] 다만 매화검법이 등장한다는거지, 매화검법을 화산파와 연결짓는 작품이 있는지는 확인이 필요하다.[8] 이는 악불군이 무공에 과하게 집착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된다.[9] 다만 작중에서 근위병, 즉 황궁 어전시위들은 무림 레벨에서도 상당한 고수급으로 묘사된다. 그런 시위들을 수십명은 죽이고 수십명은 부상 입힌 끝에 죽었다. 상당한 도법 실력을 가진 모십팔도 황실에서 보낸 시위와 겨루면서 고전했다. 시위 총관 다륭의 경우에는 무림에서도 이름난 외문무공의 고수이다.[10] 이때문에 성혈교의 사방신검 탈취작전시 반응이 늦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