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덤프버전 :


대한민국

1~200
201~400
401~600
601~800
801~1000

1001~1200

1201~1400

1401~1600

1601~1800

1801~2000

2001~2142~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황남대총
皇南大塚


[ 펼치기 · 접기 ]
남분 추정 피장자
내물 마립간 · 실성 마립간 · 눌지 마립간
북분 추정 피장자
보반부인 · 아류부인 · 차로부인 · 자비 마립간
북분 출토 유물
[ 펼치기 · 접기 ]

남분 출토 유물
[ 펼치기 · 접기 ]




파일: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1.jpg

1. 개요
2. 내용
3. 외부 링크
4. 보물 제632호


1. 개요[편집]


皇南大塚南墳 銀製肱甲. 1973년~1975년 황남대총 남분 발굴 당시 출토된 신라시대 은제 경갑 팔뚝가리개.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632호로 지정되어 있다.


2. 내용[편집]


파일: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2.jpg
발굴 당시의 모습.

길이 35㎝, 상부 장폭 18㎝, 지름 각 6.8cm.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의 황남대총 남분에서 출토된 신라시대 무구(武具)로, 제작 연대는 대략 4세기 후반~5세기 초반(서기 300~400년대 사이)로 추정되고 있다. 같은 시기에 제작되어 황남대총에 함께 묻힌 황남대총 북분 금관,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황남대총 북분 은제 관식,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황남대총 북분 은잔, 황남대총 북분 금은제 그릇 일괄, 황남대총 남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 황남대총 남분 은관,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등 7만여점에 이르는 유물들과 함께 발견되었다.

발굴 직후 얼마전까지는 사람의 정강이에서부터 발목 사이를 보호하기 위한 정강이가리개(脛甲)로 여겨져왔으나 연구 결과 팔목에서 팔꿈치 사이를 보호하는 팔뚝가리개(肱甲)임이 확인되었다. 전쟁 중 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던 신라시대 방어용구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용구라 할 수 있다.

팔꿈치 쪽이 넓고 팔목 쪽이 좁은 방향이다. 순은으로 판형을 뜬 후 중심선을 따라 꽃봉오리 무늬를 도드라지게 새겼고, 팔목을 감싸는 부속은 가운데 부속의 양쪽에 경첩으로 달았으며, 팔목 안쪽에서 끈을 걸어 채울 수 있도록 나란하게 세 개씩 걸이를 달아놓았다. 둥글고 뾰족한 부분이 팔꿈치 쪽을 향하고 있어, 이를 찼을 때 무척 위압적으로 보이며 거기에 휘황찬란한 은빛 광채까지 더했으니, 전투 당시 보는 이로 하여금 더욱 위엄을 느끼게 했을 무구이다.

경주 천마총에서 출토된 금동제 경갑 이후 두번째로 발굴된 전쟁용 무구이다. 이후 다른 신라의 무덤에서도 다양한 금동제, 은제, 철제 경갑 보호구들이 출토되었는데 본 유물과 대체적으로 비슷한 양식을 하고 있다. 서기 300~400년대 한국의 은세공기술 및 금속공예술, 전통무구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1978년 12월 7일 대한민국 보물로 지정되었다.


3. 외부 링크[편집]




4. 보물 제632호[편집]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皇南大塚南墳 銀製肱甲)는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 지구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무덤인 황남대총에서 발견된 팔뚝가리개이다. 황남대총은 2개의 봉분이 남·북으로 표주박 모양으로 붙어 있다.

이 팔뚝가리개는 남쪽 무덤 널(관) 밖 머리쪽의 껴묻거리 구덩이(부장갱) 안에서 발견된 것으로, 길이 35㎝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00:45:25에 나무위키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