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산화 직접경로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편집]


황산화 직접경로(direct-sulfurylation pathway 또는 direct-sulfonylation pathway 또는 Direct Sulfhydrylation Pathway) 는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등에서 보여지는 직접적으로 메티오닌 생합성이 가능한 대사경로이다. 첫 번째 단계는 O-숙시닐호모세린 합성효소(O-succinylhomoserine synthase)에 의해 촉매되며, 두 번째 단계는 직접적인 설프하이드릴화(direct sulfhydrylation)에 의해 달성된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아직까지는 슈도모나스-균(Pseudomonas菌)이 직접적인 황수화(sulfhydrylation)과정을 위한 기질로서 숙시닐호모세린(O-succinylhomoserine)[1]을 사용하는 지금까지 알려진 유일한 유기체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효모(yeast)에서와 같이 시스테인호모시스테인 사이의 두 가지 황화 전환 경로(중간체인 시스타티오닌 포함)는 아마도 이 유기체에서 병행처리로 존재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2][3][4]


2. 메티오닌 생합성[편집]


황산화 직접경로(direct-sulfurylation pathway는 황화 전환 경로(transsulfuration pathway)와 함께 메티오닌 생합성 경로(methionine biosynthetic pathway)의 전구체 및 유도체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생명체내 주요한 (S) 대사경로이다.
한편 사람에게는 메티오닌(methionine)은 직접 생합성할수없기에 외부로부터 섭취해야하는 필수아미노산이다.[5]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01:05:27에 나무위키 황산화 직접경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PubChem CID 439406,O-succinyl-L-homoserine https://pubchem.ncbi.nlm.nih.gov/compound/439406[2] Methods Enzymol. 2015;555:79-90.doi: 10.1016/bs.mie.2014.11.021. Epub 2015 Jan 14.Protein sulfhydration Bindu D Paul 1 , Solomon H Snyder 2 PMID: 25747476 DOI: 10.1016/bs.mie.2014.11.021 [3] Research Article ,01 March 2002 , Corynebacterium glutamicum Utilizes both Transsulfuration and Direct Sulfhydrylation Pathways for Methionine Biosynthesis,Authors: Byung-Joon Hwang, Hye-Jin Yeom, Younhee Kim, Heung-Shick Lee [email protected] Info & Affiliations DOI:https://doi.org/10.1128/JB.184.5.1277-1286.2002[4] Microbiology (Reading). 1995 Feb;141 ( Pt 2):431-9.doi: 10.1099/13500872-141-2-431. A direct sulfhydrylation pathway is used for methionine biosynthesis in Pseudomonas aeruginosa ,M Foglino 1 , F Borne, M Bally, G Ball, J C Patte, PMID: 7704274 DOI: 10.1099/13500872-141-2-431 [5] Tetrahedron Chem Volume 1, March 2022, 100003 Tetrahedron Chem ,Direct C–H-sulfonylation of 6-membered nitrogen-heteroaromatics,Marius Friedrich, Lisa Schulz, Kamil Hofman, Rene Zangl, Nina Morgner,Saad Shaaban, Georg Manolikakesa ,https://doi.org/10.1016/j.tchem.2021.100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