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남로(송)

덤프버전 :




회남로 淮南路

1. 개요
2. 역사
3. 행정구역
3.1. 회남동로(淮南東路)
3.1.1. 양주(揚州)
3.1.2. 박주(亳州)
3.1.3. 숙주(宿州)
3.1.4. 초주(楚州)
3.1.5. 해주(海州)
3.1.6. 태주(泰州)
3.1.7. 사주(泗州)
3.1.8. 저주(滁州)
3.1.9. 진주(眞州)
3.1.10. 통주(通州)
3.1.11. 고우군(高郵軍)
3.1.12. 안동주(安東州)
3.1.13. 초신군(招信軍)
3.1.14. 회안군(淮安軍)
3.1.15. 청하군(淸河軍)
3.2. 회남서로(淮南西路)
3.2.1. 수춘부(壽春府)
3.2.2. 육안군(六安軍)
3.2.3. 여주(廬州)
3.2.4. 기주(蘄州)
3.2.5. 화주(和州)
3.2.6. 안경부(安慶府)
3.2.7. 호주(濠州)
3.2.8. 광주(光州)
3.2.9. 황주(黃州)
3.2.10. 무위군(無爲軍)
3.2.11. 회원군(懷遠軍)



1. 개요[편집]


송나라에서 설치한 최상위 행정구역인 로(路) 중 하나이다.


2. 역사[편집]


997년 송나라가 전국을 로(路)로 나누면서 설치되었다. 1072년 회남동로와 회남서로로 분할되었으며, 정강의 변 이후에도 계속 이어졌다.


3. 행정구역[편집]



3.1. 회남동로(淮南東路)[편집]



3.1.1. 양주(揚州)[편집]


광릉군(廣陵郡). 대도독부(大都督府)로 회남절도사(淮南節度使)가 파견되었다. 1072년 고우군(高郵軍)을 현으로 격하시켜 주에 합쳤다가 1086년 다시 복구하였다. 회남동로 병마검할(兵馬鈐轄)이 군정을 맡았다가 1127년 수부(帥府)로 승격되었다. 1130년 진양진무사(眞揚鎭撫使)를 두었다가 폐지했다.

    • 강도현(江都縣), 광릉현(廣陵縣)[1], 태흥현(泰興縣)[2]


3.1.2. 박주(亳州)[편집]


초군(譙郡). 방어주였으나 1014년 집경군절도사(集慶軍節度使)가 파견되었다. 정강의 변 때 금나라에 함락되었다.

    • 초현(譙縣), 성보현(城父縣), 찬현(酇縣), 영성현(永城縣), 위진현(衛眞縣)[3], 녹읍현(鹿邑縣), 몽성현(蒙城縣)


3.1.3. 숙주(宿州)[편집]


부리군(符離郡). 960년 방어주로 승격되었다가 968년 보정군절도사(保靜軍節度使)가 파견되었다. 원래 5개의 현을 관할했으나 홍현(虹縣)을 초주(楚州) 관할로 변경했으며, 뒤에 금나라에 함락되었다.

    • 부리현(符離縣), 기현(蘄縣), 임환현(臨渙縣)[4], 영벽현(靈壁縣)[5]


3.1.4. 초주(楚州)[편집]


산양군(山陽郡). 단련주였다. 건덕(乾德) 연간에 우이현(盱眙縣)이 사주(泗州) 관할이 되었고 974년 염성현(鹽城縣)이 초주 관할이 되었다. 1072년 연수군(漣水軍)을 현으로 격하시키고 초주에 통폐합했다가 1087년 복구하였다.

    • 산양현(山陽縣)[6], 염성현(鹽城縣)[7], 회음현(淮陰縣)[8], 보응현(寶應縣)[9]


3.1.5. 해주(海州)[편집]


동해군(東海郡). 단련주였다. 건염 연간에 금나라에 함락되었으나 1137년 수복하였다. 융흥(隆興) 연간에 일부가 금나라에 할양되어 금나라의 행정구역 중 하나인 산동로(山東路) 관할이 되었으며, 연수현(漣水縣)이 해주 관할이 되었다. 1219년 수복되었다. 보경(寶慶) 연간에 이전(李全)에게 점령되었으나 1231년 이전을 토벌하면서 수복하였다. 1235년 치소를 동해현으로 옮겼다. 1252년 이전의 아들인 이단(李璮)에게 다시 점령되어 치소를 구산현으로 옮겼다. 1261년 이단이 토벌되면서 이곳에 서해주(西海州)를 설치하였다.

    • 구산현(朐山縣), 회인현(懷仁縣), 목양현(沐陽縣), 동해현(東海縣)


3.1.6. 태주(泰州)[편집]


해릉군(海陵郡). 본래 단련주였으나 967년 군사주로 격하되었다. 1129년 금나라에 함락되었다가 수복하였다. 1130년 통태진무사(通泰鎭撫使)를 두었다. 1130년 다시 흥화현을 고우군 관할로 하였다. 1142년 태흥현이 양주 관할이 되었다.

    • 해릉현(海陵縣), 여고현(如皋縣)[10]


3.1.7. 사주(泗州)[편집]


임회군(臨淮郡). 961년 서성현(徐城縣)을 폐지하였다. 963년 초주(楚州) 우이현(盱眙縣)과 호주(濠州) 초신현(招信縣)이 사주 관할이 되었다가 1130년 다시 호주 관할이 되었다. 1142년 금나라에 함락되었다가 뒤에 수복하였다.

    • 임회현(臨淮縣), 홍현(虹縣)[11], 회평현(淮平縣)[12]


3.1.8. 저주(滁州)[편집]


영양군(永陽郡). 군사주였다. 건염(建炎) 연간에 저호안무사(滁濠鎭撫使)를 두었다가 폐지하였다. 가희(嘉熙) 연간에 치소를 왕가사(王家沙)로 옮겼다가 1264년 복구하였다.

    • 청류현(淸流縣), 전초현(全椒縣), 내안현(來安縣)[13]


3.1.9. 진주(眞州)[편집]


군사주였으며, 965년 건안군(建安軍)으로 승격되고 996년 양주 육합현이 관할로 들어왔다. 1013년 진주(眞州)로 승격되었다. 1117년 의진군(儀眞郡)이라는 군명을 받았다. 1129년 금나라에 함락되었다가 수복하였다.

    • 양자현(揚子縣)[14], 육합현(六合縣)


3.1.10. 통주(通州)[편집]


군사주였다. 1117년 정해군(靜海郡)이라는 군명을 받았다. 1130년 금나라에 함락되었으나 다시 수복하였다.

    • 정해현(靜海縣)[15], 해문현(海門縣)

    • 이풍감(利豐監)[16]


3.1.11. 고우군(高郵軍)[편집]


고사군(高沙郡). 군사주였다. 971년 양주(揚州) 고우현(高郵縣)에 군을 설치한 것이 시초였다. 1072년 현으로 격하되어 양주 관할이 되었다가 1086년 복구되었다. 1130년 승주(承州)로 승격되고 태주(泰州) 흥화현(興化縣)을 관할에 두었다가 1131년 현으로 격하되고 다시 양주 관할이 되었다. 1161년 최종적으로 다시 군이 되고 흥화현이 관할로 돌아왔다.

    • 고우현(高郵縣), 흥화현(興化縣)[17]


3.1.12. 안동주(安東州)[편집]


본래 연수군(漣水軍)이었으며, 978년 사주(泗州) 연수현(漣水縣)에 군을 설치한 것이 시초였다. 1072년 폐지되어 현으로 격하되고 초주(楚州) 관할이 되었으나 1087년 다시 군이 되었다. 1135년 현으로 격하되다가 1162년 다시 군이 되었다. 1228년 보응주(寶應州) 관할이 되었다가1234년 다시 군이 되었다. 경정(景定) 연간에 안동주로 승격되었다.

    • 연수현(漣水縣)


3.1.13. 초신군(招信軍)[편집]


본래 사주(泗州) 우이현(盱眙縣)이었다. 1129년 군으로 승격되다가 1130년 현으로 격하되어 호주(濠州) 관할이 되었다. 1132년 다시 사주(泗州) 관할이 되었고 1137년 경동(京東) 관할이 되었다. 1141년 천장군(天長軍) 관할이 되었다가 다시 1142년 군으로 승격되고 천장현을 관할에 두었다. 1227년 금나라에 함락되었다가 1231년 수복하였고 초신군으로 개칭되었다.

    • 천장현(天長縣)[18]
    • 초신현(招信縣)[19]


3.1.14. 회안군(淮安軍)[편집]


본래 사주(泗州) 오하구(五河口)였다. 1235년 단평의 입락 이후 피난민들이 이곳에 정착하여 애사(隘使)와 둔전(屯田)을 두었다. 1271년 회안군으로 설치되었다.

    • 오하현(五河縣)[20]


3.1.15. 청하군(淸河軍)[편집]


1273년에 설치된 행정구역이다.

    • 청하현(淸河縣)


3.2. 회남서로(淮南西路)[편집]



3.2.1. 수춘부(壽春府)[편집]


수춘군(壽春郡). 충정군절도사(忠正軍節度使)가 파견되었으며, 본래 수주(壽州)였다. 개보(開寶) 연간에 곽산현(霍山縣)과 성당현(盛唐縣)을 폐지하였다. 1116년 수춘부가 되었다. 1142년 안풍현을 군으로 승격시킨 뒤 육안현(六安縣), 곽구현(霍丘縣), 수춘현(壽春縣)이 관할로 들어왔다. 1162년 부로 승격되었다. 1167년 안풍군을 복구하였다.

    • 하채현(下蔡縣), 안풍현(安豐縣), 곽구현(霍丘縣), 수춘현(壽春縣)[* 소흥 연간에 안풍현을 관할로 두었으며, 1162년 부로 승격된 뒤 1167년 기곽(倚郭)이 되었다.


3.2.2. 육안군(六安軍)[편집]


1118년 수춘부 육안현에 군을 설치한 것이 시초였다. 1143년 현으로 격하되었다가 1167년 복구되었다. 1234년 현으로 격하되다가 다시 군으로 복원되었고 1264년 복원되었다.

    • 육안현(六安縣)


3.2.3. 여주(廬州)[편집]


보신군절도사(保信軍節度使)가 파견되었다. 소흥(紹興) 연간에 치소를 임시로 소현(巢縣)으로 옮겼다. 1166년부터 1169년까지 화주(和州)의 치소도 함께 담당했다.

    • 합비현(合肥縣), 서성현(舒城縣), 양현(梁縣)[21]


3.2.4. 기주(蘄州)[편집]


기춘군(蘄春郡). 방어주였다. 건염(建炎) 연간 초에 금나라에게 함락되었다가 1135년 수복하였다. 1260년 치소를 용기(龍磯)로 옮겼다.

    • 기춘현(蘄春縣)[22], 기수현(蘄水縣), 광제현(廣濟縣), 황매현(黃梅縣), 나전현(羅田縣)[23]


3.2.5. 화주(和州)[편집]


역양군(曆陽郡). 방어주였다.

    • 역양현(曆陽縣)[24], 함산현(含山縣)[25], 오강현(烏江縣)[26]


3.2.6. 안경부(安慶府)[편집]


동안군(同安郡). 본래 서주(舒州)였다. 단련주였으나 960년 방어주로 승격되었고 1115년 덕경군(德慶軍)이라는 군액을 받고 절도사가 파견되었다. 건염(建炎) 연간에 서기진무사(舒蘄鎭撫使)가 설치되었다. 1133년 서주, 황주, 기주가 강남서로안무사(江南西路安撫司)의 절제를 받았다. 1147년 안경군(安慶軍)으로 고쳤으며, 영종이 즉위한 뒤인 1195년 부로 승격되었다. 1236년 치소를 나찰주(羅刹洲)로 옮겼다가 다시 양차주(楊槎洲)로 옮겼다. 1260년 의성(宜城)을 개축했다.

    • 회녕현(懷寧縣), 동성현(桐城縣), 숙송현(宿松縣), 망강현(望江縣), 태호현(太湖縣)

    • 동안감(同安監)[27]


3.2.7. 호주(濠州)[편집]


종리군(鍾離郡). 단련주였다. 건도(乾道) 연간에 치소를 오당(藕塘)으로 옮겼으며, 1211년 정원현(定遠縣)으로 옮겼다가 다시 되돌렸다.

    • 종리현(鍾離縣), 정원현(定遠縣)


3.2.8. 광주(光州)[편집]


익양군(弋陽郡). 광산군절도사(光山軍節度使)가 파견되었으며, 본래 군사주였다. 광산군이라는 군액을 받은 시기는 1119년이다. 1162년, 금나라의 태자 완안광영을 피휘하여 장주(蔣州)로 고쳤다. 1237년 반란이 벌어져 치소를 금강대(金剛臺)로 옮겼다가 뒤에 복구하였다.

    • 정성현(定城縣), 고시현(固始縣), 광산현(光山縣)[28], 선거현(仙居縣)[29]


3.2.9. 황주(黃州)[편집]


제안군(齊安郡). 군사주였다.

    • 황강현(黃岡縣), 황피현(黃陂縣)[30], 마성현(麻城縣)[31]


3.2.10. 무위군(無爲軍)[편집]


978년 여주(廬州) 소현(巢縣) 무위진(無爲鎭)에 군을 세우고 소현과 여강현을 관할로 두었다. 1128년 금나라에 함락되었다가 수복되었다. 1262년 소현을 진소군(鎭巢軍)으로 승격시켰다.

    • 무위현(無爲縣)[32], 소현(巢縣)[33], 여강현(廬江縣)[34]


3.2.11. 회원군(懷遠軍)[편집]


1257년 설치되었다.

    • 형산현(荊山縣)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8:06:17에 나무위키 회남로(송)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072년 폐지되어 강도현에 통폐합되었다가 정강의 변 이후 복구되었다.[2] 본래 태주(泰州) 관할이었으나 1135년 양주 관할이 되었다. 1140년 태주 관할이 되었다가 1142년 양주 관할이 되었고 일부 지역이 해릉현(海陵縣) 관할이 되었다. 1159년 원상복구되었다.[3] 당나라 시기에 진원현(眞源縣)이었으나 1014년 위진현이 되었다.[4] 1014년 박주 관할이 되었으나 1017년 복구되었다.[5] 1086년 홍현의 영벽(零壁鎭)진을 현으로 했다가 같은해 다시 진으로 격하했다. 1093년 다시 현이 되었고 1117년 한자만 바꿔서 영벽(靈壁)이 되었다.[6] 건염 연간에 금나라에 함락되었으나 소흥 연간에 수복하였다. 1228년 회안군(淮安軍)으로 승격되고 회안현(淮安縣)으로 개칭되었다.[7] 구염장(九鹽塲)이 있었다. 건염 연간에 금나라에 함락되어 1131년 연수현 관할이 되었다가 1133년 다시 복구되었다.[8] 1135년 진으로 격하되다가 1136년 복구되었다. 1214년 치소를 팔리장(八里莊)으로 옮겼다.[9] 1227년 보응주(寶應州)로 승격되고 현도 그대로 이어졌다.[10] 974년 해릉감(海陵監)의 치소를 여고현으로 옮겼다.[11] 1149년 숙주(宿州)에서 사주관할이 되었다.[12] 1151년 금나라에 함락된 뒤 임회현에서 분할하여 회평현을 설치하였다. 우이현의 일부가 초신군 관할이 되었다.[13] 당나라 시기 영양현(永陽縣)이라는 명칭이었으나 남당에서 내안현으로 고쳤다. 1135년 청류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148년 복구되었다. 1173년 진으로 격하되었다가 1175년 복구되었다.[14] 본래 양주 영정현(永正縣) 백사진(白沙鎭)이었으나 남당에서 영란진(迎鑾鎭)으로 고쳤다. 1127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130년 현으로 격하되었고 1141년 다시 군이 되었으나 1142년 최종적으로 현이 되었다.[15] 후주에서 양주 관할로 있었다가 현이 되었으며, 해문현(海門縣)과 함께 통주 소속이 되었다.[16] 983년 치소를 주의 서남쪽에서 4리 떨어진 곳으로 옮겼다.[17] 양주 관할이 되었다가 다시 태주(泰州) 관할이 되었다. 1130년 승주 관할이 되었다. 1135년 진으로 격하되었다가 1139년 다시 현이 되어 태주 관할이 되었다. 1166년 고우군 관할이 되었다가 다시 태주 관할이 되었고 1177년 최종적으로 복구되었다.[18] 본래 천장군 관할이었다. 996년 천장군이 폐지되어 진으로 격하되며 양주(揚州) 관할이 되었다. 1127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131년 현으로 격하되었고 1141년 다시 군으로 승격되다가 1143년 최종적으로 현으로 격하되었다.[19] 1130년 호주(濠州) 관할이 되었다가 1134년 복구되었다. 1141년 천장군 관할이 되었다가 1142년 복구되었다.[20] 1271년 설치되었으며, 증하(潧河), 경하(涇河), 이하(沱河), 숭하(漴河), 회하(淮河)의 이름에서 오하로 명명되었다.[21] 본래 신현(愼縣)이었으나 1162년 효종이 즉위한 뒤 피휘하여 양현이 되었다.[22] 1237년 치소를 두었다가 1261년 태화문(泰和門) 바깥으로 옮겼다.[23] 1094년 기수현의 석교(石橋)를 나전현으로 하였다.[24] 양산채(梁山砦)와 책강채(柵江砦)가 있었다.[25] 동관채(東關砦)가 있었다.[26] 1135년 진으로 격하되었다가 1137년 복구되었다.[27] 1075년 설치되어 동전의 주조를 담당하였다.[28] 역시 완안광영을 피휘하여 기사현(期思縣)으로 고쳤다가 뒤에 되돌렸다.[29] 정강의 변 이후 폐지되었다.[30] 1236년 치소를 임시로 청산기(靑山磯)로 옮겼다.[31] 1236년 치소를 십자산(什子山)에 두었다.[32] 1070년 소현과 여강현에서 일부 지역을 분할하여 설치하였다.[33] 996년 치소를 성곽 아래로 옮겼다가 1135년 폐지했고 1136년 복구하였다. 1141년 여주 관할이 되었다가 1142년 복구하였다. 1262년 진소군으로 승격되었다.[34] 곤산반장(崑山礬塲)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