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치경음

덤프버전 :

분류



자음의 분류

[ 펼치기 · 접기 ]
조음 방법
비음 · 파열음 · 파찰음 · 마찰음 · 접근음 · 탄음 · 전동음 · 내파음 · 흡착음 · 방출음 · 충격음
조음 위치
양순음 · 순치음 · 설순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권설음 · 치경구개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후두개음 · 성문음 · 이중조음
조음 방향
중설음 · 치측음 · 설측음
성대 진동 여부
유성음 · 무성음
기식 흐름 여부
유기음 · 평음 · 무기음 · 비음


파일:후치경음_기호0.png
1. 개요
2. 조음 방법
2.1. 후치경 파열음
2.2. 후치경 파찰음
2.3. 후치경 마찰음
2.4. 후치경 접근음
2.5. 후치경 탄음
2.6. 설측 후치경 접근음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 Palato-alveolar consonant

음성학에 따른 조음 방법 분류.

뒷잇몸소리라고도 부르며, 혀끝으로 윗잇몸 뒤쪽, 혹은 경구개 앞부분을 눌러서 내는 소리이다. 여기서 혀를 더 말아 혀끝이 경구개 중앙과 더 가까워지면 권설음이 된다.

주로 인도유럽어족에서 많이 보이는데, 후치경음은 치경구개음이나 권설음과 비슷하게 들린다. 그래서 셋을 묶어 postalveolar consonants로도 부른다.(저것도 후치경음이라는 뜻이긴 한데, 말그대로 치경음 뒤쪽에서 발음한단 뜻이다.)

치경음의 거의 모든 음소를 그대로 여기서도 발음할 수 있지만, 여기에 적진 않겠다. 치경음의 음소 아래에 ◌̠를 붙여 표기한다. 치경음보다 안쪽에서 조음하라는 의미. 예시: ɹ̠(후치경 접근음, 영어의 r 발음)

한국어에서는 치경음/치경구개음의 변이음으로 가끔 나온다.

palato-alveolar를 후치경이라 부르지만 후치경은 post-alveolar에 대응하는 번역이고 palato-alveolar는 (경)구개치경음 정도다. [ʃ]/[ʒ]를 후치경 마찰음이라 부르지만 [s̠]/[z̠]도 후치경 마찰음이라고 부를 수 있고 둘은 다르다.


2. 조음 방법[편집]



2.1. 후치경 파열음[편집]


후치경 파열음(Post-alveolar Stop





조음 위치
후치경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파열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혀끝을 치경 뒷쪽에 닿게 한 다음 발음한다.

후치경 파열음의 경우 치경음처럼 혀끝으로만 발음하는 경우[1] 또는 후치경 파찰음처럼 혀끝과 경구개의 절반을 이용해서 발음하는 경우 2가지가 있는데 전자의 경우 위 그림에 표시되어 있는 발음기호와 동일한 발음이지만 표기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보통은 권설 파열음의 발음기호를 대체재로 사용한다. 후자의 경우는 후치경 파찰음이랑 조음방법이 동일하지만 발음이 불안정해서 파찰음화되기 때문에 사실상 아무런 의미도 없는 발음이다.


2.2. 후치경 파찰음[편집]


후치경 파찰음(Palato-alveolar Affricate

t͡ʃ



d͡ʒ



조음 위치
후치경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파찰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영어 ch, j를 발음한다.

들어보기(t̠͡ʃ))
들어보기(d̠͡ʒ)
미국식 기호로는 각각 [č], [ǰ]를 쓰기도 한다.

혀끝을 윗잇몸 뒤쪽에 붙였다가 살짝 떼면서 그 틈 사이로 공기를 살살 내보내는 소리다.

영어에서는 ch/tch가 무성음의 음가를,[2] j와 일부 g가 유성음의 음가를 가진다. 특히 어말 '-dge'는 다중문자로, 어말 '-ge'와 똑같이 파찰음 [-d͡ʒ]로만 발음된다.[3] 외래어 표기법에서 [d͡ʒ]가 모음 앞에 있을 때는 'ㅈ'으로만 표기하며,[4] '-dge'나 '-ge'와 같은 형태로 어말에 오는 경우엔 'ㅣ'를 덧붙여 '지'로 표기한다.[5] 'edge, bridge, sledge' 등 짧은 모음 뒤 '-dge'로 끝나는 영단어를 '-ㅅ지'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표기법상 'edge, bridge, sledge'는 각각 '에지, 브리지, 슬레지'라고 표기한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d'를 'ㅅ'에, 'ge'를 '지'에 대응하는 식으로 표기에 이끌려 종종 '-ㅅ지'로 표기하고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6] 일단 영어에서 어말 유성음이 앞 모음을 길게 하고 무성음으로 나는 경우가 많긴 하다. 일본어 표기의 영향일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 과거에는 적당한 영어 교재가 없었기에 예전 세대들은 일어 교재로 영어를 공부했는데, 당시 일어 교재에는 '-dge'를 'ッ(촉음 기호) + ジ'로 표기했기에(예를 들어 judge = ジャッジ) 여기서 영향을 받아 "-dge"를 '-ㅅ지'[-ㄷ찌]로 썼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 일본어에서 외래어를 옮길 때 짧은 모음을 지닌 음절 뒤 파열음, 파찰음을 그 음절 뒤에 ッ를 쓰고 파열음, 파찰음을 지닌 음절을 이어 쓰는 경우가 아주 많다. セット(set, 세트), ラッキ(lucky, 러키) 등.[7] 사실 っ/ッ 표기는 일본 고유어나 한자어 표기 시에서는 무성음 앞에서만 가능하나,[8] 외래어 표기 시에는 어째 유성 파열음, 파찰음 앞에도 적용한다.[9] 발음은 무성음의 경우와 비슷하다.

이탈리아어루마니아어에선 e, i 앞에 오는 c, g가 각각 /t͡ʃ/, /d͡ʒ/ 발음이 난다.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는 각각 d와 t가 i 또는 강세가 없는 e와 만날 때에도 이 발음이 난다. 그 밖에도 헝가리어의 cs/dzs, 터키어와 아제르바이잔어의 ç/c, 알바니아어의 ç/xh, 세르보크로아트어의 č(ч)/dž(џ), 몰타어의 ċ/ġ, 마인어의 c/j가 이 발음이 난다. 유성음이 없는 언어 중에는 독일어의 tsch, 체코어의 č, 스페인어의 ch, 바스크어의 tx가 /t͡ʃ/ 발음이 난다.

프랑스어에서는 외래어의 tʃ, dʒ 발음을 표기할 때 ch, j 앞에 t, d를 붙여 tch, dj로 표기한다(예: Tchad, Djibouti). 독일어도 외래어의 dʒ 발음을 표기할 때 tsch에 대칭되어 dsch로 표기한다.(예: Dschinghis Khan)

발음 방법: [t͡ʃ]은 치경구개음인 ㅈ, ㅉ, ㅊ을 발음하되, 혀끝을 ㅌ에서 살짝 뒤로 한 상태로 발음하면 된다. [d͡ʒ]은 여기서 성대를 울리게 하면 된다.


2.3. 후치경 마찰음[편집]


후치경 마찰음(Palato-alveolar Fricative

ʃ



ʒ



조음 위치
후치경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마찰음(치찰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무성음은 영어 sh, 유성음은 sh에서 성대를 울리며 발음한다.

들어보기(ʃ)
들어보기(ʒ)
인테그랄, 숫자 3
치찰음이며, 미국식으로는 간혹 각각 [š], [ž]으로 적기도 한다. 해당 기호들은 단독으로 부를 때에는 s를 'es(에스)'라고 부르는 것과 유사하게 ʃ를 esh(에시), Ʒ을 ezh(에지)라고 부른다.

혀끝을 윗잇몸 뒤쪽에 닿을락말락 하고 그 틈 사이로 공기를 살살 내보내는 소리이다. 샤, 쇼, 슈 같은 것을 떠올리면 쉽다.

한글로는 조음 위치가 비슷한 ㅅ(/s/), ㅈ(/d͡ʑ/) 등으로 표현된다. 옛한글을 끌어오면 (/z/)이 이다. 무성음의 경우, 모음과 같이할 때 그냥 'ㅅ + 모음'으로 표기하는 것이 아니라 'ㅅ + [j] 혹은 [ɥ] 계열 이중모음'의 형태로 표기하는데, 이는 원래 ㅅ의 음가가 [s]이지만 j나 ɥ 같은 경구개음의 특성을 가진 자음을 만나면 구개음화가 일어나서 [ɕ]이 되기 때문이다.

영어에서는 sh, -sion, -tion등이 이 음가를 지닌다. 일부 ch도 이 음가로 나온다.[10] 신기한 것은 영어에서는 무성음인 [ʃ]을 일반적으로 나타내는 철자는 있는데(sh), 그 유성음인 [ʒ]을 일반적으로 나타내는 철자는 없다는 것이다. IPA를 사용하지 않는 일부 사전에서는 [ʒ] 발음을 zh로 표기한다. 일단 ʃ와 ʒ 사이의 최소대립쌍이 매우 적지만 있긴 하므로[11] 둘 다 영어의 음소로 인정된다.

독일어는 [ʃ]을 sch로, 이탈리아어sce, sci로 표기하고, 프랑스어포르투갈어는 [ʃ]과 [ʒ]을 각각 chj로 표기한다. 또 포르투갈어는 x도 [ʃ]로 발음될 수 있다. 다른 언어의 경우, [ʃ]와 [ʒ]를 š/ž(체코어, 세르보크로아트어[12], 라트비아어, 리투아니아어), s/zs(헝가리어)[13], ș/j(루마니아어), ş/j(터키어, 아제르바이잔어), sh/zh(알바니아어)로 표기한다. 바스크어는 포르투갈어처럼 x가 /ʃ/ 발음이다. 유럽 외의 언어에서는 ʃ 혹은 그와 비슷한 발음을 대개 sh로 표기한다.

영어의 /ʃ/는 사실 [ʃʷ]에 가까운데, 실제로는 [ɹ̠ʷ]인 /ɹ/처럼 IPA 표기에서는 생략된다. 사람들이 라고 쓰는 것도 이 때문으로 보인다.

발음 방법: [ʃ]는 '샤','섀','셔','셰','쇼','슈','시'에서 모음을 빼고 발음하되, 혀끝을 ㅅ에서 살짝 뒤로 한 상태로 발음하면 된다. 혀끝을 살짝 더 뒤에 위치하게 하면 된다. [ʒ]는 여기서 성대를 울리게 한다.


2.4. 후치경 접근음[편집]


후치경 접근음(Post-alveolar Approximant

ɹ̠



조음 위치
후치경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접근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영어 r을 발음한다.

들어보기
별개 기호가 할당되면 그리스 문자 ρ를 쓸 수도 있겠으나진짜 Rhotic, 후치경 탄음과 후치경 전동음도 이 기호를 노리고 있다.

영어식 r발음은 [ɹ̠]이다. 영어 초보자가 힘들어하는 발음들 중 하나이다. 그냥 혀끝을 치조부분에 미끄러지듯이 닿게하면 [ɹ] 발음이 나오는데, 여기서 혀를 살짝 뒤로 더 뺀 다음 혀끝을 후치경에 닿게 하면 된다. 무성음 [ɹ̠̊]은 영어 단어 cream 등에서 ɹ̠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2.5. 후치경 탄음[편집]


후치경 탄음(Post-alveolar Tap

ɾ̠



조음 위치
후치경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탄음(Tap)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살짝 뒤쪽에서 어중의 ㄹ을 발음한다.


한국어의 어중 ㄹ 발음은 [ɾ]인데, 변이음으로 [ɾ̠]가 나오기도 한다. 비슷하게 옆나라의 일본어에도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


2.6. 설측 후치경 접근음[편집]


설측 후치경 접근음(Post-alveolar Lateral Approximant



조음 위치
후치경음
조음 방향
설측음
조음 방법
접근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살짝 뒤쪽에서 영어 l을 발음한다

들어보기
아직 기호가 없어 [l̠]로 대체 표기한다.

한국어의 어말종성 에서 혀를 충분히 굴리지 않으면[14] 이 발음이 되는데, 혀놀림이 느린 화자들이 종성 ㄹ을 이렇게 발음한다.


3. 관련 문서[편집]



[1] 영어의 r발음과 조음방식이 동일하다.[2] machine, chemical 등은 예외.[3] 이는 무성음 [tʃ\]의 표기로 종종 등장하는 '-tch'가 '-ch'와 발음이 동일한 것과 유사하다.[4] ginger/ˈd͡ʒɪnd͡ʒə(r)/: 진저[5] cage/keɪd͡ʒ/: 케이지[6] 음절 말 미파음 [ㄷ\]은 발음하지 않고 [-찌\]라고만 하는 사람도 많다. 무성 중복 자음 탈락 현상으로 볼 수 있다.[7] 장모음이나 이중 모음을 지닌 음절 뒤에 파열음, 파찰음이 올 때는 ッ 표기를 쓰지 않는다. パーク(park, 파크), マイク(mike, 마이크), ジョージ(George, 조지), タイツ(tights, 타이츠)[8] がっこう[学校, 학교\], がっち[合致, 합치\][9] ドッグ(dog, 도그), エッジ(edge, 에지)[10] machine이 대표이다.[11] 고유명사가 아닌 예로는 dilution/delusion[12] 키릴 문자로 옮길 경우 ш/ж[13] 헝가리어에서 [s\] 발음은 sz로 표기한다.[14] 원래는 설측 권설 접근음/ɭ/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에지 문서의 r41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에지 문서의 r41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08:00:10에 나무위키 후치경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