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툰

덤프버전 :





훈툰 / 馄饨/餛飩(húntun)[1] / Вонтоны


1. 요리[편집]


물만두, 흑은 만둣국과 유사한 얇은 밀가루 피에 여러 가지 소[2]를 넣어 싼 후 육수에 끓여 먹는 음식이며 주로 아침(breakfast) 식사로 많이 먹는다.

훈툰은 지역이나 문화권에 따라 이름과 요리법이 매우 다양한 것이 특징인데, 윈툰(云吞/云屯)(윈은 구름을 뜻하는 단어이다.), 파오미엔(包面), 수이쟈오(水饺) 등의 다양한 이름이 있다. 요리법 역시 중국집이나 분식점의 튀김만두처럼 훈툰을 튀기기#는 것부터 시작해서 쓰촨 요리에서는 홍요우차오소우[3](紅油抄手)라는 이름의 매콤한 훈툰이 존재한다. 또한 마라를 넣은 마라차오쇼우도 있다.

메밀이나 밀가루를 반죽해 고기를 넣고 닭고기 육수에 끓인 '변씨만두'(편수와 유사함)라는 한국 요리가 있는데 혼돈(餛飩)이나 혼둔이라고 부른 적도 있으며 요리명의 '변씨'에서 추측하여 인명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요리가 훈툰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의견도 있다. 출처

훈툰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다양하다. 먼저, 구멍이 없는 '혼돈한 모양'이라는 의미의 훈뚠(浑沌)이 변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연경세시기」에서는 훈툰의 모양이 혼돈처럼 생겼다고 하여 이름이 훈툰이 되었다고 한다. 다른 설로, 흉노 부족 훈(浑)씨와 툰(屯)씨의 계속된 침략 때문에 이를 간 주민들이 그들에게 증오심을 표현하려는 의도로 이름을 따 훈툰이라는 요리를 만들었다는 의견도 있다. [4] 그 외에 서시가 월나라 왕에게 이 음식을 오왕에게 바쳤을 때 이름을 혼돈하다고 붙인 것이라는 설이 있다.

한국에서는 그간 동남아시아 화교들이나 일본 화교들과 교류가 있었던 부산광역시의 화교 사회에서만 완당이라는 현지화 이름으로 전해져 내려오다가 2010년대 이후 어린 세대를 중심으로 이국적 요리가 인기를 끌자 홍콩, 마카오, 광동성 등 광동 지역 중화권이나 중화권 영향이 강한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캐나다 밴쿠버, 호주 북동부 등에서 홍콩식 중화요리로 소개되어 도입되어서 이제는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홍콩에서 시작한 딤섬 체인 팀호완이나 딤딤섬 등이 한국에도 매장을 냈으며 그 외에 동네 중국집도 퓨전중식이 대세라 마라탕과 함께 이것을 팔기도 한다.

원본은 하짜우라는 짙은 새우젓갈 냄새가 나며 한국인이 본능적으로 거부감을 느끼는 고수가 듬뿍 들어간다. 그러나 한국에 도입된 완탕면은 국물을 하짜우로 내지 않아서 새우젓갈 냄새를 없앤 편이다. 고수는 당연 들어가지도 않는다. 덕분에 홍콩에서 한국에 관광 온 관광객들에게서는 본고장 맛이 안 난단 불평도 좀 있다. 사실 하짜우는 냄새가 낫토 수준으로 지독해서 입맛 조지기에 딱 좋기는 해서 안 들어가는 게 한국인 입장에선 좋기는 하다.


2. 이름[편집]



2.1. 요리차원의 캐릭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훈툰(요리차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테이스티 사가의 캐릭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훈툰(테이스티 사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10:04:00에 나무위키 훈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지역에 따라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다. 하단에 서술.[2] 보통 돼지고기나 새우, 버섯, 죽순을 비롯한 여러 채소와 해삼과 죽순 등의 재료가 주로 이용된다. 삼선이라는 이름으로 고급 재료를 넣어 만든 훈툰도 존재한다.[3] 차오소우(抄手)라는 이름 자체가 쓰촨 성에서 훈툰을 의미하는 단어이다.[4] 이것은 대한민국의 요리인 성계탕과 유래가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