훙젠 시리즈

덤프버전 : r

1. 개요
2. 시리즈
2.1. HJ-8
2.1.1. 제원
2.1.2. 계열화 및 개량 소요
2.1.3. 실전 경험
2.2. HJ-9
2.2.1. 제원
2.2.2. 계열화 및 개량 소요
2.3. HJ-10
2.3.1. 제원
2.4. HJ-11
2.5. HJ-12
2.5.1. 제원
2.5.2. 상세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훙젠(홍전:红箭: Hóng Jiàn)은 중국의 중국 북방공업공사(노린코)가 개발하여 시리즈로 나오고 있는 중국형 대전차미사일의 명칭이다. 중국식 명칭은 반탄극도탄(反坦克导弹:대전차유도탄)이라고 불리우는 작품으로 시리즈별로 다양한 편이다. 병음의 첫글자를 따서 HJ로 표기되고 있다. 영문 직역해석 명칭은 Red Arrow로 표기되나 코드명은 HJ로 중국식 발음으로 표기된다.

훙젠 시리즈의 시작은 바로 훙젠(红箭)(HJ)-73이라는 명칭으로 중국이 국산화에 성공했던 AT-3 대전차미사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본격적인 훙젠 HJ-8이 개발되었다. 이후 그 HJ-8을 시초로 HJ-9/10/11/12가 연이어 개발된다.

카피판으로 시작되었으나 점점 독자적 개량을 실시하여서 성능을 보완하였다, 또한 가성비를 내세워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제3세계 국가에 판매되거나 무상원조되어 중동과 아프리카의 여러 전장에서 실전에서도 사용되어서 나름 성과를 냈다. 중국은 자국산 대전차미사일 체계를 구축해 발전해왔고 자국군 실전배치, 그리고 중동에 대량으로 수출해 여러 교전에서 사용되며 훙젠을 단순한 카피판이 아닌 실전경험을 갖춘 독자무기로 거듭나게 하고 있어서 결코 얕볼만한 무기는 아니다.

또한 중국의 무기인만큼 북한군에 흘러들어가 유용하게 사용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1] 유사시 한국군이 맞딱트릴 가능성이 큰 무기 중 하나라서 반드시 분석해야 하는 상황이다. 훙젠은 다양한 시리즈로 중국 인민해방군 대전차전력의 주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고 앞으로도 중국형 대전차미사일이자 공대지미사일로 자리매김 할것으로 보인다.


2. 시리즈[편집]



2.1. HJ-8[편집]


파일:392vRtO.jpg

홍전(红箭)-8이라고 불리우는 물건으로 실질적으로 TOWAT-3를 각각 카피한 모델을 그대로 추종했다고 볼수 있다. 1970년부터 203호 무기개발연구소(현 NORINCO)에서 개발을 하고 282호 공장에서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었으나 중소분쟁-문화대혁명등으로 기술지원을 받지 못하여 개발이 지지부진하여 1980년에야 겨우 빛을 보게 되었던 물건이다. 그나마도 배치를 하는데까지 4년이나 추가로 더 시간이 소비되었기 때문에 정확하게는 1984년부터 야전에 실전배치가 시작되었다.

야전에 배치는 되었지만 성능이 요구사항을 충족하지 못했는지 시리즈중에 굉장히 다양한 개량형이 등장한다. 동시에 그 개량형의 검증을 위해서 파키스탄을 필두로 제 3세계와 아프리카로 수출을 타진하여 수출을 한 중국의 효자상품이기도 하다.


2.1.1. 제원[편집]


무게
25kg
길이
87.5m
직경
120mm
추진체
고체 연료
유효사정거리
3,000m[2]
발사속도
220~240m / s
유도체계
SACLOS의 유선 와이어 유도
관통력
600~800mm 내 추정[3]

구성: 발사대 x 1/ 적외선 유도 시스템 x 1/ 4x4 받침대 x 1

출처: 출처출처2출처3


2.1.2. 계열화 및 개량 소요[편집]


명칭
개량범위
HJ-8A
유효사정거리 4km로 증대
HJ-8B
헬기및 차량 탑재용으로 계열화된 물건으로 유효사정거리 5.3km로 증대
HJ-8C
탠덤탄두화 및 탄두의 다양화 달성
HJ-8D
탠덤탄두 개량
HJ-8E
발사체의 모터 개량을 통한 속도 증대/ 사격통제시스템(FCS)의 개량으로 열영상화 달성을 통한 식별사거리 2000m 확대
HJ-8F
대벙커제압용 탄두화 달성.
HJ-8FAE
기화폭탄 탄두를 갖춘 버전
HJ-8L
22.5 kg으로 경량화 / 운반 시스템 간소화
HJ-8H
헬기 및 차량 탑재용으로서 HJ-8L 와 동일한 개량 수행 및 유효사정거리 6km 증대
HJ-8S
소형선박 타격 위주의 대함탄두로 변형
HJ-11 ( AFT-11 )
반능동 레이저 유도로 유도체계 개량


2.1.3. 실전 경험[편집]


파키스탄 수출형인 Baktar-Shikan이 1990년에 보스니아군이 제공받아 사용되었다. M-84 전차를 격파하는 첫 실전경험을 수행했다. 2013년에 시리아에서 반군이 시리아 정부군의 T-72를 격파했다고 한다. 2014년 페슈메르가가 ISIS를 상대로 싸우는데 등장했다고 한다. 시리아와 이라크 등의 중동에서 특히 반군들이 주로 사용하는 중거리 대전차미사일로 활용되고 있다.


2.2. HJ-9[편집]


파일:external/www.military-today.com/hj9.jpg
NORINCO 공업사가 이스라엘에서 기술지원을 받아서 개발된 물건이다. 이스라엘의 기술지원을 받아서 기존의 HJ-8에 비해서 배치가 90년대 말에 이루어졌으며 동시에 성능에서도 높은 수준의 평가가 나오게 된다. 휴대용으로 개발되지 않고 오로지 헬기 및 차량 탑재용으로 배치 개발되었다. 추측상 HJ-8 시리즈의 헬기 및 탑재형의 성능적 불만을 많이 반영한 것으로 추측된다.

외형과 성능에서 가장 유사한 건 남아프리카 공화국군의 ZT3 INGWE라고 한다.


2.2.1. 제원[편집]


무게
37kg
길이
12m
직경
152mm
추진체
고체 연료
유효사정거리
5500m
유도체계
레이저 유도 및 밀리파 레이더(MMW) 유도
관통력
1000~1200mm 추정




2.2.2. 계열화 및 개량 소요[편집]


파일:external/pds26.egloos.com/f0205060_51adb51d8c935.jpg
명칭
개량범위
HJ-9A
시커 및 유도체계 개량 MMW 유도로 복합화
HJ-9B
개발중


2.3. HJ-10[편집]


파일:external/www.sinaimg.cn/199_119277_750448.jpg파일:2aQzKHS.jpg
WZ-10 공격헬기의 장거리 대전차미사일 겸용 공대지미사일화를 목적으로 개발된 물건이라고 할 수 있다. 90년대 후반에 개발을 시작으로 2012년 배치가 되었다고 추정되고 있다. 현재는 항공기용+ 대전차지원 장갑차량에서도 운영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2.3.1. 제원[편집]


무게
50kg
길이
불명
직경
불명
추진체
고체 연료
유효사정거리
10km+
발사속도
220~240m / s
유도체계
SACLOS의 유선 와이어 유도/ 적외선 유도(IIR)/ MMW 유도 복합
관통력
1000mm 이상 추정

출처: 출처출처2


2.4. HJ-11[편집]


HJ-8의 유도부분 개량형이다.


2.5. HJ-12[편집]


파일:external/farm6.staticflickr.com/15776122741_33b65685c6_b.jpg

중국 NORINCO 공업사에서 개발된 중국판 재블린 대전차미사일으로 외형부터 내부구성까지 미국의 재블린 대전차미사일 카피판에 가까운 물건이라고 할수 있다. 중국의 나름 차세대 휴대용 대전차미사일을 포함한 탑재형의 계열화 가능성을 보여주는 미사일이기도 하다.


2.5.1. 제원[편집]


무게
발사체 중량 22kg / 미사일 중량 17kg
길이
1.2m / 미사일 길이 0.98m
직경
135mm
추진체
고체 연료
유효사정거리
2000~4000m
유도체계
적외선 유도(IIR) / CCD
최대관통력
1100mm 추정

출처


2.5.2. 상세[편집]


HJ-12는 중국이 개발한 최신 대전차 미사일로 2014년에 그 모습을 공개하였다. 중국측 주장으로는 탑 어택 방식의 공격이 가능한 물건으로 선전되고 있다.


3. 둘러보기[편집]


냉전기의 중국 인민해방군 보병장비
파일:중국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28 13:40:05에 나무위키 훙젠 시리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특히 HJ-12는 중국이 발표한대로 탑어택이 가능할 경우, 전차전 전력이 미약한 북한에게 있어 남한의 전차를 격파할 이상적인 무기가 될것이다. 합법적으로든 불법적으로든, 중국으로부터 무기를 수입해올 경우 북한이 HJ-12 반입시도를 하지 않을것이라 보기는 어렵다.[2] 개량형에서 4km까지 증대[3] 탠덤탄두화등으로 개량형은 1100mm까지 언급되는 경우도 있음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