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해함대

덤프버전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상징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 쌍두독수리
역사
역사 전반 · 루스 차르국 · 러시아 제국 · 러시아 공화국 · 소련 · 소련 붕괴 · 러시아 헌정위기
지리
지역 구분() · 극동 연방관구(하위지역 · 야쿠츠크 · 베르호얀스크 · 오이먀콘 · 아긴스크부랴트 자치구) · 남부 연방관구(하위지역) · 볼가 연방관구(하위지역) · 북서 연방관구(하위지역) · 북캅카스 연방관구(하위지역) · 시베리아 연방관구(하위지역 · 노보시비르스크(하위지역)) · 우랄 연방관구(하위지역) · 도시 목록 · 모스크바 · 중앙 연방관구(하위지역) · 툰드라 · 라스푸티차 · 라도가 호 · 바이칼호 · 카라차이 호 · 한카호 · 돈 강 · 레나강 · 볼가강 · 아무르강 · 예니세이강 · 우랄강 · 우랄 산맥 · 스타노보이 산맥 · 옐브루스 · 나로드나야 산 · 시베리아 (시베리아 트랩) · 러시아 극동 · 유럽 러시아 · 북아시아 · 야말 반도 · 타이미르 반도 · 캄차카 반도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 노보시비르스크 제도 · 브랑겔 섬 · 콜라 반도 · 축치 반도 · 크림 반도 · 사할린 · 쿠릴 열도 (쿠릴 열도 분쟁) · 세베르나야제믈랴 ·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 마천루 · 초르노젬
문화
문화 전반 · 레프 톨스토이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 모스크바 음악원 · 안톤 루빈시테인 · 표트르 차이콥스키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 니콜라이 메트네르 · 볼쇼이 극장 · 마린스키 극장 (마린스키 발레단) · 러시아 국립 교향악단 ·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러시아 정교회 · 러시아 영화 ·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 러시아 민요 · 발랄라이카 · 요우힉코 · 미하일 글린카 · 러시아 5인조 ·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 게오르기 스비리도프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안톤 아렌스키 · 니콜라이 카푸스틴 · 알렉산드르 푸시킨 · 미하일 레르몬토프 · 니콜라이 고골 · 이반 투르게네프 · 안톤 체호프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일리야 레핀 ·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 엘 리시츠키 · 스트루가츠키 형제 · 관광 · 에르미타주 박물관 · 트레챠코프 미술관 · 러시아 박물관 · 세계 유산 · 오스탄키노 탑 · 우샨카 · 사라판 · 마트료시카 · 사모바르 · 빅토르 초이 · Hardbass
스포츠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러시아 축구 연합 ·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2 · 러시아 아마추어 풋볼 리그 · 러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콘티넨탈 하키 리그(소속 구단) ·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삼보
언어
언어 전반 · 러시아어 · 러시아어/문법 · 러시아어/발음 · Ё ё · 키릴 문자 · 노어노문학과 · 토르플 · 러시아어권
정치
크렘린 · 정치 전반 · 행정조직 · 정부 · 대통령 · 러시아 대통령 선거 · 총리 · 연방의회(국가두마)
경제
경제 전반 (모스크바증권거래소 · 스베르방크) · BRICS · 러시아 루블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상임이사국 · G20 · 러미관계 · 미중러관계 · 한러관계(한러관계/2020년대) · 러일관계 · 한러일관계 · 러독관계 · 러시아-폴란드 관계 · 독일-러시아-폴란드 관계 ·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체코 관계 · 러시아-슬로바키아 관계 · 러시아 제국주의 · 러빠 · 친러 · 반러 · 혐러 · 신냉전 · 독립국가연합 · 집단안보 조약기구 · 구 소련 국가들과의 관계 ·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
사회
슬라브 · 러시아인 · 사회 문제 · 고프닉 · ЕГЭ · 러시아 정부 장학금 · 레드 마피아
교통
아에로플로트 · 공항 목록 · 고속도로 · 철도(철도 환경 ·도시철도 · 삽산 · 아에로익스프레스 · 바이칼-아무르 철도 · 시베리아 횡단철도 · 투르케스탄-시베리아 철도 · 환바이칼 철도) · 트롤례이부스 · 트로이카 · 금각교 · 루스키 대교 · 크림 대교 · 백해-발트해 운하 · 볼가-돈 운하 · 북극항로
러시아계
러시아계 한국인 · 러시아계 프랑스인 · 러시아계 독일인 · 러시아계 영국인 · 러시아계 라트비아인 · 러시아계 에스토니아인 · 러시아계 리투아니아인 · 러시아계 핀란드인 ·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 · 러시아계 폴란드인 · 러시아계 스페인인 · 러시아계 미국인 · 러시아계 캐나다인 · 러시아계 브라질인 · 러시아계 아르헨티나인 · 러시아계 카자흐스탄인 · 러시아계 중국인 · 러시아계 이스라엘인 · 러시아계 일본인 · 러시아계 호주인
음식
러시아 요리 · 보르시 · 비프 스트로가노프 · 샤슐릭 · 펠메니 · 피로시키 · 크바스 · 보드카 · 만주 요리
군사
러시아 연방군 (소련군) · 육군 · 항공우주군(편제) · 해군 (발트 · 북방 · 태평양 · 흑해) · 전략로켓군 · 국가근위대 · 해외 주둔 러시아군 · GRU · 붉은 군대 합창단 · 알렉산드로프 앙상블 · 열병식 · 스페츠나츠 · 상하이 협력기구 · 아르미야
역사 · 편제 · 계급 · 징병제 · 병역법 · 러시아 지휘참모대학교 · 러시아 연방군/문제점
러시아군/장비 (소련군/장비) · 전투식량 · 라트니크 · 군복 · 모신나강 · 칼라시니코프 (AK-47 · AKM · AK-74 · AK-12 · AK-47 VS M16) · RPG-7 · 드라구노프 저격소총 · 설계국 · 핵가방 (소련의 핵개발) · 아르마타 · 타찬카 · Su-57
데도브시나 · 러시아군 vs 미군 · 러시아군 vs NATO
치안·사법
러시아 국가경찰 · 러시아 연방교정청 · 흑돌고래 교도소 · 흰올빼미 교도소 · FSB
기타
공휴일/러시아 · 러시아인 캐릭터 · 불곰국



파일:러시아 해군 휘장.svg
[[러시아 해군|{{{#0000cd 러시아 연방 해군
Военно-морской флот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
본토해군
해외해군
파일:북방함대 엠블럼.svg
북방함대
(북극해)
파일:발트함대 엠블럼.svg
발트함대
(발트해)
파일:흑해함대 엠블럼.svg
흑해함대
(흑해)
파일:태평양 함대 엠블럼.svg
태평양함대
(태평양)
파일:카스피해 전단 엠블럼.svg
카스피해 전단
(카스피해)
파일:러시아 해군 항공대 엠블럼.png
해군 항공대
파일:1024px-Sleeve_badge_of_the_Naval_Infantry.svg.png
해군 보병대
파일:Middle_Emblem_of_the_Russian_Navy.svg
지중해 작전편대
(지중해)



흑해함대
Черноморский Флот

파일:흑해함대 엠블럼.svg
창설일
1783년 5월 13일
소속
러시아 해군
규모
(육전대 포함) 25,000명 / 군함 39척+
기함
모스크바[1]
어드미럴 마카로프
사령관
빅토르 소콜로프 상장
제1부사령관 및 참모장
세르게이 핀추크 중장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남오세티아 전쟁
시리아 내전
돈바스 전쟁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위치
러시아 세바스토폴

1. 개요
2. 역사
2.2. 소련
2.3. 소련 해체 이후
2.4.1. 폐함/손상된 함선들
3. 소속 군함
3.1. 현역함
4. 편제



1. 개요[편집]


흑해함대는 러시아 해군의 정규 함대들 중에 하나이다.


2. 역사[편집]



2.1. 러시아 제국[편집]


1783년 5월 13일, 예카테리나 2세의 총신인 그리고리 포템킨에 의해 창설되었다. 이후 지속적으로 흑해를 위협한 오스만 제국 해군과 일선에서 맞붙었고, 유능한 제독들의 지휘하에서 결국 승리를 거두었다. 프랑스 혁명 당시에는 지중해에서 활동하기도 했으며, 이후에 그리스 독립 전쟁이 벌어지자 영국, 프랑스 함대와 함께 나바리노 해전에서 오스만 제국 해군 함대를 격파하고 그리스를 독립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리스 독립 전쟁 이후에도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의 일선에서 참전하였다. 크림 전쟁기에는 압도적인 영국-프랑스 연합함대에게 밀리자 세바스토플 항에서 고정포대로 운용되다가 결국 자침하는 수모를 겪기도 하였다. 이후에 라시아 제국의 내부 사정이 악화되자 포템킨 반란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흑해함대는 이번에도 오스만 제국 해군을 상대하게 된다. 초기에는 오스만 제국 해군이 독일 제국에서 매입한 야부즈 술탄 셀림함을 가지고 있어서 우위를 점하였지만, 임페라트리차 마리야급 전함이 가세한 이후 흑해의 제해권을 장악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독일 제국이 우크라이나로 향해서 진격을 해오자, 모항이었던 세바스토폴에서 노보로시스크로 철수할 수 밖에 없었다.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자 블라디미르 레닌은 흑해함대의 함선들을 자침시킬 것을 명령하였으나, 대부분의 함선들은 이를 거부하고 세바스토폴로 돌아갔으며, 연합군의 통제 하에 있다가 표트르 브란겔이 이끄는 남러시아군에게 넘어갔다.

당시의 적성국이었던 오스만 제국의 해군력이 빈약하고 루마니아 등의 해군력은 더욱이 빈약한지라 다른 주력함대들보다는 한 체급 낮은 전함들이 배치되었다. 발트함대나 태평양함대에 배치되었던 1만톤급의 전함과 같은 설계의 함선의 덩치를 줄인 7천톤급을 배치하는 것으로.


2.2. 소련[편집]


붉은 군대가 남러시아군을 격파한 후, 우크라이나 지역에서의 통제권을 다시 되찾게 되자 흑해함대 역시 1930년대 들어 새롭게 재건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서 함대의 해안 기반 시설이 확장되고, 여러 함선들이 새롭게 건조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우크라이나로 독일 국방군이 진격해왔고, 흑해함대는 큰 손실을 입었다. 그렇지만 잔존 함선들은 소련군이 반격을 개시할 때 흑해에서 여러 작전을 실시했다.

냉전이 시작되고 소련이 흑해의 대부분을 장악하자, 흑해함대는 바르샤바 조약기구 통합군 예하에서 루마니아 해군, 불가리아 해군과 함께 합동흑해 함대를 구성하였다.

이후 튀르키예NATO에 가입하게 되면서 보스포루스 해협의 통제권이 넘어갔지만, 흑해함대는 북방함대와 함께 욤키푸르 전쟁 당시 미국 해군과 직접적으로 대치하던 제5작전전대에게 전력을 제공하였다.


2.3. 소련 해체 이후[편집]


소련이 해체되고 흑해함대 역시 축소되었으며, 특히 크림 반도우크라이나에 넘어가면서 함대의 기반 시설 대다수가 우크라이나에 넘어가게 되었다. 우크라이나는 이를 바탕으로 자국 해군 창설을 시도했지만, 대다수의 해군 구성원들이 친러성향이었기 때문에 사실상의 실패로 돌아갔다.

결국 러시아-우크라이나 양국은 연합 흑해함대를 창설하기로 합의했지만, 사실상 이 함대도 러시아의 통제 하에 있었다. 1997년 5월 28일, 러시아-우크라이나 양국은 연합 흑해함대를 82:18로 분할하고 여러 시설을 러시아측에 임대해주기로 했지만, 양국 간의 관계가 악화되게 되면서 2009년에 우크라이나의 빅토르 유셴코 정부는 시설 임대를 연장하는 것을 거부했고, 2017년까지 흑해함대가 모두 퇴거해야 한다고 발표하였다.

이에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와 협상을 통해서 임대기간을 2042년까지 연장하고, 5년 연장 옵션을 가지는 것으로 서로 간에 합의했다. 그러나 이후에도 양국간의 갈등이 지속됨에 따라서 흑해함대는 갈등의 축이 되어왔다. 한편 함대는 남오세티아 전쟁에 참전했으나, 사실상 조지아군의 해군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별 의미가 없었다.[2]

유로마이단 혁명이 일어나자, 이에 반발한 러시아는 친러시아 성향이 강하던 크림 반도를 합병하였고, 이 당시 우크라이나 해군의 함선 67척 중 54척이 흑해함대로 편입되었다. 이후 양국은 편입된 함선을 반환하기로 합의하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서 양국이 민스크 협정을 파기하고 반환 절차가 중단되었다.


2.4.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편집]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이 발발하자 흑해함대는 다시 최전선에 나서게 되었다. 전쟁 초반, 흑해함대는 군함 단 2척[3]으로 여유롭게 즈미이니 섬을 점령하고, 흑해의 제해권을 장악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육군이 베르댠스크를 점령함으로써 우크라이나 해군의 고속정 전력들을 접수한 데다가, 우크라이나 해군의 유일한 1,000톤급 이상 함선이자 실질적으로 러시아군에 위협을 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던 크리박급 1척이 미콜라이우에서 자침하면서 흑해함대는 별 문제없이 흑해를 접수하는 듯 보였다.

하지만 베르댠스크항 미사일 공격으로 상륙함이 3척이나 날아가면서 타격을 입었고, 기함인 모스크바는 대함 미사일 2발에 격침되면서 작전 능력에 타격을 받았다. 또한 사령관 이고르 오시포프는 모스크바함 격침의 책임을 지고서 체포되었다.

5월 들어와서 즈미이니 섬 근해에서 바이락타르 TB2의 공격으로 랩터급 경비정 4척을 5월 2일과 5월 8일 두 번에 걸쳐서 손실하였고, 흑해에 단 2척뿐인 세르나급 상륙정 한 척 역시 5월 6일 바이락타르 공격으로 인해 잃어버렸다.

참고로 흑해함대의 경우는 지리상의 문제로 러시아 해군의 다른 함대들로부터 함선을 여유롭게 증원받을 수도 없기에 이 문제가 더욱 뼈저리게 다가오는 중이다. 지도를 보면 알겠지만, 흑해는 튀르키예다르다넬스 해협보스포루스 해협을 거치지 않으면 드나들 수 없는데, 현재 튀르키예가 러시아군 함선들의 해협 통과를 불허하는 중이기 때문.[4] 그래서 러시아는 기껏 다른 함대들에서 함선들을 끌고 와도[5] 흑해로 보내지 못하고 지중해나 시리아 연안에 하염없이 대기시키고 있다.[6]

어쨌거나, 흑해함대는 러시아 해군 내에서의 우선순위가 떨어지는 편이어서[7] 가뜩이나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흑해함대가 언제쯤 손실을 메꿀 수 있을지는 미정이다.

미국이 하푼 대함미사일을 우크라이나군에게 공여함으로 작전의 더욱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

8월 5일. 세바스토폴 앞바다에서 신형 바실리 비코프급 경비정이 우크라이나군의 공격을 받아 소파되었다.

8월 9일. 현지 시간 오후 3시 20분 경(한국시간 오후 10시 20분 경) 우크라이나군이 크림 반도에 위치한 러시아 해군 흑해함대의 노보페도리우카(Novofedorivka) 공항을 공격해 주기되어 있던 러시아 해군 제43독립항공연대 항공기 다수와 탄약고 2곳을 파괴했다.

8월 말에서 9월 초 흑해함대는 결국 크림 반도의 본부를 버리고 가까운 러시아 본토로 후퇴하였다.

10월 초반에는 본부를 옮긴 세바스토폴 기지에서 연쇄폭발이 일어났는데 러시아군은 그냥 번개라고 일방적으로 치부하였다.

10월 29일에는 본부 세바스토폴에 우크라이나군의 자폭보트가 세바스토폴로 침투,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3번함 어드미럴 마카로프와 나티아급 소해함 이반 골루베츠가 손상되었다. 한편 10월 30일에는 러시아가 이 공격의 여파로 흑해 항로 협상의 이행을 중단한다고 선언하면서 흑해함대가 다시 일선에 나설 가능성이 커졌다.

11월 11일에는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까지 되찾으면서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 헤르손이 넘어가 함대의 모항 세바스토폴 전역이 넵튠 대함 미사일의 사정권 안에 들어가게 됐다.

세바스토폴항 공격 이후로는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차이가 있다면 자폭보트의 위험성을 인지했는지 대형 군함들이 입출항할때 헬기와 고속정의 호위를 붙이는 모습이 위성사진으로 관측되었다는 정도이다.

2023년 4월 23일과 28일에 걸쳐, 세바스토폴항에 우크라이군의 드론이 진입하여 공격하였고 예비 유류고가 피해를 입었다.

8월에는 본래 모항이었던 노보로시스크에 우크라이나 자폭보트가 침투하여 로푸카급 상륙함 한 척과 유조선 한 척이 손상을 입었다.

9월 12일에 스톰 쉐도우 미사일 공습을 받으며 함대는 물론 모항이 제대로 공격을 받아 로푸카급 상륙함 민스크가 화재로 피해를 보았고 수리중이던 킬로급 잠수함 '로스토프나도누'도 큰 피해를 입었다. 후에 추가된 소식에 의하면, 민스크함은 출항 하루 전이라 인원이 탑승해 있을 때 타격을 받아 62명이 전사했다고 한다.

9월 22일에는 세바스토폴의 사령부가 미사일 공습을 받아 사령관을 포함한 36명이 사망했다고 우크라이나가 주장했다. 25일, 우크라이나 특수작전군은 사령부에서 고위 장교 회의가 개최되는 틈을 노려 '크랩 트랩'이란 작전을 발동해 스톰쉐도우 미사일 공격을 실시했으며, 빅토르 소콜로프 사령관을 포함해 34명이 죽고 105명이 다쳤다고 발표했다.# 해당 작전은 크림반도에서 활동하는 파르티잔 아테시(ATESH)에 매수된 러시아 흑해함대 소속 장교들이 고위급 지휘관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덕분이라는 우크라이나 언론 키이우포스트의 보도가 있었다. 아테시가 입수한 정보는 우크라이나 방첩 기관인 우크라이나 보안국과 우크라이나 국방부 정보국에 전달돼 러시아 흑해함대에 대한 우크라이나군의 공격 계획에 활용됐으며, 우크라이나 정보총국은 크림반도 일대의 러시아 진지를 공격하기 위해 아테시와 협력했다고 인정했다.#

사망했다는 빅토르 소콜로프 제독이 며칠 뒤 러시사 국방부 주재 회의에 원격으로 참석했다. # #

그런데 우크라이나 특수작전군은 원격으로 회의에 참석한 빅토르 소콜로프 제독은 살아있었을 때 찍었던 영상을 짜깁기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 이유는 첫째, 기나긴 회의 중에 눈을 단 한번도 깜빡이지 않았다는 점이고, 둘째, 허리까지만 드러났다는 점이고, 셋째, 만약 소콜로프 제독이 살아있었다면 쇼이구 국방장관이 주재하는 회의니까 최대한 표정관리하며 침착함을 유지하려는 모습을 보였어야하는게 맞는데, 회의 내내 계속 얼굴 표정이 일그러지며, 불만을 표했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우크라이나 측에서 지속적으로 소콜로프 제독 사망설을 주장하자, 러시아 언론지인 메두자가 소콜로프 제독이 20일에 세바스토폴 축구팀 시상식에 참가한 사진을 공개하며 사망설에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섰다.#

위성 사진을 분석한 결과 우크라이나의 지속적인 세바스토폴 공격으로 인해, 결국 흑해함대가 세바스토폴로부터 피항하고 있다는 기사가 나왔다. # 10월 12일 기준으로는 알렉산드리트급 소해함 2척을 제외한 대부분의 주력함[8] 들이 대부분 노보로시스크로 피항한 것이 위성 사진으로 확인되었다.

러시아 측은 흑해함대를 위한 항구를 추가확보하기 위해, 압하지야의 항구인 오참지라항에 해군기지를 건설한다고 밝혔다.

2.4.1. 폐함/손상된 함선들[편집]


폐함 : 18척
  • 앨리게이터급 상륙함 1척(사라토프): 2022년 3월 24일 베르댠스크 항구에 가해진 OTR-21 토치카 미사일 공습으로 인해 함이 유폭하면서 격침되었다.
  • 슬라바급 순양함 1척(모스크바): 2022년 4월 14일 오데사 연안에서 R-360 넵튠 공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고, 다음날인 4월 15일 세바스토폴로 예인되던 도중 손상이 악화되어 침몰하였다.[9]
  • BK-16 고속강습정 1척: 바이락타르 TB2의 공습으로 2022년 5월 2일 한 척을 손실하였다.
  • 랩터급 경비정 5척: 2022년 3월 22일 우크라이나군 대전차미사일에 피격되어 대파되었다. 이후 바이락타르 TB2의 공습으로 2022년 5월 2일, 5월 8일 즈미이니 섬 인근에서 각각 2척씩을 손실하였다.
  • 세르나급 상륙정 2척: 바이락타르 TB2의 공습으로 2022년 5월 6일 즈미이니 섬 인근에서 승선한 46명의 러시아군 장병들, 그리고 싣고 있었던 9K330 토르와 함께 침몰했다. 이후 2023년 11월 10일에 우크라이나군의 무인 자폭보트에 맞아 한 척이 격침되었다.
  • 프로옉트 22870급 예인선 1척(바실리 베흐): 바이락타르 TB2의 공격에 대비해 토르 방공 미사일을 달아서 즈미이니 섬의 러시아군에게 물자와 인력을 수송하고 있었으나, 2022년 6월 17일 하푼 미사일 2발을 맞고 격침되었다.
  • 온다트라급 상륙정 2척(D-106, ?): D-106은 2022년 6월 30일 마리우폴 해상에서 기뢰와 접촉해 폭침되었다. 이후 2023년 11월 10일에 우크라이나군의 무인 자폭보트에 맞아 한 척이 격침되었다.[10]
  • 로푸카급 상륙함 2척(민스크, 노보체르카스크): 2023년 9월 13일 민스크함이 세바스토폴에서 스톰 쉐도우에 직격당해 전소되었다. 2023년 12월 26일, 페오도시아에 정박 중이던 노보체르카스크함이 우크라이나군의 공습으로 인해 완전히 파괴되어 침몰했다.
  • 킬로급 잠수함 1척(로스타프나도누): 2023년 9월 13일 우크라이나군의 세바스토폴항 스톰 쉐도우 공습으로 파손되었다. 파손 당시 드라이 도크에 입거한 상태였으며, 함수부와 측면에 구멍이 뚫릴 정도의 큰 피해를 입었다.
  • 카라쿠르트급 초계함 1척(아스콜트): 2023년 11월 4일 케르치 잘리프 조선소에서 우크라이나군의 스톰 쉐도우 공습으로 파괴되었다.#
  • 훈련함 1척(UTS-150): T43급 소해함을 개조한 훈련함으로, 2023년 12월 26일 우크라이나군의 페오도시야 공습으로 로푸카급 상륙함 노보체르카스크가 유폭하면서 휘말려 항구에 착저한 것이 확인되었다. 함령을 볼 때 폐함이 유력하다.

손상 : 4척
손상되었으나 수리 후 현재 복귀한 함선들은 ★을 표기했다.
  • 로푸카급 상륙함 2척(체사르 쿠니코프★, 올레네고르스키 고르니크): 체사르 쿠니코프함은 사라토프함와 마찬가지로 2022년 3월 24일 베르댠스크 항구에서 토치카 공격으로 손상을 입었고 장기간 전력에서 이탈했다. 이로부터 약 1년 5개월 후인 2023년 8월 4일에는 올레네고르스키 고르니크함이 노보로시스크항에서 우크라이나군의 자폭드론으로 큰 손상을 입었다.
  •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호위함 1척(어드미럴 마카로프★): 이반 골루베츠와 마찬가지로 2022년 10월 29일 세바스토폴항에 침투한 자폭보트 공격으로 인해 손상을 입었다.
  • 나티아급 소해함 1척(이반 골루베츠★): 2022년 10월 29일 우크라이나군의 세바스토폴항 자폭보트 공격으로 파손되었다고 러시아 국방부에서 밝혔다.#

손상·격침여부 불투명
  • 보라급 초계함 1척 (사뭄): 2023년 9월 13일 우크라이나군의 세바스토폴항 공격 당시 자폭보트 공격으로 파손되었다.# 공개된 사진에서 선수에 비해 선미 흘수 일부가 수면아래로 내려간 점과, 자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예인선에 의해 견인되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실제로 파손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 바실리 비코프급 경비함(함명 불명): 1척이 2023년 10월 12일경 함미에 큰 손상을 입은 채로 노보로시스크의 드라이 도크에 입거한 모습이 위성사진으로 찍혔다. 4번함 세르게이 코토프라는 미확인 정보가 있으나, 어떤 경위로 손상을 입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세바스토폴에서 기뢰에 접촉한 3번함 파벨 데르자빈이라는 설도 있다.

3. 소속 군함[편집]



3.1. 현역함[편집]


2023년 기준이며, 현역함만 기술한다.

특이하게도 타 함대에서 넘어온 상륙함들이 상당히 많은 것을 알 수가 있는데, 이들은 모두 2022년 2월에 흑해로 들어왔다.
함급
함명
비고
대잠함 / 호위함
크리박급
라드니

피트리비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
[흑해외]
어드미럴 에센

어드미럴 마카로프
함대 기함
손상
[복귀]
초계함
스테레구시급
머큐리
[흑해외]
카라쿠르트급
찌클론

아스콜트
손상
아무르

보라급
보라

사뭄
손상
[복귀]
그리샤 III급
포보리노

이스크

카시모프

경비함/경비정
비실리 비코프급
비실리 비코프

드미트리 로가초프

파벨 데르자빈
손상
세르게이 코토프

소해함
고르야급
아나톨리 젤렌즈니야코프

나탸아급
코브로베츠

이반 골루베츠
손상
[복귀]
투르비니스트

발렌틴 피쿨

바이스-아드미랄 자카린

알렉산드리트급
이반 안토노프

블라드미르 에멜라노프
[흑해외]
게오르기 쿠르바토브

소냐급
BT-241

BT-726

상륙함
엘리게이터급
니콜라이 필첸코프

오르스크

로푸카급
노보체사르크
손상
세자르 쿠니코프
손상
[복귀]
야말

아조프

콘스탄틴 올샨스키
노획[11]
민스크
손상
[발트]
코롤레프
[발트]
칼리닌그라드
[발트]
게오르기 포베도네스츠
[북방]
올레네고르스키 고르니크
손상
[북방]
이반 그렌급
표트르 모크리코프
[북방]
상륙정
듀공급
아타만 플라토프
[카스피]
잠수함
킬로급 전기형(SS)
B-871 "아르로사"

킬로급 후기형(SS)
B-261 "노보로시스크"
수리중
[흑해외]
B-237 "로스타프나도누"
손상
B-262 "스타리 오스콜"

B-265 "크라스나도르"
[흑해외]
B-268 "벨리키 노보고로드"

B-271 "콜피노"

외 보조함 다수


4. 편제[편집]



4.1. 1988년[편집]


  • 제14잠수함사단 / 14th Submarine Division
제153잠수함여단 / 153rd Submarine Brigade
제155잠수함여단 / 155th Submarine Brigade
  • 제37구조함여단 / 37th Rescue Ship Brigade
  • 제39해군상륙사단 / 39th Naval Landing Division
제65구축함대대 / 65th Destroyer Battalion
제197상륙함여단 / 197th Landing Ship Brigade
  • 제112정찰함여단 / 112th Reconnaissance Ship Brigade
  • 제176독립해양조사함대대 / 176th Indpendent Oceanographic Research Ship Battalion
  • 제300독립보안방호대대 / 300th Independent Protection and Security Battalion
  • 제422독립수로함대대 / 422nd Independent Hydrographic Ship Battalion
  • 다뉴브 전단 / Danube Flotilla
제116강안함여단 / 116th River Ship Brigade
  • 도누즐라프 해군기지 / Donuzlav Naval Base
제17해안방어여단 / 17th Coastal Defence Brigade
제92소해함여단 / 92nd Minesweeper Brigade
  • 세바스토폴 해군기지 / Sevastopol Naval Base
제30대잠전사단 / 30th Anti-Submarine Warfare Division
제41미사일함여단 / 41st Missile Ship Brigade
제63선박건조분해수리여단 / 63rd Brigade of Constructed and Overhauled Ships
제68해안방어여단 / 68th Coastal Defence Brigade
제150미사일함여단 / 150th Missile Ship Brigade
제181선박건조분해수리여단 / 181st Brigade of Constructed and Overhauled Ships
  • 케르치 해군기지 / Kerch Naval Base
제141해안방어여단 / 141st Coastal Defence Brigade
  • 통신센터 / Unidentified Communications Center
  • 포티 해군기지 / Poti Naval Base
제184해안방어여단 / 184th Coastal Defence Brigade
  • 해안병력부 / Department of Coastal Troops
제51독립해안미사일연대 / 51st Independent Coastal Missile Regiment
제362독립해안미사일연대 / 362nd Independent Coastal Missile Regiment
제810해군보병여단 / 810th Naval Infantry Brigade
  • 흑해함대 해군항공부 / Department of Naval Aviation Black Sea Fleet
제2근위해상미사일운반항공사단 / 2nd Guards Maritime Missile Carrying Aviation Division
제30독립해상정찰항공연대 / 30th Independent Maritime Reconnaissance Aviation Regiment
제78독립해상대잠헬리콥터연대 / 78th Independent Shipborne Anti-Submarine Helicopter Regiment
제318독립대잠항공연대 / 318th Independent Anti-Submarine Aviation Regiment
제859해군항공훈련센터 / 859th Training Center for Naval Aviation
제872독립해상대잠헬리콥터연대 / 872nd Independent Shipborne Anti-Submarine Helicopter Regiment
제917독립수송항공연대 / 917th Independent Transport Aviation Regiment


4.2. 현재[편집]


  • 제4독립잠수함여단 / 4th Independent Submarine Brigade[12]
  • 제30수상함사단 / 30th Surface Ship Division
제11대잠함여단 / 11th Anti-Submarine Ship Brigade[13][A][B]
제197강습함여단 / 197th Assault Ship Brigade[14][C]
  • 제41미사일정여단 / 41st Missile Boat Brigade
제166노보로시스크 소형미사일정분대 / 166th Novorossiysk Small Missile Boat Division[15]
제295수린스크 미사일정분대 / 295th Sulinsk Missile Boat Division[16]
  • 제68해안방어함여단 / 68th Coastal Defense Ship Brigade
제102대사보타주전대 / 102nd Anti-Saboteur Squadron[17]
제149대잠함기동부대 / 149th Anti-Submarine Ship Task Force[18]
제150소해함기동부대 / 150th Minesweeper Task Force[19][D]
  • 제176원정해양조사함분대 / 176th Expeditionary Oceanographic Ship Division[20]
  • 제184노보로시스크 해안방어여단 / 184th Novorossiysk Coastal Defence Brigade
제136대사보타주전대 / 136th Anti-Saboteur Squadron[21][D]
제170소해함분대 / 170th Minesweeper Division[23][24]
제181대잠함분대 / 181st Anti-Submarine Ship Division[25]
  • 제519분리전대 / 519th Separate Squadron[26]
  • 보조함 / Auxiliaries[27]
  • 흑해함대 지상군, 해군보병, 함대함 미사일 / Black Sea Fleet Ground Forces, Naval Infantry and Surface-to-Surface Missile Forces[28]
제11해안미사일포병여단 / 11th Coastal Missile-Artillery Brigade
제22군단 / 22nd Army Corps
제56근위항공강습연대 / 56th Guards Air Assault Regiment
제171항공강습대대 / 171st Air Assault Battalion
제382해군포병대대 / 382nd Naval Infantry Battalion
제388해군정찰거점 (특수부대대대) / 388th Naval Reconnaissance Point (Special Forces Battalion)[29]
제810근위해군보병여단 / 810th Guards Naval Infantry Brigade
  • 흑해함대 항공방공군 / Black Sea Region Aviation and Air Defence Forces
제2근위해군 항공사단 / 2nd Guards Naval Aviation Division
제7군사기지 / 7th Military Base
제27혼합 항공사단 / 27th Composite Aviation Division
제31방공사단 / 31st Air Defense Division
제51방공사단 / 51st Air Defense Division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13:57:02에 나무위키 흑해함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2년 4월 15일 격침.[2] 그래도 연안해군인 조지아 해군을 전멸시키는 전과는 거뒀다. 이후 조지아는 해군을 아예 해안 경비대에 통합시켰다.[3] 슬라바급 순양함 모스크바와 바실리 비코프급 경비함 바실리 비코프.[4] 물론 튀르키예는 우크라이나 해군 함선들의 해협 통과도 불허하고 있지만, 어차피 외부에서 끌어올 해군도 없는 우크라이나보다는 증원을 받을 수 있는데 못 받는 러시아 쪽이 더 뼈아픈 입장이다.[5] 대표적으로 슬라바급 순양함 마샬 우스티노프와 바랴그가 원래 함대(우스티노프는 북방함대 소속이고 바랴그는 태평양함대의 기함이다)를 떠나 지중해로 보내졌다.[6] 저 둘은 무려 2022년 가을까지도 지중해에와 시리아 연안에서 하염없이 대기하다가 보급품이 떨어지자 본래 함대로 귀환했다고 한다.[7] 사실 당연한 것이 흑해함대가 상대해야할 국가가 우크라이나와 루마니아, 튀르키예 정도가 전부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튀르키예는 전쟁 이전까지 러시아와의 관계도 썩 나쁘진 않았으니, 러시아군 상층부는 흑해함대가 실질적으로 필요한 전력은 더 적다고 판단했다.[8]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이반 그렌급, 엘리게이터급, 로푸카급 등.[9] 여담으로 이는 1982년 포클랜드 전쟁에서 아르헨티나 해군의 헤네랄 벨그라노가 영국 해군의 처칠급 원잠에 의하여 격침된 이후 무려 40년 만에 터진 순양함 격침 사건이다.[10] 흑해함대에는 원래 온다트라급 상륙정이 D-106 한 척 밖에 없었는데, 카스피해 전단에서 볼가-돈 운하를 통해 꺼내온 것으로 추정된다.[흑해외] A B C D E 흑해 밖으로 파견된 상태에서 전쟁이 벌어지면서 보스푸루스 해협이 봉쇄되어 현재 흑해로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복귀] A B C D 손상을 입었으나 현재 수리 후 복귀.[11] 2014년 크림 위기 당시 흑해함대가 우크라이나 해군에게서 노획한 아래 현재까지 미반환 중이다. 우크리아나 해군 시절 함명은 U402 콘스탄틴 올샨스키.[발트] A B C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 발트함대에서 흑해로 파견, 현재 흑해함대 휘하에 있다.[북방] A B C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 북방함대에서 흑해로 파견, 현재 흑해함대 휘하에 있다.[카스피] 카스피해 전단에서 흑해로 파견, 현재 흑해함대 휘하에 있다.[12] 킬로급 잠수함 전기형 1척, 킬로급 잠수함 후기형 6척.[13] 크리박-I급 호위함 1척, 크리박-II급 호위함 1척,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호위함 3척.[A] 모스크바함 침몰 사건으로 슬라바급 순양함 1척 상실.[B] 우크라이나 측에 의해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호위함(어드미럴 에센) 1척 손상 추정.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호위함(어드미럴 마카로프) 1척 손상.[14] 앨리게이터급 상륙함 2척, 로푸카-I급 상륙함 3척, 로푸카-II급 상륙함 1척, BK-16 고속강습정 2척.[C] 베르댠스크항 미사일 공격으로 앨리게이터급 상륙함 1척 상실, 로푸카-I급 상륙함 2척 손상. 우크라이나군의 바이락타르 TB2의 공격으로 BK-16 고속강습정 한 척 파괴[15] 부얀-M급 초계함 4척, 보라급 초계함 2척.[16] 타란툴-II Mod급 초계함 1척, 타란툴-III급 초계함 3척.[17] 그리샤-I급 초계함 1척, 그리샤-III급 초계함 2척.[18] 나티아-I급 소해함 3척, 알렉산드리트급 소해함 3척.[19] 그라초노크급 경비정 3척, 랩터급 경비정 3척, 플라멩고급 경비정 2척.[D] A B 우크라이나 측에서 랩터급 경비정 3척 격침.[20] 프로젝트 861형 수로탐사함 1척, 프로젝트 862형 수로탐사함 2척.[21] 그라초노크급 경비정 3척, 랩터급 경비정 3척.[22] 1척 남음[23] 고르야급 소해함 1척, 나티아-I Mod급 소해함 1척, 소냐급 소해함 2척, 프로젝트 02688형 소해함 1척, 세르나급 상륙정 2척[22], 온다트라급 상륙정 1척.[24] 우크라이나군에 의해 세르나급 상륙정 1척 격침. 러시아군의 기뢰에 걸려 온다트라급 상륙정 1척 격침[25] 그리샤-III급 초계함 3척, 바실리 비코프급 경비함 3척.[26] 비시냐급 정보함 1척, 유리 이바노프급 정보함 1척, 프로젝트 861M형 정보함 2척.[27] 보리스 칠킨급 함대 급유함 1척, 도라급 함대 급유함 1척, 우다급 함대 급유함 1척, 프로젝트 6404형 함대 급유함 1척, 프로젝트 03182형 함대 급유함 1척, 콤무나함, 프로젝트 23120형 군수지원함 1척, 프로젝트 304형 수상선박수리함 2척.[28] K-300P, Kh-35, Object 100, P-5, P-15, P-800 배치.[29] BK-16 고속강습정 2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