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라누마 기이치로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메이지 시대|

메이지 시대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이토 히로부미
구로다 기요타카
야마가타 아리토모
마쓰카타 마사요시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이토 히로부미
마쓰카타 마사요시
이토 히로부미
오쿠마 시게노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야마가타 아리토모
이토 히로부미
가쓰라 다로
사이온지 긴모치
제13대
제14대

가쓰라 다로
사이온지 긴모치
[[다이쇼 시대|

다이쇼 시대
]]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사이온지 긴모치
가쓰라 다로
야마모토 곤노효에
오쿠마 시게노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데라우치 마사타케
하라 다카시
다카하시 고레키요
가토 도모사부로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야마모토 곤노효에
기요우라 게이고
가토 다카아키
와카쓰키 레이지로
[[쇼와 시대|

쇼와 시대파일:1px 투명.png전전
]]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와카쓰키 레이지로
다나카 기이치
하마구치 오사치
와카쓰키 레이지로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이누카이 쓰요시
사이토 마코토
오카다 게이스케
히로타 고키
제33대

하야시 센주로
[[쇼와 시대|

쇼와 시대파일:1px 투명.png전시
]]
제34대
제35대
제36대
제37대
고노에 후미마로
히라누마 기이치로
아베 노부유키
요나이 미쓰마사
제38-39대
제40대
제41대
제42대
고노에 후미마로
도조 히데키
고이소 구니아키
스즈키 간타로
[[쇼와 시대|

쇼와 시대파일:1px 투명.png전후
]]
제43대
제44대
제45대
제46대
{#000,#fff 히가시쿠니[[파일:1px 투명.png노미야 나루히코
시데하라 기주로
요시다 시게루
가타야마 데츠
제47대
제48-51대
제52-54대
제55대
아시다 히토시
요시다 시게루
하토야마 이치로
이시바시 단잔
제56-57대
제58-60대
제61-63대
제64-65대
기시 노부스케
이케다 하야토
사토 에이사쿠
다나카 가쿠에이
제66대
제67대
제68-69대
제70대
미키 다케오
후쿠다 다케오
오히라 마사요시
스즈키 젠코
제71-73대
제74대

나카소네 야스히로
다케시타 노보루
[[헤이세이 시대|

헤이세이 시대
]]
제74대
제75대
제76-77대
제78대
다케시타 노보루
우노 소스케
가이후 도시키
미야자와 기이치
제79대
제80대
제81대
제82-83대
호소카와 모리히로
하타 쓰토무
무라야마 도미이치
하시모토 류타로
제84대
제85-86대
제87-89대
제90대
오부치 게이조
모리 요시로
고이즈미 준이치로
아베 신조
제91대
제92대
제93대
제94대
후쿠다 야스오
아소 다로
하토야마 유키오
간 나오토
제95대
제96-97대

노다 요시히코
아베 신조
[[레이와 시대|

레이와 시대
]]
제98대
제99대
제100-101대

아베 신조
스가 요시히데
기시다 후미오
인세이 · 헤이케 · 가마쿠라 · 무로마치
아즈치모모야마 · 에도 · 내무경


원로 · GHQ · 부총리





히라누마 기이치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c3c965 일본 제국 제35대 내각총리대신
히라누마 기이치로
平沼騏一郎 | Hiranuma Kiichirō
'''

파일:히라누마 기이치로.jpg

출생
1867년 9월 28일
미마사카국 도마타군 미나미신자
(現 오카야마현 츠야마시 미나미신자)
사망
1952년 8월 22일 (향년 84세)
도쿄도
재임기간
제35대 내각총리대신
1939년 1월 5일 ~ 1939년 8월 30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님
히라누마 신 (부친)
형제
히라누마 요시로 (형)
친인척
히라누마 다케오 (양손자)
학력
제국대학 법과대학 (영국법학 / 학사)
문부성 법학박사[1]
작위
남작
정당

약력
대심원 검사국 검사
제8대 대심원 검사총장
제11대 대심원장
제27대 사법대신
귀족원 의원
제2대 니혼대학 총장
초대 다이토분카대학 총장
제11대 추밀원 부의장
제62대 내무대신
제17·21대 추밀원 의장
제35대 내각총리대신

1. 개요
2. 생애
3. 매체에서



1. 개요[편집]


歐洲天地 複雜怪奇 (유럽 천지가 복잡하고 괴기하다.)

일본 제국의 법조인 출신 정치인. 제35대 내각총리대신을 지냈다.


2. 생애[편집]


1867년에 오카야마에서 하급 사무라이 히라누마 신의 차남으로 태어난 그는 1872년에 도쿄로 상경하여 영어, 한문, 산술을 공부한 후 1878년 도쿄대학 예비학부[1]에 입학했고, 1888년 제국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2] 졸업 후에는 사법성으로 진출하여 출세가도를 타기 시작했다. 1908년 형법개정으로 설치된 범죄자이동식별법 조직회의 멤버가 되어 히라누마는 자신의 보고서로 지문에 의한 범죄인 등록제를 추진했다. 그러다가 1910년 덴노 암살 미수 사건이 발생하자 히라누마는 검사로서 고토쿠 슈스이 등 피고들에 대한 사형을 구형했다. 1912년부터 1921년까지 3대에 걸쳐 무려 9년간 일본 검사총장을 역임했으며 재임 중 지멘스 사건을 수사하기도 하였다.

그는 이른바 관념우파라고 하는 국수주의계 보수주의 일파[3]의 수장으로서 사법계와 추밀원에서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고관들만을 상대로 한 그의 정치활동은 전국민적인 지지를 얻지 못했다. 그는 와카쓰키 내각과 하마구치 내각, 원로 사이온지 긴모치를 맹렬히 비난해서 이들의 반감을 샀고 특히 차기 수상후보를 점찍을 힘이 있었던 사이온지의 진노를 크게 산 까닭에 정당정치가 붕괴한 후에도 수상후보가 되지 못한 채 추밀원 부의장에 머물러야 했다.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35.jpg
35대 총리 취임 후
그러다가 전 총리였던 고노에 후미마로중일전쟁을 일으켜놓고 무책임하게 사임해버리자, 추밀원 의장[4]이라는 점이 인정되어 유아사 구라헤이의 추천을 받아 총리로 발탁되었다. 일단 집권하자 히라누마는 종전의 과격한 국수주의를 누그러뜨리고 대외정책에 골몰했다. 당시 독일은 일본과 정식적인 군사동맹을 맺으려고 계속해서 러브레터를 보내고 있었고, 히라누마는 군부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영미와의 대결구도로 흘러가는 것만은 피하고자 이를 유보했으나 독일과의 대소공조만은 계속 유지하려고 했는데, 이것에 불만을 품은 군부는 천진에서 일어난 한간 암살사건을 빌미로 천진조계를 봉쇄하는 이른바 천진사건을 꾸며내어 영미를 자극하는 등의 공작을 펼쳤고, 히라누마는 이후 종전까지 군부와 혁신우익의 암살위협에 시달려야 했다.

아무튼 이런 까닭에 독일소련불가침조약을 체결하자 히라누마의 외교 정책은 완전히 붕괴하였다. 그간 일본과 군사동맹을 체결하려고 접근해왔던 나치 독일이 갑자기 일본의 제일 적국인 공산주의 소련과 서로 침략하지 않겠다는 독소 불가침조약 발표를 해버리자 히라누마는 충격을 받았고 그 유명한 구주천지 복잡괴기, 즉 "유럽 천지가 복잡괴기하게 되어 신정세가 생겨났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기존 정책을 버리고 다시 새로운 정책수립을 할 필요가 생겼다"는 등의 입장을 밝히면서 내각총사퇴를 하기에 이른다. 마침 같은 시기 할힌골 전투에서 일본군이 소련군에게 패배 정도가 아니라 완전히 발려버렸다. 그래도 사임 후에도 종전까지 중신으로서 일본의 정책 결정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히로히토 천황의 비공식적인 자문 역할을 하기도 했는데 이를 중신(重臣)[5]이라고 부른다 . 1945년 4월 다시 추밀원의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패전 직전 항복을 결의한 어전회의에서도 중신이자 추밀원 의장자격으로 참여해서 '국체수호가 보장되지 않으면 항복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6] 궁성사건 당시 반란군에 의해 사택이 불타기도 했다. 이유는 어처구니없게도 친영미파라는 것. 패전 이후 도쿄 전범 재판에서 히라누마는 A급 전범으로 기소되어 종신형을 선고받고 복역했다. 그러나 1952년에 질병으로 가석방되었고 병이 깊어져서 가석방된 후 얼마 지나지 않아서 사망하였다. 향년 85세. 참고로 그의 위패는 1978년에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되었다.

자민당 의원인[7] 히라누마 다케오가 그의 손자인데, 친손자는 아니고 양자이다. 히라누마 기이치로는 평생 독신이었기 때문에 직계자손이 없다. 실제 혈통은 형의 손녀의 아들.


3. 매체에서[편집]


  • 영화 《박열》에서 일본 배우 사토 마사유키가 연기했다. 조선인 학살에 대해 항의하던 전임 사법대신 덴 겐지로[8]가 사법대신을 때려치자[9] 그 후임으로 입각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16:24:53에 나무위키 히라누마 기이치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886년 '제국대학'으로 개칭 당시 제1고등학교로 분리되었으나 1949년 신제 도쿄대학에 재통합되었다.[2] 현 도쿄대학은 도쿄대학이라는 이름으로 개교했다. 이 개교 당시의 도쿄대학을 구제 도쿄대학, 현재를 신제 도쿄대학으로 구별해 부른다. 도쿄대학은 1886년 제국대학으로 개칭되었으나 1897년 교토제국대학이 개교하자 제국대학 간 구별을 위해 도쿄제국대학으로 또 한 번 개칭되었다. 그러나 종전 후인 1947년 제국대학령이 폐지되어 식민지를 제외한 각지의 제국대학들은 '제국'이 삭제되었다. 그리고 2년 뒤에 구제고등학교들을 각각 통합하여 모두 신제대학으로 개편되었다. 히라누마가 졸업할 당시는 도쿄제국대학으로의 개칭 전이니 제국대학이라는 이름이었다.[3] "파시즘 그거 유럽놈들 사상 아니냐? 우리는 우리 식으로 혁신을 해야하고 파시즘은 배격대상이다."라고 주장하던 양반들이다. 일본군 육군의 황도파와 많이 연루되었다. 소련을 일본의 제일 위협으로 본 황도파와 사회주의를 불구대천원수로 취급하던 관념우파의 쿵짝이 잘 맞아떨어진 것으로 이와 반대로 통제파와 혁신우익들은 소련의 통제경제를 선망하거나 적어도 연구의 대상으로 보았다.[4] 사실, 추밀원 부의장으로 오래 재직하였고, 전임자였던 이치키 기도쿠로가 워낙 고령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히라누마의 헌법관이 천황주권론자인데다, 극렬 파시스트였기 때문에 추밀원 의장직을 계승하지 못했다. 의장이 된 것은 파시스트 단체인 국본사를 떠난 뒤였고, 그나마도 천황에게 자신은 파시스트가 아니라고 맹세를 한 다음에야 가능했다.[5] 과거에는 원로(겐로)라 부르는 유신과 이토 히로부미, 가쓰라 다로, 사이온지 긴모치처럼 메이지 유신 이후 총리를 지낸 사람들이 천황을 보좌하였다. 그러나 이들이 고령으로 점점 세상을 떠나자 천황은 사이온지에게 원로의 추가지명을 위한 추천을 부탁했다. 그러나 사이온지가 '더 이상 원로는 필요없습니다.'라면서 거절하였고, 사이온지 사후에는 히라누마와 같이 총리나 추밀원의장 등을 역임한 전직 고관들이 중신이라는 이름으로 천황을 보좌하게 된다.[6] 국체는 천황제를 의미한다. 당시 일본제국이 연합군의 무조건 항복 요구에 대해서, 다른 조건들은 하나씩 포기하면서도 끝까지 고집했던게 천황제였다. 이미 1945년에 접어들면 패전은 기정사실이라는 암묵적인 분위기가 형성되었으나 끝까지 천황제에 대한 미련 때문에 결단을 못내리고 질질 끌다가 결국 소련의 참전과 핵무기를 본 뒤에야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게 된다. 히라누마는 마지막 순간까지도 천황제를 지키려고 했던 것이다.[7] 중간에 일어나라 일본일본 유신회(2012년)차세대당을 거쳐 자민당으로 돌아왔다.[8] 전 타이완 총독이다.[9] 내각에서 사퇴한 것은 아니다. 원래 농상무대신과 사법대신을 겸임하고 있었고 사법대신만 그만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