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m 달리기

덤프버전 :



1. 개요
2. 인기
3. 분석
4. 빨리 달리는 법
5. 기록
5.1. 선수
5.1.1. 국내 선수
5.2. 타 종목 선수
5.3. 일반인 평균
6. 관련항목


1. 개요[편집]


신호에 맞춰 출발해 100m를 달리고, 기록을 측정하는 운동이다. 200m, 400m와 같이 단거리 달리기에 속한다.[1]


2. 인기[편집]


육상의 꽃이라는 별명답게 다른 육상 경기에 비해 인기가 뜨겁다. 세상에서 가장 빠른 선수들이 0.01초를 다투는 종목이기에 박력이 넘치며, 누구보다 빠르게 골에 도착하는게 목적인 경기라 누가 봐도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경기의 특성과 세계에서 가장 발이 빠르단 가십거리를 제공해 관중들도 흥미진진하게 즐길 수 있기 때문에 올림픽을 비롯한 육상 선수권 대회, 각종 체육대회와 체력실기 등에서 가장 주목받는 종목이다. 미국의 칼 루이스, 자메이카의 우사인 볼트 등 압도적인 실력을 과시하는 경우 세계적인 스타 반열에 오르게 된다. 여담이지만 100m의 스타인 우사인 볼트가 비슷한 경쟁자가 없는 초월적인 기록을 남기고 은퇴하면서 IOC는 종목의 인기까지 떨어질까 봐 걱정하고 있다. 경기 시간이 15초로 정도로 짧기에 시간당 중계권료와 광고료도 가장 비싸다. 여러 경기를 묶어 입장시키는 국제 대회에서도 100m 달리기 결승전이 포함된 시간대의 입장권은 가장 비싼 A급으로 배정된다.[2] 2012 런던 올림픽 남자 100m 결승전 일반석 입장권은 1,300USD(약 150만원)였다. 육상선수권이나 올림픽 등 규모 있는 대회는 관객석을 채우기 위해 공무원이나 지자체에서 단체관람을 오는 경우가 많지만, 100m 결승전만큼은 입장권의 가격과 무관하게 객석이 매진된다.

약물이 판을 치며,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벤 존슨스테로이드 파문이 충격을 준 이유도 종목의 인기 때문이다. 올림픽 기간에는 자국 선수의 경기 중계도 가끔 생략하곤 하지만, 100m 결승전만큼은 대부분 생중계한다.[3]


3. 분석[편집]


스타트 - 가속질주 - 중간질주 - 피니시 단계가 있다. 스타트는 스탠딩 스타트와 크라우칭 스타트가 있는데, 그냥 서서 시작하면 스탠딩 스타트, 올림픽처럼 앉아서 하면 크라우칭 스타트다. 체력실기 종목 대부분은 스탠딩 스타트로 시작한다. 크라우칭 스타트는 번지 스타트, 미디움 스타트, 엘롱게이트 스타트가 있는데,[4] 다리가 짧은 사람들은 간격이 좁은 번지나 미디움, 다리가 긴 사람들은 간격이 넓은 엘롱게이트가 적합하다.


4. 빨리 달리는 법[편집]


100m 달리기는 무산소 운동이므로 제대로 달리기 위해서는 먼저 근력이 갖춰져야 한다. 20대 남성 기준으로 적절하게 분배된 근력과 체중, 키(다리길이)가 된다면 12초대까지는 대부분 노력만으로도 도달 가능하다.

기록 단축을 위한 최선의 방법은 300m 달리기를 많이 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100m 기록이 50m 두 번 기록의 합보다 느린데, 300m 전력질주를 반복하면 근지구력과 지구력이 생겨 100m가 50m 두 번보다 빨라진다.[5] 대다수의 사람들은 100m를 전력질주하면 탈진하는 반면, 100m 달리기 선수들은 달린 후에도 체력이 남는다. 기록을 줄이려면 100m를 지치지 않고 전력질주할 수 있는 최소한의 체력이 필요하다.

바른 자세도 기록 단축에 필요하다. 팔을 크게 치되 앞이 아닌 뒤쪽으로 힘을 주어 치고, 상체는 살짝 숙이고, 턱은 당기고, 다리는 이나 소닉이 달리는 것처럼 바짝 앞꿈치로 착지하며 달리는 것이 정석적인 자세다.

10초대부터는 선수급 기록이며 0.1초의 기록 단축이 매우 힘들고, 불법 도핑이 빈번한 단계다. 한국에서는 전국체전 진출, 미국에서는 NCAA 디비전 1부 리그에서 뛸 수 있는 수준이다. 9초대는 올림픽 메달권을 다투는 초엘리트이다.

종일 달리는 게 일과인 축구선수들도 12초대가 흔하다.[6] 미국 최고의 인재가 모이고 불법 약물이 판을 치는 NFL에서도 와이드 리시버의 속도가 10초대면 속도 하나만으로 경기력을 메울 수 있다고 평가 받는다.


5. 기록[편집]


100m 달리기 세계 신기록 및 올림픽 신기록
구분
선수
국가
기록
경신일
경신지
비고
남자 세계 신기록
우사인 볼트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9초 58
2009년 8월 16일
독일 베를린

남자 올림픽 신기록
우사인 볼트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9초 63
2012년 8월 5일
영국 런던

여자 세계 신기록
플로렌스 그리피스 조이너
파일:미국 국기.svg
10초 49
1988년 7월 16일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여자 올림픽 신기록
일레인 톰슨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10초 61
2021년 7월 31일
일본 도쿄


재능을 갖고도 필사적으로 노력하여 마의 9초에 들어오면 메달권 수준으로 진입한 것으로 간주한다. 잘 알려졌듯 흑인 계의 입김이 가장 강한 스포츠인지라 흑인 선수들이 우세를 점하고 있는 상황이며, 대표적인 강국으로는 자메이카미국이 있다.

순수 비 흑인계 중에서는 동북아계 선수들이 숫자로든 기록으로든 제일 선전하고 있다. 순수 동양인으로서 공식적으로 9초대를 찍은 사람은 중국의 쑤빙톈 9초 83, 셰전예 9초 97, 일본의 기류 요시히데 9초 97, 야마가타 료타 9초 95, 고이케 유키 9초 97까지 총 5명이다.[7] 이 중 2021년 도쿄 올림픽 준결승에서 쑤빙톈의 9초 83이 최고 기록이며, 해당 기록은 역대 비 흑인계 선수 중 가장 빠른 기록이다.

백인의 100m 10초대 미만은 프랑스의 크리스토프 르메트르 9초 92, 아제르바이잔-터키의 라밀 굴리예프 9초 97, 이란-모로코계 영국인 아담 제밀리 9초 97, 이탈리아의 필리포 토르투의 9초 99 까지 4명이며, 이중 르메트르의 기록인 9초 92가 최고 기록이다. 이 외에 호주 원주민인 호주의 패트릭 존슨이 세운 9초93이 있다.

2022년 7월 3일 스리랑카의 유푼 아베이쿤이 9초 96의 기록으로 남아시아 최초로 9초대 진입하였다.

9초대를 찍으면 뉴스에 실리며 육상인재가 귀한 나라들 같은 경우에는 스타가 된다.

2020 도쿄 올림픽 남자 100m 달리기 금메달을 받은 마르셀 제이콥스흑백혼혈아프리카계 이탈리아인이다.[8] 아무튼, 이탈리아는 처음으로 100m 올림픽 금메달을 받았다.


5.1. 선수[편집]


남자 세계 기록은 우사인 볼트가 2009년 베를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기록한 9초 58이다. 우사인 볼트는 2012 런던 올림픽 결선에서 기록한 올림픽 기록 9초 63도 같이 보유중이다.

여자 세계 기록은 1988년 서울올림픽 미국대표 선발전 때 플로렌스 그리피스 조이너가 기록한 10초 49이며, 같은 해 서울올림픽 때 세운 200m 세계 신기록 21초 34와 함께 이 기록은 아직도 깨지지 않고 있다. 조이너의 100m 기록에 못 미치는 10.5초대의 기록도 존재하지 않는다. 조이너는 1998년 39세에 심장마비로 급사했는데, 약물 복용의 여파에 따른 부작용이라는 근거 없는 소문이 돌았으나 부검 결과 약물 복용의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여러 의혹에도 불구하고 30년 넘게 이 기록은 IOC에서 인정 중이다. 비단 100m 뿐 아니라 여자 육상 주요 종목 대부분의 기록이 80년대(!)~90년대에서 멈춰있는데, 21세기의 스포츠과학이나 선수들의 체격 향상에도 깨지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말이 안 나오기는 어렵다. 또 2010년대 중반 이후엔 '기술 도핑'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육상화 자체도 크게 발전했음에도 그렇다.

2021년 개최된 2020 도쿄 올림픽 결선에서 자메이카의 일레인 톰슨10초 61로 우승하면서 세계기록은 아니지만 여자 올림픽 기록을 33년 만에 경신하는 데에 성공했다. 종전 기록은 위의 조이너가 서울올림픽에서 세웠던 10초 62였다. (그런데 그리피스 조이너의 서울 올림픽 우승기록은 10초 54였다.) 마지막 두 걸음은 금메달을 예상했는지 왼손을 치켜들면서 뛰었고 결승선에서 몸을 내미는 동작도 하지 않았다. 10초 59는 충분히 가능해보였는데 육상팬 입장에서는 전력을 다하지 않은 점이 아쉬운 부분이다. 그리고 이후 치러진 미국 유진 다이아몬드 리그에서 10.54를 기록하며 그리피스 조이너 이후 두번째 10초 5대에 돌입한 여성 선수가 되었다.


5.1.1. 국내 선수[편집]


한국 기록은 2017년 6월 27일 김국영이 기록한 10초 07이다.

2017년 6월 25일 강원도 정선 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제45회 KBS배 전국육상경기대회 남자 100m 준결승에서 10초 13으로 김국영이 자신의 기록을 경신하며 새롭게 한국 신기록을 기록했다. 비록 런던세계선수권 대회 출전을 위해 필요한 10초 12에는 0.01초 부족했지만, 2015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 대회에서 자신이 세웠던 한국 기록(10초 16)을 0.03초 단축한 신기록이다. 김국영은 결선에선 더 빠른 10초 07로 레이스를 마쳤지만, 경기 당시 뒷바람이 초속 3.6m로 강하게 불었기 때문에 공식 기록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IAAF(국제육상경기연맹) 규정에 따르면 뒷바람이 초속 2m 이상일 땐 기록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이후 김국영은 27일 강원도 정선 종합운동장에서 열린 2017 코리아오픈국제육상경기대회 남자 100m 결선 경기에서 10초 07에 결승선을 통과했다. 이틀 전인 25일 같은 장소에서 치른 KBS배육상대회 준결승에서 세운 10초 13 한국기록보다 0.06초 빨랐으며, 이로써 상술한 런던 세계선수권대회 기준 기록을 통과, 대회에 출전할 수 있게 됐다.

문제는 김국영 홀로만이 버티고 있다는 점이다. 김국영 이전에 100미터 최고기록은 1979년에 거둔 서말구의 10초 34였다. 무려 31년이나 지난 2010년대에 10초 31로 이 기록을 깬 게 김국영이었다. 이후로 10초 23,10초 16,10초 13으로 차례로 기록을 깬 게 싸그리 김국영 혼자 뿐이다. 그래도 남자 100m 기록은 김국영 한 명 덕에 경신이라도 되지, 여자 100m는 1994년 6월 17일에 11초 49로 우승하며 기록한 이영숙의 기록이 2022년까지도 깨어지고 않고 있다.

그리고 남자 100m 한국 기록마저도 2019년 IAAF의 기준 기록보다 느리다. 2020 도쿄 올림픽에 한국은 100m를 포함한 모든 트랙 종목에서 아무도 출전 자격을 얻지 못했다.

그러나 김태효, 이준혁 2명이 10.18초 이하 기록을 세웠고, 2003년생인 비웨사 다니엘 가사마박원진 그리고 문해진, 손지원, 김동진 등이 남자 100m 유망주이다. 그 외 중학생 육상기록 신기록인 10초 76을 달성해 막강한 유망주로 새롭게 떠오른 2007년생 김동진과, 2022년 전국고교육상대회에서 3위인 10초 95의 기록을 달성해 준수한 평가를 받는 2006년생 나마디 조엘진 또한 주목받고 있다. 2023년에 10.36초의 기록을 냈다. 이 때문에 전망이 마냥 어둡지만은 않아 보이며, 외려 과거보다 상황이 더 좋기 때문에 밝은 미래를 나름 기대할 만하다.


5.2. 타 종목 선수[편집]


육상선수는 아니지만, 달리기와 연관이 많은 축구, 야구 선수 중에는 육상선수 급의 준족 선수들이 여럿 있다. 축구에서 노마크 찬스가 났을때 수비 선수를 따돌리고 어마어마한 속도로 돌파하는 모습은 자주 볼 수 있다.

2020년 어느 기사에 의하면 순간 최고 속도 36.9km/h 를 기록한 가레스 베일이 가장 빠른 축구 선수로 뽑혔다. 참고로 100m 를 10초에 돌파하면 평균 시속 36km/h 이지만, 순간 최고 속도라는 점에서 단순 비교는 어렵고, 축구 선수에게는 '스타트 동작'도 필요하지 않다. 참고로 우사인 볼트의 순간 최고 속도는 44km/h 라고 한다.[9] 대구FC선수들의 100m달리기를 측정한 결과가 있는데 평균기록이 12초41이다. https://mnews.imaeil.com/page/view/2010110209181460133
K리그 스피드 최고라는 김인성 선수가 100m 10초대 뛴 적도 있다.

야구에서도 도루를 많이 기록하는 선수들에게 빠른 발을 가졌다고 평가하지만, 도루는 달리기 이외에도 투수의 타이밍을 뺏는 능력, 슬라이딩 능력 등이 더 중요한 요소이기에 단순히 달리기 실력만으로 판단할 수 없다. 그래도 달리기 능력이 뛰어나면 주루, 도루, 태그업 등 여러 면에서 유리함을 가질 수 있다. 이 기사에 일부 선수들의 100m 기록이 나와 있는데, 덕 클락이 11.4초, 김주찬 11.5초, 정수근 11.8초, 이용규 11초대 중반, 김원섭 11초대 중반 이라고 한다.

이외에도 강호동이 현역시절에 12초 94를 찍었다.

전 스켈레톤 국가대표 윤성빈(스켈레톤)의 최고기록은 11초 00이라고 한다.

5.3. 일반인 평균[편집]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한 것은 아니나, 순경 공채에 지원한 한국 남성의 평균 기록은 15초 중반, 합격생 평균은 14.1이었다. 당연히 스파이크가 허용이 되었으며[10], 실기학원에서 발에 고무줄을 감아주거나 테이핑까지 해줬다는 걸 감안하면 일반적인 운동화를 신고 뛸 경우 -0.5~1초정도 된다. 물론 이는 선수들도 마찬가지. 체력에 자신이 있다는 사람들도 14초 이내로 들어오면 상당히 빠른 수준이라고 할 수 있으며, 13초 이내면 일반적인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사람이라면 친구들 중에 아마 가장 빠르거나 최소 세 손가락 안에는 들 것이다.

물론 이건 자메이카나 나이지리아 같은 육상 인프라가 극도로 발달한 나라가 아닌 이상 어느나라 어딜가든 마찬가지다. 미국의 경우에도 육상부 소속이 아닌 이상 타 운동부나 일반인이 13초 이내로 뛰면 정말로 빠른 축에 속한다. 당장 그 고등학교 육상부의 경우에도 11초대를 달리면 GOOD Runner 소리 듣는다. 15초 안에만 들어와도 절대 느린 편은 아니다. 무술인으로 유명한 이상인도 예전 어느 TV프로그램에서 100m 14초 대를 기록했다.

여성은 100m를 18초대 이내에 달리면 빠르다고 간주된다.

아기공룡 둘리에서 고길동100m를 10초에 주파하는 고길동이다.라고 하면서 둘리를 내빼고 도망친다.

노인들은 100m를 30초 이내로 들어오기만 해도 빠른 것으로 인정된다. 참고로 100세 이상 달리기 세계신기록은 26초이다.#

6. 관련항목[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4 03:21:50에 나무위키 100m 달리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400m 달리기는 거의 중거리 달리기 취급을 받는다. [2] 이보다 위인 S급으로 치는 시간대는 개막식과 폐막식 뿐이다.[3] 물론 100%는 아니며 2020 도쿄 올림픽에서는 대한민국의 지상파 3사 모두 100m 경기를 생중계하지 않았다.[4] 발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순서다[5] 근지구력이 좋으면 중거리, 장거리에 적합하다.[6] 사실 축구에서 100m 달리기는 중요하지 않다. 축구장의 길이는 105m로, 축구 경기 중에는 100m를 달릴 일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축구에서는 그보다 크게 짧은 30m 스프린트가 중요하다.[7] 동북아계 혼혈 선수를 포함하면 가나 혼혈인 일본의 압둘 하킴 사니 브라운이 9초 97을 달성한 바 있다.[8] 출생은 미국 텍사스엘패소에서 했다.[9] 스타트 자세에서 총소리를 듣고 반응하여 0 에서 44km/h 까지 가속하고 100m 결승선을 통과하면 9초대의 기록이 나오는 것이다.[10] 이는 올림픽 경기에서도 허용되는거라 스파이크를 신은 기록을 폄하할 이유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