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일
(♥ 0)
분류
1. 개요[편집]
1년의 305번째(윤년의 경우 306번째) 날에 해당한다.
2. 사건[편집]
2.1. 실제[편집]
- 1755년 - 포르투갈에서 대규모의 지진이 발생해 리스본이 초토화되었다.
- 1800년 - 미국 대통령의 관저인 백악관이 완공되어 존 애덤스가 이주하였다
- 1916년 - 경부선이 금오산 북쪽으로 이설되어 금오산역이 폐역되고 대신역, 아포역, 구미역이 개업했다.
- 1922년 -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가 술탄제를 폐지시키고, 오스만 제국을 멸망시켰다.
- 1935년 - 왕징웨이 저격 사건이 발생했다.
- 1945년 - 몰락 작전의 일환으로 오전 6시에 큐슈 남부에 대한 대대적인 연합군의 상륙이 있을 예정이었다. 일명 올림픽 작전.
- 1948년 - 재정경제긴급처분령이 폐지되었다.
- 1952년 - 미국, 태평양 에니웨톡 섬에서 첫 수소폭탄 실험.
- 1987년
- 1989년 - 해태 타이거즈가 빙그레 이글스를 4승 1패로 꺾고 1989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 1990년 - 가수 김현식이 간경화로 세상을 떠났다.
- 1993년
- 1996년 - DVD 플레이어가 일본에서 세계 최초로 출시되었다. 당시 기종은 도시바의 SD-3000.
- 1999년 - 대우그룹이 해체하였다.
- 2002년 - 경기도 안산시가 상록구와 단원구로 분구되었다.
- 2004년 - 현대 유니콘스가 KBO를 넘어 세계 야구사에 영원히 남을 수중전[1] 에서 삼성 라이온즈를 4승 3무 2패로 꺾고 2004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현대의 마지막 우승이자 최장 한국 시리즈.
- 2005년 - 대구광역시 고속도로의 한 터널에서 로켓 추진체가 실려있던 트럭이 폭발하는 사고가 있었다. 다행히도 인명피해는 없었다고.
- 2006년
신규채널 KBS joy 개국. 채널명(KBS N sports, KBS drama, KBS prime, KBS joy)로 채널명 변경이었다.
2004년 폐지된 통일호의 후신인 일부 통근열차가 무궁화호로 대체되었다.
2004년 폐지된 통일호의 후신인 일부 통근열차가 무궁화호로 대체되었다.
- 2007년 - 노토리우스당 사건을 imc 게임즈 측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징계 심사 절차에 들어갔다. 대한민국 온라인 게임 역사상 가장 대규모의 운영진 개입이 있었던 사건이자 관련 사건 중 최초로 언론 보도까지 된 최악의 흑역사.[2]
- 2010년 - 경부고속선 완전 개통일. 경주역, 울산역, 김천구미역, 오송역도 이 날부터 영업을 시작했으며 수원 경유 KTX도 이 날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동해남부선 울산역이 태화강역으로 개칭되었다. 서울~해운대 간 새마을호 열차가 폐지되었다.
- 2012년 - 삼성 라이온즈가 SK 와이번스를 4승 2패로 꺾고 2년 연속 통합 우승을 확정지으면서 2012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중앙선 서경주역 ~ 동해남부선 부전역 간 새마을호 운행이 중지되었다.
- 2013년 - 삼성 라이온즈가 두산 베어스를 4승 3패로 꺾고 3년 연속 통합 우승을 확정지으면서 2013년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 2017년 - 매카시즘적인 발언과 함께 MBC의 노조 탄압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된 고영주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이 해임되었다.
- 2018년 - 대법원이 종전의 견해를 변경하여 양심적 병역거부도 입영거부의 정당한 사유가 된다는 전원합의체 판결을 냈다.
- 2021년
- 2022년 - 군사안보지원사령부에서 국군방첩사령부로 명칭이 변경되고 보안, 방첩 기능이 강화되었다.
2.2. 가상[편집]
3. 기념일 및 절기[편집]
- 가톨릭에서는 모든 성인 대축일이다. 세간에는 모든 성인 대축일보다 이 축일의 전야제인 할로윈이 훨씬 인지도가 높지만, 그리스도교 문화권에서는 꽤 중요한 축일 중 하나이다. 문화권에 따라서는 부활절과 성탄절 바로 다음가는 축일로 여기기도 한다. 특이하게 콜롬비아는 이 날이 월요일이 아니면 가장 가까운 월요일에 옮겨 지낸다고 한다. (2019년은 11월 4일, 2020년은 11월 2일, 2022년은 10월 31일)
- 멕시코의 가장 큰 명절인 "망자의 날"(Día de Muertos)"의 날이다. 10월 31일부터 11월 2일에 거쳐 열리는 축제 중 가장 성대하게 거행되는 것도 이 날이다.[4]
- 세계 비건의 날
- 국제 LGS(레녹스-가스토 증후군)의 날
3.1. 잡지의 날[편집]
1965년 10월 20일 사단법인 한국잡지발행인협회(현 한국잡지협회)가 1908년 11월 1일 최남선(崔南善)이 《소년(少年)》지를 창간한 날을 기념하여 정한 날.
3.2. 육군훈련소 창설기념일[편집]
1952년 11월 1일, 육군제2훈련소라는 이름으로 창설되었다. 창설기념일이기 때문에 사실상 공휴일처럼 어떠한 교육 훈련도 없는 날이다.
이 날을 기점으로 하절기와 동절기가 전환되어 기상시간이 하절기 기상시간인 6시 정각에서 동절기의 6시 30분으로 바뀌므로 훈련병들은 30분이나 더 잘 수 있는 행복을 누릴 수 있다.
3.3. 경부고속선 완전개통일[편집]
4. 에픽하이의 노래 제목[편집]
에픽하이의 2집 High Society에 수록된 곡 이름이다. 이 날 고인이 된 가수 김현식, 유재하를 추모하기 위해 만든 곡. 타블로의 솔로 앨범 발매일이기도 하다.
5. 축일[편집]
- 모든 성인과 성도들
- 성 다치오
- 성 리치니오
- 성 마르첼로
- 성녀 마리아
- 성 마투리노
- 성 베니뇨
- 성 비고르
- 성 세베리노
- 성 아우스트레모니오
- 성 야고보
- 성 요한
- 성녀 율리아나
- 성 율리아노
- 성 체사리오
- 성녀 치레니아
- 성 카드판
6. 생일[편집]
6.1. 실존 인물[편집]
- 1864년 - 엘리자베트 알렉산드라 루이제 알릭스(~1918년): 헤센 대공국의 대공녀이자 러시아 제국의 대공비
- 1880년 - 알프레트 베게너(~1930년): 독일의 기상학자, 판구조론의 창시자
- 1886년 - 하기와라 사쿠타로(~1942년): 일본의 시인
- 1907년 - 에드몽 델푸르(~1990년): 프랑스의 축구선수
- 1918년 - 켄 마일스(~1966년): 영국의 레이싱 드라이버
- 1924년 - 문인구(~2013년): 한국의 변호사이자 6월 항쟁 당시 호헌철폐 운동을 이끈 인물
- 1931년
- 1936년 - 가메이 시즈카: 일본의 정치인
- 1941년 - 신준호: 대한민국의 기업인, 푸르밀의 前 회장
- 1942년 - 마르시아 월리스(~2013년): 미국의 성우
- 1952년 - 후루야 게이지: 일본의 정치인
- 1959년
- 1960년 - 팀 쿡: 미국의 기업인, Apple 제7대 최고경영자
- 1967년 - 성세정: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 1968년 - 박신양: 한국의 배우
- 1969년 - 이병진: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프로 볼링 선수
- 1972년
- 1973년 - 김학규: 한국의 게임 제작자, imc 게임즈 대표
- 1977년 - 박건형: 한국의 배우
- 1978년 - 정성훈: 한국의 성우
- 1979년
- 1982년 - 이재범: 한국의 성우
- 1983년
- 1984년
- 1985년 - 타카하시 료: 일본의 작곡가, 베이시스트, 기타리스트
- 1986년 - 곽범: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 1987년
- 1988년 - 이민지: 한국의 배우
- 1989년 - 신용재: 한국의 가수
- 1992년
- 1993년 - 태호: 대한민국의 가수, 보이그룹 임팩트의 멤버
- 1994년 - 제임스 워드프라우스: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 1995년
- 1996년
- 1997년
- 1998년 - 쵸단: 대한민국의 트위치 스트리머
- 1999년
- 2000년
- 2001년 - 윤경: 대한민국의 가수, 걸그룹 로켓펀치의 멤버
- 2002년
- 2003년 - 서채현: 대한민국의 스포츠 클라이밍 선수
- 2004년 - 김예빈: 대한민국 걸그룹 핫이슈의 멤버
- 2005년 - 김소피야: 대한민국의 걸그룹 비타민의 前 멤버
6.2. 가상 인물[편집]
- 가후인 가이라 -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
- 갸라코 - SHOW BY ROCK!!
- 권은택 - 치즈인더트랩
- 김명희 - 오월의 청춘
- 나세 미츠키 - 경계의 저편
- 나일 도크 - 진격의 거인
- 나타 - 얼티밋 스쿨
- 대릴 더치 - 기동전사 건담 00
- 라테 - 힐링굿♡프리큐어
- 루이스 할레비 - 기동전사 건담 00
- 마루야마 사키 - 걸즈 앤 판처
- 마루후지 료 - 유희왕 GX
- 마토바 세이지 - 나츠메 우인장
- 미케 자카리아스 - 진격의 거인
- 사쿠라바 타마모 - 대도서관의 양치기
- 센 프라우드 - 어글리후드
- 아소 렌지 - ef - a fairy tale of the two.
- 아이샤 - 킹스레이드
- 아즈마 유키 - 프린세스 나인 키사라기 여고 야구부
- 알파 - 라피스 리라이츠
- 야스민카 안토넨코 - 리틀 위치 아카데미아
- 엘리자베트 블랑토르쉬 - KOF 시리즈
- 오오야마 나오스케 - VAZZROCK
- 오오토리 챠챠 - Tokyo 7th 시스터즈
- 오웬 - 마법사의 약속
- 유메노 키즈나 - 컬쳐재팬
- 유즈키 유우 - 라즈베리 큐브
- 이누오카 소우 - 하이큐!!
- 주칭 - 스페이스 차이나드레스
- 청량 - 천지해
- 츠부자키 안코 - 배틀걸 하이스쿨
- 카구라 히나타 - H2O
- 카일 하킴 -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초제츠
- 컬트 - 히어로 써클
- 코부치자와 시라세 - 우주보다 먼 곳
- 쿠니미 타마 - 헤븐 번즈 레드
- 쿠온지 유메 - 네가 주인이고 집사가 나
- 쿠로사키 메아 - 트러블 다크니스
- 쿠지 토오이 - 사라잔마이
- 키라 - 괴도 조커
- 키류 쿄스케 - 유희왕 5D's
- 타카라 쿄 - 밴드야로제!
- 토쿠라 미사키 - 카드파이트!! 뱅가드
- 페어리치 - 다마고치
- 헬로 키티
- 호시조라 린 - 러브 라이브!
- 후타미 에리코 - 키미키스
- 휴이 - 와츄 프리매직!
7. 기일[편집]
7.1. 실존 인물[편집]
- 1676년 - 기스베르투스 보에티우스 (1589년–); 네덜란드의 개혁주의 스콜라 신학자
- 1894년 - 알렉산드르 3세(1845년~): 러시아 제국의 차르
- 1903년 - 테오도르 몸젠(1817년~): 독일의 역사학자 겸 문학가
- 1925년 - 박은식(1859년~):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역사학자 겸 유학자
- 1986년 - 서영춘(1928년~): 한국의 개그맨
- 1987년 - 유재하(1962년~): 한국의 가수
- 1990년 - 김현식(1958년~): 한국의 가수
- 1991년 - 진 티어니(1920년~): 미국의 배우
- 2012년 - 미치 러커(1984년~): 미국 데스코어 밴드 Suicide Silence의 보컬리스트
- 2014년 - 야나가 카즈코(1947년~): 일본의 성우
- 2015년 - 귄터 샤보프스키(1929년~): 말실수로 역사적인 독일 통일을 낳은 동독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선전담당 비서
- 2019년 - 함중아(1952년~): 한국의 가수
- 2022년 - Takeoff(1994년~): 미국의 래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