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mm M1 대공포

덤프버전 :







파일:120_mm_M1_gun_2.jpg
120 mm gun M1
1. 개요
2. 제원
3. 역사


1. 개요[편집]


미군에서 사용했던 구경 120mm 60구경장 대형 대공포이다. 별명은 성층권 총.

서방의 3세대 전차의 주력 화포인 독일제 라인메탈 120mm 활강포, 영국제 120mm L11 계열 강선포와는 구경만 같을 뿐 탄약 규격 자체가 다르므로, 사실상 구경만 같을 뿐 아예 다른 화포이다.[1]

2. 제원[편집]


파일:120_mm_gun.jpg
120 mm M1 gun, 120 mm Gun M1
* 중량 : 29,000kg
* 전장 : 7.3m
* 포신 : 7.1m
* 포탄 : 120 × 775mm R
* 구경 : 120mm
* 포신 구경장 : L/60
* 상하각도 : 최대 +80도
* 좌우각도 : 360도 전방위
* 발사속도 : 분당 12발
* 포구초속 : 945m/s
* 사거리 :
* 지상 : 24,700m
* 대공 : 17,500m

3. 역사[편집]


미 육군제1차 세계대전 시기부터 3인치 M1918 대공포를 주력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점점 항공기술이 발달하고 폭격기 무적론까지 나옴으로써 3인치는 위력이 약하다는건 불보듯 뻔한 일이였다. 그래서 이를 대체할 신형 90mm 대공포가 개발되기 시작하였으며, 혹시나 90mm로도 모자를까봐 미 육군은 따로 위력이 더 강한 대구경 대공포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사실 이 프로젝트는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직후부터 시작되었다. 1924년에 120mm 대공포 프로토타입을 만들었었던 적이 있으나 너무 무겁고 비용이 너무 든다는 문제로 사실상 묻혀진 프로젝트가 될 뻔 했었으나, 위의 대구경 대공포 계획과 맞물려 개발이 진전되기 시작했으며 1944년에 생산되기 시작했다.

다만 배치되던 때가 전쟁이 거의 끝나갈 시점이라 대공포를 쓸 일이 거의 없어졌으며 전쟁이 끝난후 본토 방공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후 한국전쟁에서도 사용하는 등 나름 역할은 하였으나, 그때는 슬슬 제트엔진을 달은 항공기들이 출현하기 시작하였고, 본 목적의 대상이였던 폭격기는 더 이상 자주 사용하지 않게 되고, 결정적으로 대공 미사일이 등장함에 따라 1960년까지 차례차례 퇴역하기 시작한다.

대신 이것을 기반으로 미국에서 120mm 대전차포를 개발해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미 제2차 세계 대전기부터 T29 시제 중전차의 파생형인 T34의 주무장으로 120mm M1 대공포 기반의 T53 주포를 사용했고, 주포를 비롯하여 T34에서 얻은 기술들은 전후 개발된 M103 중전차에 활용되었다[2]. 그리고 미국은 이 120mm 포를 T95 중형전차와 T110 프로젝트의 전차에도 장착할 예정이었다.

이것은 또한 대구경 포가 없던 영국이 구입해서[3] 이를 기반으로 120mm 로열 오드넌스 L1 전차포를 설계하여 FV214 컨커러의 주무장으로 장착했다. 이후 L1을 기반으로 치프틴 전차챌린저 1에 탑재된 로열 오드넌스 L11이 개발되었고, 이 L11 주포를 기반으로 지금의 챌린저 2로열 오드넌스 L30 강선포가 설계되었다. 사실상 120mm M1 대공포의 기본 기술들은 현대 영국의 챌린저 2의 주포 기술의 뼈대로 남은 셈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4 08:35:07에 나무위키 120mm M1 대공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영국제 L11과 L11의 기반이 된 L1은 기술적으로 120mm M1 대공포의 영향을 받아서 설계된 물건이다.[2] M103에 사용된 M58 주포도 120mm M1 대공포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3] 당시 영국 육군의 주력 대공포는 3.7인치(약 94mm)로 다른 나라에 비해서 작은건 아니지만 타국의 120mm급에 대응되는 대공포가 없었다. 전차포의 경우 영국만 아니라 미국과 독일도 75mm 수준의 구경을 가진 전차포가 주력이고 그 이상은 중전차에나 사용되는 포였다. 85mm 전차포를 주력으로 사용한 소련이 특이한 케이스. 곡사포의 경우도 25파운더가 유명해서 그렇지 6인치(152mm)와 7.2인치(약 183mm)급 화포 또한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