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위치에 텍스트 광고를 게재할 수 있습니다. >> 바로가기
2월 29일 (r20200302판)
문서 조회수 확인중...
1. 역법에서의 윤일
1.1. 개요
달력의 1년을 실제의 1년의 길이에 접근시켜, 오랜 기간에 계절이 달력의 날짜와 어긋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날 생일인 사람은 손해. 특히 그날 군대에 있을 경우는 더욱 더 불쌍해진다. 반대로 봄방학이 있는 경우나 연간회원인 경우에는 하루라도 이득을 보는 날. 이 날이 제사 지내는 날이면 3년 동안 제사를 못 지낸다. 보통 2월 28일로 대신 지내거나 그냥 음력을 쓴다.
안그래도 2월생은 비교적 적은 편인데, 4년에 한번이므로 이 날이 생일인 사람은 참 찾아보기 힘들다. 대신, 그만큼 매우 눈에 띄는 생일이기에 생일이 2월 29일인 것 자체가 하나의 특징이 되는 경우가 많다. 헌데, 요즘은 분만일이 사주상 불길한 날이나 기념일 등과 겹칠 가능성이 높을 때, 출산 시 제왕절개나 유도분만을 하며 출산 날짜를 부모가 원하는 날짜로 조정하는 일이 늘었고, 부모들 역시 2월 29일 출산을 기피하기 때문에 이 날 태어나는 아이도 많이 줄어들고 있다고.
또한 군복무기간에 2월 29일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군생활이 하루 더 늘어난다.
이 날이 있는 해에는 하계 올림픽이 열린다.[4] 그리고 대한민국에선 총선을 치르고, 미국에선 대통령 선거를 치른다. 물론 예외도 있다. 그레고리우스 달력의 2월 29일은 4년마다 한번씩 돌아오지만, 400년 중 97일을 윤년으로 잡는 것을 기준으로 하기에,[5] 해당 년도가 100으로만 나눠 떨어지면 그날은 2월 29일이 없고, 그 중 400으로 나눠 떨어져야만 존재한다. 즉, 윌리엄 매킨리가 재선에 성공했던 1900년에는 2월 29일이 없었다. 요일은 1904년부터 2096년까지 월요일, 토요일, 목요일, 화요일, 일요일, 금요일, 수요일의 순서대로 순환한다. 이 날이 일요일(예: 2004년, 2032년, 2060년, 2088년)이나 월요일(예: 1988년, 2016년, 2044년, 2072년)이면 한글날 및 크리스마스는 주말이 된다.
하지만 음력 기준일 때는 위에 기록된 모든 사항을 씹는다. 어떤 특정한 A라는 해를 가정할 때, A년에는 음력 2월 29일이 무조건 있다. 음력은 한 달이 무조건 29일 또는 30일까지 있기 때문이다.[6] 따라서 음력의 경우 2월 30일이 있을 수도 있다.
이처럼 2월은 다른 달과 달리 말일이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천문학 등에서는 2월 말일을 '3월 0일'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영어 위키백과 March 0 항목. 또 MS 엑셀에서는 인자로 연, 월, 일을 입력받아 그 날짜의 코드를 반환하는 =DATE() 함수가 있는데, 여기에 월을 3, 일을 0으로 입력하면 그 해의 2월 말일이 결과값으로 나온다.
음력에서 2월 29일(윤일)이 있는 달을 윤달이라고 착각할 수 있는데, 음력에서 윤달은 치윤법에 의해 19년에 7번 있는 달로 다른 뜻이다.
1.2. 기념일 및 절기
- 성 오스왈드의 날. 아일랜드에서는 이 날에 여성이 남성에게 프로포즈하면 무조건 승낙해야하는 풍습이 있다. 원래 토박이 때부터 있는건 아니고 기독교 상륙 이후에 생겼다.
- 세계 희귀질환의 날. Rare Disease Day(영문 위키백과) 2008년 유럽희귀질환기구(European Organisation for Rare Diseases)에서 제정. 정확히는 '2월의 마지막 날'로, 윤년에는 2월 29일, 평년에는 2월 28일이다.
1.3. 윤일 넣는 규칙
1.4. 생일
2월 29일이 생일인 사람은 생일 축하때 심히 난감하다.[8] 생일 잔치를 2월 28일에 하느냐 3월 1일에 하느냐에 대한 논쟁 아닌 논쟁이 있기 때문. 결론부터 말하면 자기가 하고 싶을 때 하면 된다. 별로 쓸데는 없지만 여기에선 엄밀하게 따져보도록 하자.
일단 생일을 1년 중에서 자기가 태어난 시각이 포함된 날짜로 정의한다. 쓰기 길어지므로 생시라고 하자. 매년 생시는 약 6시간씩 늦어지게 된다. 정확하게 1년이 지났을 때 365일이 지나고도 다시 6시간이 지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즉, 4년이 지나면 대략 하루가 늦어진다. 물론 이를 바로잡기 위해서 윤년이 있는 것이다.
어떤사람의 생일이 2월 29일 0시, 즉 2월 28일 자정이라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두 번째 생일은 2월 28일 자정 + 6시간 -1일[9] = 2월 28일 오전 6시
세 번째 생일은 2월 28일 오전 6시 + 6시간 = 2월 28일 정오
네 번째 생일은 2월 28일 정오 + 6시간 = 2월 28일 오후 6시
그리고 다섯 번째 생일은 2월 28일 오후 6시 + 6시간 = 2월 29일 0시
로 돌아오게 된다. 그래서
- 29일 0시~6시에 태어난 사람들은 윤년이 아닌 해 모두 2월 28일에 생일 축하를 하면 되고,
- 29일 6시~12시에 태어난 사람들은 1, 2년째에 해당되는 해에는 2월 28일, 3년째에 해당되는 해에는 3월 1일,
- 29일 12시~18시에 태어난 사람들은 1년째에 해당하는 해에는 2월 28일, 2, 3년째에 해당되는 해에는 3월 1일,
- 29일 18시~24시에 태어난 사람들은 윤년이 아닌 해 모두 3월 1일에 생일 축하를 하면 된다.
보물섬의 저자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은 친구집에 지낼 때 그 집 소녀와 친해졌는데, 그 소녀가 자기는 생일이 2월 29일이라 지금까지 두 번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10] 그러자 그는 증서를 써서 자신의 생일인 11월 13일을 소녀에게 양도해주었다.
아래는 이 날짜에 태어난 인물들이다.
1.4.1. 실존 인물
- 1468년 - 바오로 3세(∼1549년): 제220대 가톨릭 교황.
- 1792년 - 조아키노 안토니오 로시니(∼1868년): 이탈리아의 오페라 작곡가.
- 1908년 - 발튀스(~2001년): 프랑스 태생 사실주의 화가. 독학으로 그림을 배웠으며 <기타레슨>이라는 그림이 유명하다.
- 1916년 - 시라소니(∼1983년): 한국의 깡패며 본명 이성순.
- 1940년 - 바르톨로메오스 1세: 제267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s-1 .
- 1956년 - 아일린 워노스: 미국의 연쇄살인범
- 1960년
- 1976년 - 자 룰: 미국의 래퍼 겸 배우.
- 1980년
- 1984년
- 1988년
- 1992년
- 2000년
1.4.2. 가상 인물
- C. 티피카 - 커피우유신화
- 게리 거기지 - 팍스 앤 레크리에이션
- 긴지 - 디바인 게이트
- 노마진 - 차원이 다른 만화
- 니노미야 시구레 - 미카구라 학원 조곡
- 닐바나 프레이르 - 크리퍼스큘
- 드루이드 미아 - 사이퍼즈
- 미우라 아카네 - 2채널 유저들이 만든 케이온!! 기반 낚시 캐릭터
- 미하엘 폰 키스크 - 클로저스
- 바쿠 - 부탁해! 마이멜로디
- 밤바 - 해파리 공주
- 상아 - 데드엔드 99%
- 우스이 켄타 - 카린 증혈기
- 우에스기 나기 - Angel's Feather
- 유키미츠 마나부 - 아이실드 21
- 야쿠시 카부토 - 나루토
- 오하라 린네 - ISLAND(게임)
- 유우키 테르미 - 블레이블루
- 융융 -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 이치죠 신, 키사라기 루이 - KING OF PRISM by PrettyRhythm
- 주희 - 드리프트 걸즈
- 체르타, 여하단장 - 트럼프(웹툰)
- 츠지무라 미즈키(娘), 츠지무라 미즈키(母) - 문호 스트레이 독스
- 카자마 소게츠 -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
- 캐머런 터커 - 모던 패밀리
- 키노모토 토우야 - 카드캡터 사쿠라
- 타마세 미키 - 마브러브 시리즈
- 토비쿠라 아키오 - 아이★츄
- 파이 & 하츠 -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 프란시스 클락 - 어이쿠! 왕자님 ~호감가는 모양새~
- 피오라(리그 오브 레전드) - 리그 오브 레전드
- 하기타 사쿠 - orange
- 하니노즈카 미츠쿠니 - 오란고교 호스트부
- 후루타 니무라 - 도쿄 구울:re
- 후지 슈스케 - 테니스의 왕자
- 히마루 카에데 - 파칭코/파치슬롯 전설의 무녀
- 히이라기 - 머나먼 시공 속에서 4
- 히컵 호렌더스 해덕 3세 - 드래곤 길들이기
1.5. 기일
1.5.1. 실존 인물
1.5.2. 가상 인물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해당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내용 누설을 원하지 않으면 이 문서의 열람을 중단해 주십시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해당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내용 누설을 원하지 않으면 이 문서의 열람을 중단해 주십시오.
2. 영화
4년마다 돌아오는 2월 29일,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벌어지는 기기묘묘한 사건들과 의문사를 통해 긴장을 유발하는 미스터리 스릴러이다. 남녀 주인공으로는 임호와 박은혜가 열연했다. 평가는 시리즈 네 작품 가운데 가장 좋은 편.
촬영장소는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이화령[12] 3번 국도에 위치한 이화령터널영업소 이라는 톨게이트가 있다. 지금은 이화령터널을 국토교통부가 인수한 뒤 무료체제로 변환하면서부터 없어졌다.
유일한 작가의 단편 '톨게이트'를 원작으로 한다.
3. 역법의 오차 보정 개념 목록
[1] 올해(2020년)는 존재한다.[2] 공군 병 738기(2014년 1월 선발한 2014년 3월 입대자.)부터 해당사항이다.[3] 여담으로, 2016년 2월 29일은 윤일이었기에 738기부터 761기까지가 윤일의 피해자였다. 이후 2020년 2월 29일의 피해 범위에 드는 기수는 2018년 4월 입대한 787기부터...[4] 1900 파리 올림픽만이 유일하게 평년에 열린 하계 올림픽이었다.[5] 이렇게 해야 1년이 365.2425일로로 나오기 때문.[6] 따라서 음력에는 x월 31일이 존재하지 않는다.[7] 특히 2002년까진 한국 한정으로 2월 28일에 많이 했다. 이유는 빠른 생일일 듯 하다.[8] 두산 베어스의 최주환은 1988년 2월 29일에 태어났지만, 이러한 이유로 호적상 생일을 하루 앞당겼다.[9] 2월 29일이 있으므로 다음해 2월 28일 자정까지는 366일이 지나는 셈이다.[10] 이 말을 토대로 계산해보면 그 소녀는 당시 12세 미만이었을 것이다.[11] 2008년 생일을 맞이할 때 멤버들이 학용품을 선물로 줬다고 한다.[12] 4번째 이야기인 죽음의 숲과 가까운 촬영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