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덤프버전 :


파일:온게임넷 스타리그 로고.svg 역대 온게임넷 스타리그 일람

[ 펼치기 · 접기 ]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기반 대회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
2000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1 한빛소프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1 코카콜라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1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2 NAT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2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2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3 Olympus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3 Mycub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NHN 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03~04
Gillette 스타리그 2004
EVER 스타리그 2004
IOPS 스타리그 04~05
EVER 스타리그 2005
So1 스타리그 2005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1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2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3
Daum 스타리그 2007
EVER 스타리그 2007
박카스 스타리그 2008
EVER 스타리그 2008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BATOO 스타리그 08~09
박카스 스타리그 2009
EVER 스타리그 2009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1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2
박카스 스타리그 2010
진에어 스타리그 2011
tving 스타리그 2012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기반 대회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기반 대회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
2013 WCS Korea Season 2,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3
비공식 대회
2000 온게임넷 왕중왕전
2002 KT배 온게임넷 왕중왕전
신한은행 마스터즈



파일:OSL_01_3rd_poster.jpg
리그 엠블럼

파일:external/oriwiki.net/%EA%B9%80%EB%8F%99%EC%88%98.jpg

1. 개요
2. 사용 맵
3. 가을의 전설, 시작되다
4. 폭풍저그, 홍진호가 간다!!
5. 초대 본좌 기욤 패트리의 마지막 도전
6. 결승전 맵 논란
7. 기타



1. 개요[편집]


  • 리그 기간 : 2001년 10월 19일 ~ 2001년 12월 28일
  • 조 편성
A조
임요환, 조창우, 박정석, 김재훈[1]
D조
김승엽[2], 김신덕, 김정민, 김동수
  • 우승 김동수, 준우승 임요환, 3위 김정민, 4위 홍진호
  • 우승 상금 : 1,000만원
  • 준우승 상금 : 500만원
  • 3위 상금 : 300만원
  • 특이 사항
    • IT 기업의 두 번째 스폰이자 휴대폰 브랜드 첫 스폰 및 스폰서가 제공한 유니폼을 선수가 입고 출전하는 세 번째 대회
    • 유일하게 온라인 예선(KBK)으로 본선진출자 선발(김재훈, 안형모, 세르게이, 김승엽)
    • 노동환[3] 방식(선수가 같은 맵을 한 번 이상 쓰지 못하도록 만들어 버리는 방식) 최초 도입.
    • 무한 재경기 방식 최초 도입 및 최초의 재재경기 발생. 다만, 재경기는 11월 28일 오후 2시에 녹화방송으로 진행했다. (방송은 11월 30일 0시 30분)[4]
    • 두 번째 외국인 선수 8강 진출(세르게이).
    • 사상 최초로 3연속 결승 진출자 탄생(임요환).
    • 임요환의 온게임넷 스타리그 첫 번째 준우승, 그리고 테란의 첫 준우승. (임요환은 3연속 우승 실패 이후, 다음 대회 16강에서 3전 전패하는 등, 하락세가 시작되는 대회이다)
    • 1.08 패치 대회 프로토스의 첫 우승
    • 기욤 패트리의 마지막 스타리그
    • 김정민의 처음이자 마지막 온게임넷 스타리그 4강 진출.
    • 스타리그 연간 시즌 중 처음이자 유일하게 3시즌을 시작한 시즌 및 같은 년도 내에 끝난 대회. 이후 파나소닉 스타리그 대회부터는 년도가 한 해씩 뛰게 된다.[5]
    • 스타리그 최초의 주제음악을 당시 스타리그 애청자 였던 크래쉬 안흥찬씨가 직접 제작해 만들었다.[6]
    • 사상 최초로 온게임넷 역대 리그 우승자간의 결승전(김동수 vs 임요환).
    • 온게임넷 스타리그 두 번째로 2회 우승 선수를 배출(김동수). 또한 김동수의 마지막 개인리그 우승.
    • 자원 봉사자 모집 시작.
    • 정일훈 캐스터 결승 이후 스타리그 하차.[7]
    • 결승 장소 : 서울 장충체육관
    • 전시즌과 동일하게 전좌석 매진
    • 양대 개인리그 결승전 최초의 테프전 성사
    • 양대리그 최초로 결승전이 금요일에 열림
    • 스카이 스타리그 2001 오프닝
    • VOD 목록

자세한 대진은 2001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대진표를 참고.

2. 사용 맵[편집]


파일:OSL_01_3rd_poster.jpg 2001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맵

파일:attachment/Neo_Vertigo.jpg


파일:external/www.pgr21.com/%284%29Incubus.jpg


파일:(3)Crimson_isles.jpg

{{{#!wiki style="margin-top:-5px; margin-bottom: -5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10px;"
파일:attachment/silent_vortex.jpg

네오 버티고
인큐버스
크림슨 아일즈
사일런트 볼텍스

3. 가을의 전설, 시작되다[편집]


돌아온 가림토스 김동수와 3연속 결승에 진출, 스타리그 최초 3회 연속 우승에 도전하는 황제 임요환의 맞대결. 이 대회에서 김동수는 황제 임요환을 명승부 끝에 세트스코어 3:2로 꺾고 우승함으로서 임요환 다음으로 스타리그 2회 우승자가 되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전략을 이용하여 경기를 승리하던 임요환의 플레이에 공공연히 '얍삽하다'고 말해왔던 김동수가 대회 내내 전략가로 변신, 우승까지 거머쥐게 된 것은 조금 아이러니.

김동수는 이 대회에서 준우승자 임요환(결승), 3위 김정민(16강), 4위 홍진호(4강)에게 모두 승리를 거뒀다.

리그가 열린 기간을 보면 알겠지만 결승전은 한겨울이었다. 초가을인 9월은 아예 빠졌고. 그런데도 가을의 전설의 시초[8]로 불린다.


4. 폭풍저그, 홍진호가 간다!![편집]



16강 C조 4경기 네오 버티고에서 세르게이홍진호와 격돌했다. 이 경기에서 세르게이가 홍진호를 꺾는 이변을 연출하였고, 이후 기욤패트리가 탈락한 상황에서 외국인으로 유일하게 8강에 오르는 기염을 토한다. 그리고 일종의 이벤트 프로그램인 라이벌 리벤지에서 다시 격돌하였는데, 그 때 야! 세르게이! 작은 고추의 매운맛을 보여주마! 폭풍저그 홍진호가 간다!라는 명언이 나왔다.[9]


5. 초대 본좌 기욤 패트리의 마지막 도전[편집]


지지난 시즌에서 박용욱을 이기고 3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결승 진출자 2명에게만 차기리그 시드를 주는 바람에 예선으로 내려가게 된 기욤 패트리. 지난 시즌 예선 2회전에서 박정석에게 패배하고 탈락한 뒤 절치부심 끝에 예선을 뚫고 컴백. 16강에서는 2승1패를 기록했으나 3자동률로 재재경기까지 치른 끝에 김대건과 안형모에게 내리 2연패를 하며 탈락했다.

한편, 해당 예선전은 리플레이로 몇경기를 방송에서 중계했는데 박현준의 럴커 조이기를 질럿으로 2방씩 찌르고 스톰으로 죽이는 식의 센스 넘치는 플레이로 뚫어낸 장면이 인상적이었다.[10] 당시 패배한 박현준은 패배 이후 "기욤이 한물갔다고 그러는데 아직 잘한다"며 쓴웃음을 보이고 예선장을 떠났다.

기욤 패트리는 이후 스타리그의 하부리그인 챌린지리그 예선을 2002년과 2003년에 한 차례씩 뚫고 출전했으나, 2002년에는 2패로 광탈, 2003년에는 챌린지리그 최종 진출전까지 갔으나 결국 박성준에게 탈락하였다. 그외 별다른 성적을 내지 못하고 2004년까지 프로리그에서 활동하다가 팀 동료 베르트랑과 은퇴했다.


6. 결승전 맵 논란[편집]


결승전 때 맵 버전으로 인한 해프닝이 있었는데, 임요환 측에서 버그성 지형(일명 선기도)의 수정을 확인하지 못하고 구 버전으로만 연습을 한 것. 그래서 임요환이 결승전 1, 5경기에서 사용된 맵 인큐버스의 옛 버전[11]을 가지고 연습하여 드랍쉽이 섬 지역을 우왕좌왕하며 빙빙 도는 일이 일어났다[12]. 임요환 입장에서는 다소 억울하게 느꼈을 수도 있고, 실제로 팬카페와 자서전 등에 "결승 직전 맵 수정이 있었으나 자신에게 공지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발언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맵제작자인 김진태 씨는 대회 중 수정은 없었다고 자세하게 해명했다.[13]

결국 이는 당시 임요환의 소속팀 IS의 삽질로 인한 해프닝이었다. 선기도 항목 참조. 결승전 5경기는 테란 대 프로토스전 명경기로 꼽힌다.[14]

한편, 4강 진출 멤버가 정해졌을 당시, 역사상 최고의 4강 대진이라서 그런지 제작진들과 팬들이 모두 환호했다고 한다. 당시 임요환, 김정민은 테란 1~2위를 다투는 강자[15]들이었고 홍진호는 2번 말할 필요조차 없는 저그 최강자, 김동수임성춘과 함께 프로토스 팬들이 기댈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이었다.[16] 스타1 말기로 치면 이영호, 정명훈, 택뱅 중 1명, 이제동이 4강에 들었다고 상상을 해보자. 그러면 이게 어떤 대진표인지 감이 올 것이다.[17]


7. 기타[편집]


그러나, 팬들이 잊고 있는 것이 있는데 사실, 임요환은 가을에 우승을 했었다. 정확히는 2001년 9월 8일에 우승했다. 즉, 입추가 지난 초가을에 우승을 했는데 이때를 알지 못하고 여름에 우승을 한 것으로 착각하는 e스포츠 팬들이 많았다. 워낙 임요환 선수가 10~11월에 명경기를 보여준 패배에 묻혀버린 비운의 전설일지도.

사실 굳이 따지자면 10~12월에 열린 이 대회가 결승전만 겨울이지 가을에 열린 시즌인것은 맞다.

[1] 프로토스의 김재훈과는 동명이인인 테란 게이머이다.[2] 2002년에 워크래프트 3가 출시되면서 그쪽으로 전향하게 된다. 이때 종족은 나이트 엘프. 한때 무사처럼 길게 머리를 기른 뒤 뒤로 묶은 스타일 때문에 무사나엘이라는 별명으로도 유명했으며, 은퇴 후 심장 이상으로 의병 제대를 한 이후의 근황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3] 이 방식을 개발한 사람.[4] 재재경기의 경우 리플레이 파일을 편집하여 하이라이트 형식으로 방송했다.[5] 실질적으로는 그렇지만, 공식적으로는 2008년도도 같은 년도 내에 3개 대회가 모두 끝난 년도에 해당되므로 유일하지 않다. 바투 스타리그는 공식적으로 2009년 대회로 간주되기 때문.[6] 여담이지만 2003 OLYMPUS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도 오프닝음악에 다시 등장하였다.[7] 정확히는 이후 잠깐 열린 2002 KT배 온게임넷 왕중왕전이 그의 마지막 캐스터로서의 진행 대회였다.[8] 이유는 전년도 김동수의 첫 우승이 11월이어서 그렇다.[9] 다만 여기서 나오는 대사는 모두 본인이 말한 것이 아닌 당시 투니버스(온미디어) 전속 성우들이 더빙한 것인데, 홍진호는 성우 김광국이 더빙했다. 이외에도 세르게이는 성우 정명준이 맡았고, 해설은 스타리그와 마찬가지로 시영준이 담당.[10] 당시는 1.08패치가 이루어진 초기 단계라 럴커가 스톰 한방에 죽지 않게 된 변경사항이 토스를 매우 불리하게 만들었다.[11] 김동수 측 앞마당에 선기도가 있었던 버전.[12] 엄재경 위원이 드랍쉽을 태우고 선기도 근처에 갔다 라는 언급을 했었다. [13] 당시 김진태의 해명에 따르면, 해당 선기도 지형은 이미 예선이 치러진 후 삭제되었으며, 본인이 해당 수정을 맵에 가한 이후 추가로 어떠한 수정도 없었다고 밝혔다. 수정 후 각 팀을 대상으로 공지도 되었다고 한다. [14] 이 경기는 2006년에 방영한 스타리그 데이 BEST 50에서 8위를 차지하였다. 이 결승전에서의 5경기는 2002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결승전 4경기, So1 스타리그 2005 결승전 4경기,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2 결승전 1경기, 곰TV MSL 시즌3 결승전 4경기,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결승전 5경기, 진에어 스타리그 2011 결승전 5경기와 함께 역대 개인리그 테프전 결승 경기들 중에서도 최고로 평가받는 경기들이다.[15] 실제로 이 당시의 케스파 랭킹도 임요환이 1위, 김정민이 2위였다.[16] 흔히 떠올리는 올드 토스인 강민, 박정석, 박용욱은 이 시기 막 데뷔한 신인이었으며, 그나마도 박용욱은 한빛소프트배 스타리그 4위 이후 수능 문제로 귀향해서 출전을 기대할 수 없었다. 임성춘의 경우는 게임큐 스타리그 대회에서 임요환을 이기고 우승을 했던 전적이 있기에 프로토스 유저들도 기대하고 있었다.[17] 마지막 스타리그에서 이 서술에 가깝게 실현되긴 했다. 테란에 꼼덴, 저그는 김명운, 프로토스는 허영무. 마지막 MSL의 결승 진출자 두 명과 직전 스타리그의 결승 진출자 두 명이 진출한, 스타 1의 마지막을 장식하기에 걸맞는 크로스 토너먼트로 남게 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05:44:38에 나무위키 2001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